_몬헌_베스트팁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몬스터] 프론티어 등장 몬스터 명칭 정리

리스피언
댓글: 69 개
조회: 17337
2009-07-27 22:03:59
수렵단 생활을 하다보니 입문하신지 얼마 안되신 수렵단원분들이 몬스터의 아명을 잘 모르시더군요.
그래서 한번 정리해봤습니다.

구 곤란하네요 님이 작성하신 명칭정리를 보완하고
이번 4.0 리파인 패치로 추가된 몬스터를 정리하였으며 외래어 표기를 덧붙였습니다.

따로 아명이 존재하지 않거나 본명과 동일할 경우, 또는 원종과 같은 아명을 사용할 경우는 기입하지 않았습니다.
본명의 영문자도 작성할까 했으나, 어디까지나 고유명사인 이름을 외국어로 풀어쓰는건 무의미한 것 같아서 그만뒀습니다.

누락된 몬스터나 잘못된 명칭이 있다면 말씀하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히프노크 아종의 경우는 확신할 수가 없네요.

소형몬스터

수인종
챠챠브 ------------------------- 기면족(奇面族)
킹챠챠브 ----------------------- 기면왕(奇面王)

어룡종
가레오스 ----------------------- 사룡(砂龍)

갑각종
야오자미 ----------------------- 순해(盾蟹)
가미자미 ----------------------- 겸해(鎌蟹)

비룡종
가브라스 ----------------------- 사룡(蛇龍)


대형몬스터

조룡종
얀쿡 --------------------------- 괴조(怪鳥)
얀쿡아종 ----------------------- 청괴조(靑怪鳥)
게료스 ------------------------- 독괴조(毒怪鳥)
게료스아종 --------------------- 자독괴조(紫毒怪鳥)
히프노크 ----------------------- 면조(眠鳥)
히프노크아종 ------------------- 창면조(蒼眠鳥)
히프노크희소종 ----------------- 창백면조(蒼白眠鳥)
얀가루루가 --------------------- 흑랑조(黑狼鳥)

비룡종
리오레이아 --------------------- 자화룡(雌火龍)
리오레이아아종 ----------------- 앵화룡(櫻火龍)
리오레이아희소종 --------------- 금화룡(金火龍)
리오레우스 --------------------- 화룡(火龍), 웅화룡(雄火龍)
리오레우스아종 ----------------- 창화룡(蒼火龍)
리오레우스희소종 --------------- 은화룡(銀火龍)
푸르푸르 ----------------------- 알비노(albino), 진주색(璡珠色)
푸르푸르아종 ------------------- 알비노(albino), 매혹색(魅惑色)
바사루모스 --------------------- 암룡(岩龍)
그라비모스 --------------------- 개룡(鎧龍)
그라비모스아종 ----------------- 흑개룡(黑鎧龍)
모노브로스 --------------------- 일각룡(一角龍)
모노브로스아종 ----------------- 백일각룡(白一角龍)
디아브로스 --------------------- 각룡(角龍)
디아브로스아종 ----------------- 흑각룡(黑角龍)
티가렉스 ----------------------- 굉룡(轟龍)
아캄토룸 ----------------------- 패룡(覇龍)
에스피나스 --------------------- 극룡(棘龍)
에스피나스아종 ----------------- 극다룡(棘茶龍)
벨큐로스 ----------------------- 무뢰용(舞雷龍)

어룡종
도스가레오스 ------------------- 사룡(沙龍)
가노토토스 --------------------- 수룡(水龍)
가노토토스아종 ----------------- 취수룡(翠水龍)
불가노스 ----------------------- 용암룡(熔岩龍)
볼가노스아종 ------------------- 홍용암룡(紅熔岩龍)

갑각종
다이묘자자미 ------------------- 순해(盾蟹)
쇼군기자미 --------------------- 겸해(鎌蟹)
쉔가오렌 ----------------------- 채해(砦蟹)
아크라 · 바심 ------------------- 미정갈(尾晶蠍)
아크라 · 제비아 ----------------- 회정갈(灰晶蠍)

