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 모음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정보] 와일즈 최소금관을 위한 필드 리셋 및 테이블 예측 방법

우키더휴먼
댓글: 8 개
조회: 3784
추천: 4
2025-05-18 13:45:38

방금 와일즈 금관작 완료하면서 한국 훈타분들 사이에선 잘 안알려진 것 같은 정보가 있어서
나중에 도전하실 분들을 위해서 도움이 될 것 같아 올려봅니다.

저도 기본적으로는 다른 분들께서 올려주신 것처럼 용곡의 터 와리가리 + 구조신호 + 필드 리셋작을 통해서 다 모았습니다.

(참조: https://www.inven.co.kr/board/mhf/3749/9604) 
다만 제가 초초초 내향형인 관계로 다른 분들에게 금관 퀘스트 서로 나눔하는 방법은 넘모 무서워서 못했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몇 마리 죽어도 금관이 안나오는 몹들은 어떻게든 혼자서 해결하려고 필드 리셋 노가다를 했는데
정말 이상했던게 아무리 필드 리셋을 해도 최소금관은 절대 안뜨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해서 필드 리셋에 대해서 일본 커뮤니티들을 위주로 찾다가 

왜 최소금관이 절대로 안뜨는 지에 대한 굉장히 흥미로운 글들을 찾게되서
 결국 일본어 까지 해석해 가면서 따라해서 비교적 짧은 시간안에 최소금관까지 다 구할 수 있었습니다.

핵심이 되는 글은 아래의 "【몬헌와일즈】 통계학을 이용한 금관 모음의 효율화" 이라는 글인데요:
https://note.com/cielcs/n/n98805e23fdb3

핵심만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1. 몬스터의 크기는 몬스터 사이즈 테이블에 따라서 결정된다.
2. 몬스터 마다 사이즈 테이블은 4개가 있다:

  • 역전 개체 테이블: 최대 금관: 5%, 최대 은관: 19%, 최소 금관: 1%, 일반 크기: 75%
  • 통상 개체 (중) 테이블: 최대 금관: 2%, 최대 은관: 12%, 최소 금관: 2%, 일반 크기: 84%
  • 통상 개체 (소) 테이블: 최대 금관: 1%, 최대 은관: 10%, 최소 금관: 3%, 일반 크기: 86%
  • 통상 개체 (대) 테이블: 최대 금관: 3%, 최대 은관: 14%, 최소 금관: 1%, 일반 크기: 83%
  • 3. 필드 리셋작시 테이블은 휴식을 취하면서 세이브가 되는 시점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리셋작을 하면서 "저장하지 않고 끄기" --> "재접속" 을 하면 고정된 테이블의 확률표에 따라서 몬스터의 크기는 바뀌지만 확률 분포 자체는 테이블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바뀌지 않는다.
    4. 최대 금관작을 할때는 무조건 역전 개체를 노려라. 역전 개체의 최대금관 확률은 1/20

    5. 최소 금관작을 노릴때는 "통상 개체 (중)" 이나 "통상 개체 (소)" 테이블에 노려라.

    • 역전 개체로 리셋작을 하면 최소금관이 나올 확률은 1/100 이다.
    • 통상 개체로 한다고 하더라고 "통상 개체 (대)" 테이블에 걸리면 최소금관이 나올 확률은 어전히 1/100 이다.
    • "통상 개체 (중)" 테이블만 되도 리셋작 시간을 2배 줄일 수 있다.
    6. 다만 테이블을 직접 확인할 방법은 없으니, 직접 리셋작을 하면서 통계적 혹은 직관적으로 판단해라.

