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는 공개 테스트 서버에서 거점 점령 임무가 있는 전장들의 승리 조건에 변화를 주는 것을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이는 하나무라와 볼스카야 인더스트리 같은 점령 전장과 아이헨발데, 왕의 길과 같은 점령/호위 (혼합형) 전장의 첫 번째 거점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유형의 전장은 현재 라이브 서버에서 저희가 원하는 수준보다 더 빈번하게 무승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하나무라와 같이 수비 측이 더 유리한 점령 전장에서 무승부가 일어날 확률이 더욱 높은데, 실제로도 오버워치 전장 중 가장 무승부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무승부가 발생할 확률을 가능한 최소화하기 위해 매우 공격적인 승부 시스템을 시도해보기로 했습니다.
기본 규칙:
이제 이기기 위해 상대 팀보다 거점을 하나 더 완전히 점령하지 않아도 됩니다. 만약 양 팀이 동점이고 주어진 시간을 모두 소진했다면, 저희는 이제 각 팀이 마지막 거점에서 진행한 최대 점령 비율을 비교할 것입니다. 이 거점에서 더 높은 점령 비율을 가진 팀이 이기는 것이죠. 이는 33%씩 구분되는 점령 진척도 단위가 아닌 0부터 100% 범위의 수치를 기준으로 합니다. 세 부분(1/3 단위)으로 구분된 점령 진척도는 기존과 동일하게 작동하며, 따라서 만약 공격팀이 거점 점령을 50% 이상 진행한 후 전멸했다면 최소 점령 비율은 33%로 감소합니다. 최대 점령 비율은 점령 진척도를 알려주는 원 모양의 인터페이스 바깥에 주황색의 세모 모양으로 표시될 것입니다.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몇 가지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예시 1:
A팀은 공격을 진행하면서 3분을 남긴 채 첫 번째 거점과 두 번째 거점을 모두 점령하고, 2점을 획득합니다.
B팀은 공격을 진행하면서 첫 거점을 점령하지만 두 번째 거점 점령에는 실패합니다.
A팀이 2:1의 점수로 승리합니다.
(이 점은 라이브 서버와 다르지 않습니다.)
예시 2:
A팀은 공격을 진행하면서 첫 번째 거점을 점령하고 두 번째 거점 점령을 시도합니다. 기회를 잡아 상대 팀을 밀어붙이며 두 번째 거점 점령 비율을 73%까지 달성하는 데 성공하지만, 수비팀에 의해 전멸하여 점령 진척도가 두 번째 단계인 67%로 떨어집니다.
B팀은 공격을 진행하면서 첫 번째 거점을 점령하는 데 성공합니다. 2:1로 승리하기 위해서 B팀은 두 번째 거점을 74% 이상 점령해야 합니다.
예시 3:
A팀은 공격을 진행하지만 첫 번째 거점으로의 진입이 완벽하게 차단되어 거점 점령을 1%도 진행하지 못합니다.
B팀 또한 공격을 진행하지만 첫 번째 거점으로의 진입이 완벽하게 차단되어 거점 점령을 1%도 진행하지 못합니다.
점수는 0:0으로, 이 경우는 이전과 동일하게 무승부입니다.
양 팀이 공격을 진행하는 동안, 공격팀의 플레이어가 격돌 상태가 아닌 거점에 있는 시간이 아예 없어야 하기 때문에, 저희는 이 경우가 현재 라이브 서버에서 보다 훨씬 적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예시 4:
A팀은 공격을 진행하면서 3분을 남긴 채 첫 번째 거점과 두 번째 거점 모두 점령하고, 2점을 획득합니다.
B팀은 공격을 진행하면서 남는 시간 없이 두 거점 모두 점령하고, 2점을 획득합니다.
A팀은 이제 3분 동안 첫 번째 거점 점령을 1%만 진행하면 됩니다. 첫 번째 거점 내에 수비팀이 아무도 없을 때 A팀의 플레이어가 거점에 위치하는 순간 승리를 거둡니다.
상기 예시들은 점령 전장에서의 경우만을 들었지만, 이 시스템은 눔바니와 왕의 길 같이 점령/호위 혼합형 전장의 첫 번째 거점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변경된 방식이 의미하는 바는?
이는 수비팀이 이전보다 거점에 주의를 더욱 기울이며 거점을 확실하게 지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점령 진행 비율의 매우 작은 차이도 이제 경기의 판도를 뒤집을 수 있습니다. 또한, 거점 점령을 0%로 완벽하게 막아내는 것은 이제 정말 큰 의미를 지닙니다.
공개 테스트 서버에서 경쟁전은 현재 하나무라와 아이헨발데에서만 제공되니, 공개 테스트 서버를 플레이하신다면 이 새로운 승부 시스템이 승패를 가리는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는 전장을 플레이하게 될 것입니다. 저희는 여러분의 피드백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적용된 시스템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과 인터페이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남겨주시길 부탁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