아수종
도스팡고 ----------------------- 대저(大猪)
바바콩가 ----------------------- 도모수(桃毛獸)
도도브랑고 --------------------- 설사자(雪獅子)
라쟌 --------------------------- 금사자(金獅子)

고룡종
키린 --------------------------- 환수(幻獸)
쿠샬다오라 --------------------- 강룡(鋼龍)
쿠샬다오라아종(녹슨 쿠샬다오라) -풍상룡(風翔龍)
오오나즈치 --------------------- 하룡(霞龍)
나나 · 테스카토리 --------------- 염비룡(炎妃龍)
테오 · 테스카토루 --------------- 염룡(炎龍), 염왕룡(炎王龍)
라오샨롱 ----------------------- 노산룡(老山龍)
라오샨롱아종 ------------------- 암산룡(巖山龍)
야마츠카미 --------------------- 부악룡(浮岳龍)
미라보레아스 ------------------- 흑룡(黑龍)
미라보레아스아종 --------------- 홍흑룡(紅黑龍), 미라발칸(Millavulcan)
미라루츠 ----------------------- 조룡(祖龍)

Lv58 리스피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69)

새로고침
  • 컨롤09-07-21 00:34
    신고|공감 확인
    오!!
    지금까지 몬헌을 해오면서 야오자미와 가미자미의 명칭은 처음보네요.. ㄷㄷ
    그런데 히프녹은 아종이 아니고 번식기의 모습이죠 ㅎ;;
    답글
    비공감0공감0
  • 리스피언09-07-21 00:51
    신고|공감 확인
    번식기로 표기를 하지만 아종이 맞습니다.
    몬헌의 세계관에서는 아종은 종이 다른 형태가 아니고, 개체의 특성이 다소 원종과 상이한 경우를 일컫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홍흑룡같은 경우도 실제 종원은 흑룡과 동일한 개체죠. 다만 생태가 좀 차이나서 아종으로 분류한 모양입니다.
    물론 생태의 차이가 종의 차이를 불러오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는 생태의 차이는 있으나 종의 차이는 없는 경우로 유추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컨롤09-07-21 01:00
    신고|공감 확인
    ㄴ 음.. 그말이 그말같은.. ㄷㄷ
    제가 이해력이 딸려서 ㅈㅅ.. ㅜㅜ;;
    그런데 아마 제가 어디서 주워들은 기억으로는 홍흑룡은 
    흑룡이 당하고 다시 분노해서 컴백했다는 말이 있던데...
    답글
    비공감0공감0
  • 리스피언09-07-21 01:08
    신고|공감 확인
    쉽게말해서 원종이 좀 특이한 상태인 경우도 아종으로 인정된다는 말입니다. 번식기도 맞고 아종도 맞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Ahehehe09-07-21 01:11
    신고|공감 확인
    자자미 - 방패게 기자미 - 낫게 쉔가오렌 - 요새게로 가르쳐드리는게 모르는사람에겐 더 좋지 않을까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컨롤09-07-21 01:16
    신고|공감 확인
    리스피언/ 그렇군요.. 뭐 몇몇 아종은 원종의 번식기철에 모습이라는 말도 있으니..
    (루머일 가능성이 높지만.. ㄷㄷ)
    답글
    비공감0공감0
  • 팀버울프09-07-21 02:44
    신고|공감 확인
    움, 아종에 대한거라면 원종과 다른특징이 나타날시에는 무조건 아종으로 구분합니다.

    디아 아종경우는 단지 디아 암컷이 번식기때 예민해지면서 경고색의 일종으로 피부색이 변한것이고(흑디아퀘는 다 번식기입니다)

    그라비 아종은 단지 기본 신진대사가 활발한 그라비모스들이 외피에 색이 변한것뿐이고요(강도도 변했지만;;)

    히프아종도 번식기때 몸을 화려하게 치장하는것을 아종으로 구분지은 이유지요.