    5번 부터 이게 어쩌라는 건가 싶으실 수도 있으실 텐데 좀더 직관적으로 말씀드리자면:
    • 최소금관 필드 리셋작을 하는데 최대은관도 자주 나오고 최대금관도 심심치 않게 보인다? --> 통상개체 (대) 테이블 당첨 가능성이 높으니 당장 휴식을 통해서 테이블을 바꾸고 리셋작을 다시 시작.
    • 최소금관 필드 리셋작을 하는데 최대금관은 아예 안보이고 최대은관도 가뭄에 콩나듯 보인다? --> 통상개체 (소) 테이블 당청 가능성이 높으니 희망을 가지고 계속 리셋작을 하라.
    • 최소금관 필드 리셋작을 하는데 최대은관은 간혹 보인다? --> 통상개체 (중) 테이블 당청 가능성이 높다. 조금더 빨리 찾고 싶으면 휴식을 통해서 테이블을 바꿔보는 것도 고려해보자.

    원글에서의 예시:
    구체적인 예 예를 들어, "어느 리오레우스를 쌍안경으로 관찰했을 때 최대 은관이 2회, 최대 금관이 1회, 보통이 10회 나왔다"고 하면 (대) 테이블인 확률이 53%, (중) 테이블인 확률이 33% , (소) 테이블인 확률이 14%가 됩니다. 즉, 현재 주회하고 있는 리오레우스는 큰 테이블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휴식해 테이블을 갱신하려고 하는 느낌으로 의사 결정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저는 초반에서 최대 금관이 나오면 절대로 그 개체로의 주회를 스톱합니다.

    참고로 테이블 종류와 개체 강도 (다이아 개수) 는 상관이 없는것 같습니다. 일본 커뮤에서 뒤져도 둘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더라고요. 개인적으로 느끼기에는 그것보다  "평소보다 많은 보상을 얻을 수 있다" 는 메세지가 뜬 경우 (대) 테이블로 추측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좀 더 통계적으로 접근하고 싶으신 분들은 원글 작성자가 만든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내 현재 테이블이 어떤 테이블일 가능성이 제일 높은가를 유추하면서 리셋작을 하셔도 좋습니다.
    저도 마지막에 누 이그드라는 감이 안잡혀서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중) 테이블이라는걸 알고
    50차 넘어서 까지 인내심을 가지고 하다가 한 60번째 리셋에서 최소금관을 먹었네요.

    프로그램 링크: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7xiak-sqT3JcnWkyhK9S2QCb5DhejW4k?usp=sharing
    (구글 코랩으로 돌아가는 거라 구글 계정이 필요합니다.)

    아래와 같은 질문이 반복되면서 확률을 업데이트 해주는 방식의 프로그램입니다. 빨간색파란색으로 칠한 부분이 질문입니다.

    관찰한 사이즈를 입력해주세요:
    1: 최소 금관 (小金)
    2: 최대 은관 (大銀)
    3: 최대 금관 (大金)
    4: 그 외 (보통 크기/관 없음)
    0: 종료

    번호를 입력 (예: 1 → 최소 금관): 4    # 보통 크기
    해당 크기가 몇 번 나왔는지 입력: 10    # 10마리 

     🔍 현재 테이블 추정 확률:
      중간 테이블: 33.30%
      소형 테이블: 35.73%
      대형 테이블: 30.97%

    대답을 할때마다 이전의 대답에 누적되는 식입니다.
    예를 들어 (4, 10) 입력, (2,1) 입력, (4, 1) 입력시,
    총 12회의 리셋중 일반 사이즈 11마리 최대은관 1마리 나온 상황을 기준으로 테이블 추정 확률을 보여줍니다.


    글이 쓸데없이 길어졌는데 결국 될놈될이라고 
    이런거 없어도 운이 좋으신 분들은 바로 최소 최대 금관 먹고 끝나실 거니
    그냥 가볍게 읽어보시고 이런게 있구나 하시다가
    혹시나 저처럼 리셋 50번 넘개 해도 안나와서 스트레스 받으실 때가 있으시면
    한번쯤 참고해 보시면 좋지 않을까 싶네요

    저는 그러면 이만 남은 훈장작 마무리하러 가보겠습니다ㅎ

    Lv13 우키더휴먼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몬헌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