    약간 다른얘의 아종이라면 레우스처럼 같은종이면서도 경쟁관계에 있는 창화룡과 웅화룡도 있고....

    쿠샬 경우도 3종류의 원,아종을 구분지어놨지만 탈피 직후의 쿠샬은 설정상 게임에 안나오고....;

    난폭한 시기가 흔히 알고있는 기본쿠샬이고, 탈퇴직전이 녹슨쿠샬 정도를 게임상 스토리에서는 아종으로 구분짓고 있습니다~_~

    몬스터 헌터 설정과 기본 배경에 대한것도 보다보면 잼있는게 많아요 ㅎㅎ
    답글
    비공감0공감0
  • 팀버울프09-07-21 02:58
    신고|공감 확인
    몬헌 세계관의 잡설정들 중에서 몬스터 관계 모음이라면...
    부모관계
    -- 자식  :  부모 --
    바사루모스 : 그라비모스
    야오자미 : 자자미
    가미자미 : 기자미(자자미와 관계여부 X)

    -- 꼬봉 : 보스 --
    불팡고 : 도스팡고
    브랑고 : 도도브랑고

    -- 부부관계 (암 : 수) --
    리오레이아 : 리오레우스
    디아브로스(아종,여타 계절에서는 원종도 간혹) : 디아브로스(원종) 
    나나 : 테오

    -- 의외의 식성 --
    디아브로스, 모노브로스 = 초식
    바사루보스 = 벌레와 돌맹이
    그라비모스 = 돌맹이와 홍련석;
    얀쿡 = 흙과 벌레;
    테오, 나나부부 = 화약석(...)

    움...; 뭔가 더 많았는데 설정집 쓴지 오래되서 가물가물하군요;
    개인적으로 전 이런종류의 팁 매우 좋습니다 +_+
    답글
    비공감0공감0
  • 란고스타친구09-07-21 08:50
    신고|공감 확인
    팁게에서 오랜만에보는 개념팁이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UnKnowns09-07-21 10:50
    신고|공감 확인
    팀버울프님의 꼬봉 : 보스가 와닿는군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안주용통닭09-07-21 11:16
    신고|공감 확인
    자자미+ 기자미= 간장게장 \'ㅅ\'1!
    답글
    비공감0공감0
  • 도이렌09-07-21 12:19
    신고|공감 확인
    워어... 재미난팁인데 ㅎㅎ
    답글
    비공감0공감0
  • 카이mk209-07-21 12:49
    신고|공감 확인
    팁이 재밌네요 ㅎㅎ
    답글
    비공감0공감0
  • 강아지풀09-07-21 13:59
    신고|공감 확인
    아무도 말씀을 안하셔서.. 하나 빠진게.. 계료스 아종이 빠졌네요.. 계료스 아종은 명칭이 뭐지??
    답글
    비공감0공감0
  • BeatBoxing09-07-21 14:13
    신고|공감 확인
    ㄴ 보라색이니까 자색독괴조겠지요

    아이루 메라루 - 수인족
    녹슨쿠샬 - 풍상룡
    답글
    비공감0공감0
  • BeatBoxing09-07-21 14:13
    신고|공감 확인
    녹슨쿠샬은 쿠샬아종
    답글
    비공감0공감0
  • 머리를내밀어09-07-21 16:10
    신고|공감 확인
    바사루가 그라비 새끼란건 처음알았네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김삿갓F09-07-21 16:42
    신고|공감 확인
    개념팁은 그게 어떻든 추천을 주고 싶네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아피세이아09-07-21 19:13
    신고|공감 확인
    풀풀은 괴룡, 적풀은 적괴룡 이런거 볼때마다 풀풀만 이상하더라.
    답글
    비공감0공감0
  • 날모기09-07-21 19:41
    신고|공감 확인
    엉? 디아모노가 초식이었내? ... ㄱ=
    답글
    비공감0공감0
  • Sellin09-07-21 21:00
    신고|공감 확인
    재밌는 팁이네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컨롤09-07-21 21:26
    신고|공감 확인
    모두가 깜빡하신게 있습니다..
    우리의 도스시리즈.....
    란포스, 이오스 ,게네포스도 꼬봉이죠.. ㅋㅋㅋㅋ
    답글
    비공감0공감0
  • Peacez09-07-21 23:20
    신고|공감 확인
    오오...좋네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리스피언09-07-22 03:42
    신고|공감 확인
    BeatBoxing // 아이루 메라루는 본문에 적었듯이 따로 아명이 존재하지 않아서 쓰지 않았습니다.
    쿠샬아종은 추가했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리스피언09-07-22 03:44
    신고|공감 확인
     Nts , 아피세이아 // 푸르푸르가 괴룡이라는 정보는 제가 확인할 수가 없는데, 공식적인 정보를 찾아주시면 확인 후 수정하겠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리스피언09-07-22 03:49
    신고|공감 확인
    강아지풀 // 게료스 아종의 경우, MH2G의 퀘스트명에서 자색의 독괴조, 인벤 퀘스트DB에서 자색 독조라는 것까지는 확인이 가능한데, 정식명칭을 확인할 수가 없는걸로 보아 아마 원종과 동일한 아명을 사용하는 것으로 유추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따끈통닭09-07-22 05:08
    신고|공감 확인
    게료스 아종은 \'자독괴조\'라고 합니다. 벨큐로스의 경우 무뢰용이 아닌 무뢰룡이 됩니다.(본래는 무뇌룡이 되야 하지만 \'무뇌\'라는 어감 때문에 의도적으로 무뢰라 표현한 듯 싶습니다.)
    또한, 조룡의 경우 홍룡을 아종이라 표현 했을때는 희소종으로 표현하고 미라루츠를 예명으로 표기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따끈통닭09-07-22 05:10
    신고|공감 확인
    극룡과 극다룡에 사용되는 극 자는 창 극(戟)자가 아닌 가시나무, 가시를 의미하는 가시나무 극(棘) 자이며, 무뢰룡의 무 자는 굳셀 무(武)자가 아닌 춤출 무(舞)자 입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리스피언09-07-22 06:46
    신고|공감 확인
    뢰의 경우 원발음이 뢰가 맞으나, 그것이 단어의 첫 소리글자로 올 경우 두음법칙에 따라서 뇌가 됩니다. 고로 무뢰용은 뢰가 맞습니다. 우뢰와 같은 이유입니다.
    그리고 무뢰룡이 아니고 무뢰용인건, 원래 룡이 옳으나 전 발음이 ㄹ인 상황에서 후 발음도 ㄹ로 날 경우에 순화되어 ㅇ이 됩니다.
    뢰나 용이나, 두음법칙에 의거하여 맨 앞에 올 경우 뇌, 용이 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뢰, 룡이 됩니다.

    그리고 홍흑조룡의 경우는, 홍흑룡은 흑룡의 아종인 것이 명확한 공식설정이나, 조룡의 경우는 흑룡의 희소종이라는게 공식설정에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걸로 압니다.
    (흑룡의 희소종으로 \'추정\'된다는 내용은 있는 듯)
    그렇기때문에 아종표기를 홍흑룡에만 달아두었습니다.

    자독괴조와 극, 무 한자표기에 대해선 확인 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따끈통닭09-07-22 07:07
    신고|공감 확인
    http://homepage2.nifty.com/ferias/hagi/esp.htm
    http://homepage2.nifty.com/ferias/hagi/beru.htm
    ↑벨큐로스와 에스피나스의 한자표기 참조
    자독괴조의 경우 청괴조, 창화룡 과 같이 게임상 소재 표기 등에서 직접적으로 자독괴조라 불리는 경우는 거의 없고, 위에서 명기된 창면조, 창백면조 등 처럼 유저에게 쉽게 불려지는 명칭에 가깝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리스피언09-07-22 07:12
    신고|공감 확인
    창면조는 일섭 프론티어 퀘스트 간판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창백면조는 확인하지 못하였습니다.
    자독괴조는 확인후 수정하겠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리스피언09-07-22 07:32
    신고|공감 확인
    지금보니까 게료스를 계료스라고 해놨군요;; 수정했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1섭Quentin09-07-22 08:39
    신고|공감 확인
    나나를 앙염용이라고도 한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잇츠군09-07-22 08:53
    신고|공감 확인
    그런데 쿠샬아종이 녹슨쿠샬인가요[.]
    ... 말그대로 녹슬었을뿐 종자는 같습니다.
    종자가 다른게아니라.. 후천적인 영향으로인해 녹슬었을뿐
    탈피하면 다시 쿠샬이되는디 [.]

    아.. 디아아종이 디아 번식기.. 그거보고 아종이라고하니까
    상관없나[.] 역시 프론티어팀의 작명센스는 저 질 ㅋ굳ㅋ
    답글
    비공감0공감0
  • 마신황제09-07-22 11:44
    신고|공감 확인
    그러고보니 쉔가오렌 자체도 \'선고인\'의  짱꿔식 발음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고것도 들어가면 좋지 않을까요? ㅋㅋ
    답글
    비공감0공감0
  • 마신황제09-07-22 11:44
    신고|공감 확인
    그러고보니 쉔가오렌 자체도 \'선고인\'의  짱꿔식 발음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고것도 들어가면 좋지 않을까요? ㅋㅋ
    답글
    비공감0공감0
  • CrNo09-07-22 20:31
    신고|공감 확인
    으음.. 구해조! 를 빨리 발음 하면 괴조가 됩니다....

    구해달란 소리죠
    불쌍한 쿡선생
    답글
    비공감0공감0
  • rlaehdus09-07-22 20:57
    신고|공감 확인
    벨큐로스에 무뢰룡 아니가요..? 무뢰용이라고써있네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팀버울프09-07-22 23:32
    신고|공감 확인
    벨큐로스는 원래 우리나라 외래어 표기법으로는 무뇌룡이죠....;
    뇌가 없다는 뜻으로 오인받지 않을까? 라는 인벤 기사 한방에
    한게임 측에서 무뢰룡으로 수정된 벨큐로스......ㄱ-;;;
    답글
    비공감0공감0
  • gavlial09-07-23 00:06
    신고|공감 확인
    음.. 챠챠브- 기면족, 킹챠챠브-기면왕,, 엄밀히 따지면 기면족에 킹챠챠브또한 포함이 되는 것이거늘.. 상하위개념이죠 ㅎ
    답글
    비공감0공감0
  • gavlial09-07-23 09:44
    신고|공감 확인
    다 아는건데,, 5.0 이상 프론티어 몬스터도 개명 알수 있을가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콘군09-07-23 10:51
    신고|공감 확인
    ㄴ5.0에 나온건...탄룡 파리아푸리아네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리스피언09-07-23 12:16
    신고|공감 확인
    잇츠군 // 생각하시는대로입니다.

    마신황제 // 정식명칭이 쉔가오렌이고, 그것이 선고인에서 발음을 따온것이라는 것도 옳으신 말씀입니다. 다만 그런 설정에 관련한 세부적인 사항은, 과거 정리한 글도 있고 본 글의 주제와 다소 동떨어지는 것 같아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rlaehdus // 무뢰용과 무뢰룡은 발음법의 차이입니다만, 제 짧은 지식을 동원했을 때 국문법상 무뢰용이 맞다고 보여져 그리 적었습니다. 실제 본 게임 내에서(홈페이지등에 적어놓은건 건 좀 신뢰도가 낮네요) 무뢰룡이라 표기된 부분이나, 국문법상 무뢰룡이 옳은 표기인 것이 확인되면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팀버울프 // 용이냐 룡이냐 부분은 저도 확신하지는 못하겠습니다만, 뇌, 뢰 부분은 뢰가 확실합니다. 무뇌라고 했을 때의 어감 문제는 고려사항이 아니고, 애시당초 한게임에서 문법확인을 안하고 직번역을 했다가 차후 수정한 것 같습니다.

    gavlial // 엄밀히 따지는 것 이전에 종 구분은 수인종으로 구분되며, 당연히 종족의 하위 개념에서 둘 다 기면족으로 카테고리가 설정되어 있기는 할겁니다만, 공식설정에서 챠챠브는 기면족으로, 킹챠챠브는 기면왕으로 표기가 되어있습니다.
    위 글에서 제 개인적인 생각이 포함된 부분은 없습니다. 저에 대한 말이 아닌, 제작사 캡콤을 향한 발언이라고 생각하겠습니다.

    그리고 본 글은 현재, 몬스터를 겪으시면서 아명을 잘 모르시는 분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의도로 작성한 글이며, 일본에서 한국으로 넘어오면서 커스터마이징을 한다거나 할 가능성이 전혀 없는게 아니고 한섭에 아직 패치되지 않은 것들은 어디까지나 \'미정\'인 것으로 판단하여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Chaoskeeper09-07-28 03:05
    신고|공감 확인
    국내 프론티어에선 자자미는 방패게, 기자미는 낫게, 쉔가오렌은 요새게로 번역되어 있는데 이쪽으로 수정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리스피언09-07-28 03:26
    신고|공감 확인
    Chaoskeeper // 일본에서는 한자로 표기하였고 국내에서는 한글말로 풀어서 써놓았는데.. 어디까지나 우리나라 역시 일본과 같은 한자문화권입니다. 제작당시 고려되었던 명칭을 국내로 들어오면서 임의로 수정, 개명한 것이 아니라면 굳이 한자라는 이유로 수정해야 할 근거가 없습니다.
    방패게 낫게 요새게라는 표현은 기존의 명칭을 순 한글말로 수정, 개명했다기보다는 다소 생소한 한자표기에 혼란이 생길 것을 우려하여, 우리나라 현지사정에 맞춰 이해를 돕기위해 풀어서 썼다고 보는게 타당하다고 여겨져 수정치 않았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리스피언09-07-28 03:29
    신고|공감 확인
    그리고 21일에 푸르푸르가 괴룡이라는 코멘트를 달아주셨는데, 일주일동안 아무리 찾아봐도 괴룡에 대한 부분은 어디를 어떻게 뒤져봐도 확인이 안됩니다.
    관련하여 근거할 수 있는 자료를 찾아주세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qscgb09-07-28 21:34
    신고|공감 확인
    가레오스는 사룡이 아니라 어룡입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쉐리르09-07-28 23:26
    신고|공감 확인
    qscgb// 가레오스 사룡맞아요. 모래 砂자 써서 사룡맞습니다.
     종류가 어룡종 이라고 위에 표기가되있네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리스피언09-07-29 03:02
    신고|공감 확인
    qscgb //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부탁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라이칸스09-07-29 12:59
    신고|공감 확인
    풀풀은 \'이명이 없습니다.\'입니다.
    괴룡이라는 말이 있긴 한데 그런거 없고 그냥 푸르푸르입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BloodyScar09-07-29 18:49
    신고|공감 확인
    괴룡...? 어울리네요
    좀더 덧붙이자면 
    파리아푸리아 - 탄룡
    에스피나스 희소종 - 극백룡 .. 이랄까
    답글
    비공감0공감0
  • BloodyScar09-07-29 19:12
    신고|공감 확인
    심심하니까 트라이 것도 써봄. 몬헌 접속이 안되네 - -..
    수룡종 / p.s 물 수가 아니고 야수할때의 수 입니다.
    볼보로스 - 토사룡
    우라간킨 - 폭퇴룡
    아로데구스 - 공폭룡 
    세레나 - 수수 
    조룡종 /
    쿠루펫코 - 체조
    해룡종 /
    라기아쿠루스 - 해룡 (종을 대표하므로... 종을 나타내는 이름과 같지만 봐준듯?)
    우리에오스 - 염과룡(얼마전까진 아그나 라고 알고 있었는데.. 바뀌었나요?)
    우리에오스의 새끼(명칭 모름) - 용암수 
    비룡종 /
    기기네브라 - ??? (별칭은 모르고... 트라이판 풀풀이랄까?)
    베리오로스 - 빙아룡 
    고룡종 /
    대해룡 - 모레쿠르스
    황흑룡 - 미라그레이드 (미라 재탕 ㄳ)
    봉산룡 - 펜샨롱 (트라이판 노과장이 될듯..)
    어룡종 /
    등어룡 - 챠나가블

    이 정도?.. 잡몹은 귀찮아서 안 씀. 빠진거 있으면 써주세요..
    다 쓰니까 왠지 다 알거 같은 허무감이?...
    답글
    비공감0공감0
  • BloodyScar09-07-29 19:13
    신고|공감 확인
    아 출처는 태풍님의 몬스터헌터 전원일기 .
    답글
    비공감0공감0
  • qkekwnd09-07-29 22:36
    신고|공감 확인
    나름 재미있는 이름도 많군요 그러나 추천수 .....
    답글
    비공감0공감0
  • 곤란하네요09-07-29 23:34
    신고|공감 확인
    읽다보니까 내이름이 있네?
    답글
    비공감0공감0
  • 리스피언09-07-30 01:00
    신고|공감 확인
    현재 존재하는 프론티어의 몬스터만 정리했기때문에 당연히 포터블판이나 트라이의 몹은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5.0등장몹에 대한건 위에 적었습니다.

    곤란하네요 // 작성하신 방식이 편해보여서 정렬방법만 좀 참고해보았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엘라스틴했어09-07-31 13:50
    신고|공감 확인
    \'룡\'인데 두음법칙으로 \'용\'일텐데요. 女, 李 처럼...
    답글
    비공감0공감0
  • LUNACAL09-07-31 16:38
    신고|공감 확인
    가레오스는 어룡
    도스가레오스는 사룡이 맞음

    가레오스가 어룡 이빨, 어룡의 간을 주지만
    도스가레오스도 역시 도스시리즈이기때문에 가레오스의 소재도 내뱉는것
    답글
    비공감0공감0
  • LUNACAL09-07-31 16:39
    신고|공감 확인
    그렇지만 포터블과 달리 프론티어에서는 가레오스가 사룡소재도 뱉기때문에 헷갈리게된듯
    답글
    비공감0공감0
  • 리스피언09-07-31 17:35
    신고|공감 확인
    가레오스가 어룡이라고 판단한 근거가 입수가능한 소재에 있다.. 라는 것이라면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어룡의 이빨은 소재명에서부터 가노토토스등의 어룡종에 입수 가능하다는 말이 있고, 어룡의 간의 경우도 도스가레오스는 가레오스와 명명이 다르지만 도스격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입수 가능하다라는 점도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점입니다.
    소재로 해당 종의 이름을 가진 아이템을 뱉는 경우가 한두가지가 아니기때문에 예외적으로 이해하기도 어렵구요. 종의 이름이 어룡이 아니었다면 바로 납득될만한 문제긴 합니다만..
    그리고 종의 이름인 어룡으로 명명한다면 어룡종의 대표격이라는 느낌이 물씬 들어야할 터인데 물에 살지도 않는 가레오스가 해당 명을 가지고 있다는 것도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구요.
    물론 이건 정확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가레오스가 어룡이라는 점에 대해서 제가 느끼는 바일 뿐, 가레오스가 어룡으로 언급되었거나 그렇게 표기된 정보를 알려주시면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이거 공지가서 수정할 순 있으려나?
    답글
    비공감0공감0
  • 라이칸스09-08-01 04:15
    신고|공감 확인
    가레오스는 이명이 없습니다.
    왜냐면 대표격인 도스가레오스가 있기 때문이죠.

    마찬가지로 콩가나 브랑고도 이명이 없죠. 대표격인 바바콩가와 도도브랑고의 이명을 따라 도모수와 설사자로 불릴 뿐입니다.

    즉, 기본적으로 같은 종이기 때문에 따로 이명을 넣지 않는거죠. 이명은 단지 보스몹을 쉽게 부르기 위한 것일 뿐입니다.

    푸르푸르만 예외적으로 이명이 없습니다. 진주색도 매혹색도 푸르푸르의 이명이 아닙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500계노조미09-08-02 12:57
    신고|공감 확인
    플플은 이명이 없지요 굳이 따지자면 알비노정도
    답글
    비공감0공감0
  • 폐인이09-08-03 17:59
    신고|공감 확인
    와... 메니아분들은 달라도 너무 다름 +_+
    좋은 정보 너무 너무 감사해여~ +_+
    답글
    비공감0공감0
  • BloodyScar09-08-05 17:02
    신고|공감 확인
    다들 신경쓰는거 같진 않지만 제가 쓴 트라이 몬스터 정보에는 오보가 많네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라이칸스09-08-06 13:38
    신고|공감 확인
    푸르푸르는
    용반목 수각아목 희백룡상과 푸르푸르.
    라고 되어있습니다만, 희백룡조차도 이명이 아니에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리스피언09-08-09 08:18
    신고|공감 확인
    베팁게시판에서 코멘트가 제일 많은 글이 될 것 같은 위험한 느낌이 물씬 드네요..
    가레오스나 야오자미같은 녀석들이 도스격의 몬스터와 아명이 동일한 까닭은, 세부 종이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아종격으로 취급될 만한 특수한 차이점도 존재하지 않구요.
    가레오스와 도스가레오스는 그냥 단순하게 같은 사자중에서도 서열이 낮은 놈과 우두머리격의 녀석의 차이 정도입니다.
    결국 같은 놈이라는거고 도스나 도도같은 접두는 결국 우두머리나 대장 정도의 의미밖에 되지 않기때문에 아명이 동일한 것일 겁니다.

    콩가나 브랑고 같은 경우는 아명을 사용한 경우를 제가 확인하지 못하여 적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아마도 바바콩가와 도도브랑고와 같을 것이라 생각되긴 합니다.

    물론 이 이유는 제가 생각하기에 그렇다는 것이고, 위 표기는 전부 실제 공식적으로 표기된 부분만 확인해서 가져온 것이기 때문에 제가 오류를 낸 것일 수는 있어도 틀리진 않습니다.
    이유는 명확하지 않고 표기는 명확한 것입니다. 공식적으로 \"이러저러하기때문에 이러이러한 표기를 한다.\" 라는 말은 없으나 \"이놈이 이렇게 불린다.\" 라는 말은 존재한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근거나 다른 이유를 들어서 위의 정보가 틀리다고 말씀하시면 받아들이기가 어렵습니다. 공식 설정이 그런것이니까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마료마리옹09-08-26 15:50
    신고|공감 확인
    몬헌3로 한다면

    오르타로스 - 갑충
    부나하브라 - 비갑충
    도스쟈기,도스바기 등등 - 딱히 없고 조룡
    쿠루펫코 - 채조
    볼보로스 - 토사룡
    로아루도로스 - 수수
    루도로스 - 수생수
    챠나가블 - 등어룡
    라기아크루스 - 해룡
    리오레이아 - 자화룡
    리오레우스 - 웅화룡,화룡
    디아브로스 - 각룡
    기기네브라 - 알비노(딱히 없음)
    베리오로스 - 빙아룡
    우로코토루 - 용암수
    아그나코토루 - 염과룡
    우라간킨 - 폭추룡
    나발데우스 - 대해룡
    지엔-모란(젠모란) - 봉산룡
    이빌 죠(Evil-Joe) - 공폭룡
    알바토리온 - 황흑룡
    답글
    비공감0공감0
  • AvadaKedavra09-10-12 23:38
    신고|공감 확인
    미유저가 부르는 이름도 같이 넣었으면... 완벽 ~!
    답글
    비공감0공감0
  • 제로의한손검09-12-13 17:15
    신고|공감 확인
    와우~~ 잘만드셧네
    답글
    비공감0공감0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몬헌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