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모크나이퍼 진화 라인
가성비와 스펙 모두 훌륭한 카드로 모크나이퍼는 기본 포켓몬부터 2진화까지 세마리가 모두 벤치를 때릴 수 있게 됐습니다. 3다이아 2진화도 굉장히 효과가 좋은 편. ex의 100딜에는 못 미치나 벤치 70딜이면 텅비드나 춤추새가 모두 범위에 들어오기에 환경에서 잡을 포켓몬이 많습니다.
현재는 주로 마스카나와 함께 쓰고 있지만 신규 진화 라인을 바탕으로 모크나이퍼 단일덱도 가능해졌습니다.
2. 제라오라
번개 타입 무장조. 생각보다 카드는 나쁘지 않은 느낌입니다. 잡히면 1에너지로 가성비 좋게 쓸 수 있고, 잡히지 않는 다면 다른 카드가 나가 있는 사이에 에너지를 모으면 그만. 특히, 일렉트릭 코드와 연계도 좋고 벤치에서 에너지를 받아먹기에도 무난합니다. 카푸꼬꼬꼭ex+일렉트릭 코드 형태의 덱을 짠다면 가장 먼저 고려해볼 카드인듯.
3. 텅비드
뉴메타의 크리만이 될 카드?
1일차 평가는 기존 예측보다도 더 좋은 편인듯. 기존에도 예상됐던 독바늘과의 연계는 매우 우수하고, 2에너지를 붙여 사용해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악식킹ex나 또도가스, 다크기라 등 악타입 에너지를 쓰는 덱 전반과 잘 어울립니다.
4. 실버디
생각보다 매우 강한 카드. 1진화 110체력에 100피해로 우수한 딜러의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에너지도 타지 않아 여러 덱에서 전천후 1점 카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용식-잠만보를 생각하면 파츠를 더 많이 먹고 진화가 필요하지만, 고점과 안정성은 이쪽이 더 높다고 할 수 있을듯.
특히, 전용 트레이너 글라디오의 존재로 서치가 쉽기 때문에 진화에 실패할 확률이 적은 편. 글라디오는 실버디의 100피해 조건을 맞춰주고, 글라디오는 실버디의 진화를 서치해주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라 시너지가 좋습니다. 현재는 타입:널을 1장만 넣고 실버디를 끌어와 전열 1점 카드로 사용하는 활용이 보이고 있네요.
5. 철화구야
최강의 울트라비스트.
교체 비용이 높은 매시붕ex, 악식킹ex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카드이면서, 0에너지 후퇴가 가능한 우수한 벽 카드. '루자미네'를 연계하면 자체적으로 100피해를 넣을 가능성도 있어 여러모로 좋습니다. 단점은 울트라비스트가 일정 숫자 있어야 제대로 값을 한다는 것.
6. 렌트라
실질 체력 150에 무난한 2진화 카드.
그러나 3에너지 기술의 가성비가 좋지 않으며, 특별한 효과도 없어서 사용할 이유는 크지 않은 느낌. 전진의 서포트를 받으면 1에너지 90 피해로 가성비가 올라가지만, 에너지를 따로 트래쉬 해줘야 하기 때문에 손이 많이 갑니다. 조금 미묘한 카드네요.
7. 비스트월
환경이 더 진행되면 쓰일 수 있는 카드. 다만 루자미네와 반대되는 조건이라 사용하기는 조금 애매한 느낌. 울트라비스트 미러전이 일어나거나 저격 덱이 나온다면 조건부로 써볼 수 있겠습니다.
8. 벌레회피스프레이
굉장한 포텐셜을 가진 카드.
기본 포켓몬 한정이지만 초련 효과를 쓸 수 있습니다. 일반 아이템이기 때문에 서포트 트레이너의 1회 조건을 타지 않는 것이 최대 차별점. 박사의 연구+스프레이 같은 연계가 가능하며 레드+벌레회피스프레이 같은 변칙 연계도 됩니다.
문제는 사탕 진화 환경인 현 메타에서는 상대가 1진화만 해도 못 쓰는 패로 변한다는 것이 리스크입니다. 기라다크 같은 기본 포켓몬 위주의 덱을 상대로 시간을 벌거나 비효율적인 교체를 강요할 수 있습니다. 마스모크, 리자몽 등 2진화 덱도 초반에 쓴다면 에너지 손해를 유도할 수 있어 넣어서 나쁠 것은 없는 느낌이네요. 덱 스페이스가 남는다면 채용을 고려해봄직 합니다.
9. 일렉트릭코드
번개 템포덱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카드.
많은 기본 포켓몬을 쓰면서, 후열 어택커를 키우는 번개 타입 덱과 잘 어울립니다. 이 카드의 최대 수혜자는 '피카츄ex(샤이닝 하이)'로 에너지를 1개 보충하면서 에너지를 붙이면 다음 턴 즉시 출격이 가능해집니다. 번개 타입은 카푸꼬꼬꼭ex, 제라오라 같은 초반 에너지 부스팅을 가진 카드를 받아서 일렉트릭 네트의 조건을 맞추기도 쉬워졌습니다.
10. 비스트나이트
울트라비스트 스노우볼에 쐐기를 박을 수 있는 변칙 카드.
울트라 비스트에는 포켓몬을 내주고 이득을 볼 수 있는 루자미네가 있어 이 카드도 조건이 자연스럽게 맞춰집니다. +10만 해도 영구 비주기, +20부터는 파격적인 딜교환이 가능해집니다.
아쉬운 점은 울트라비스트 주류덱인 매시붕ex와 악식킹ex 모두 도구 의존도가 높다는 점. 리프 망토, 독바늘이 이 카드보다 우선도가 높습니다. 사용해도 1장 정도 쓰게 될 듯.
11. 글라디오
실버디 덱을 꾸린다면 우선 고려해볼 카드.
효과는 실버디, 타입:널 전용 몬스터볼로 수수한 편이나 실버디의 추가 피해 조건을 맞춰주기에 시너지가 좋은 편. 특히 진화체를 찾는 다는 차별점으로 인해 실버디를 쓴다면 무조건 넣어야 할 카드입니다. 서포트 트레이너라 모야모, 박사의 연구와 못 쓴다는 것이 아쉬운 부분.
12. 핸섬
현재로서는 랭크에서 상대 덱을 염탐하는 정도의 가치만 있는 카드.
상대 덱 구성을 보는 것은 꽤 중요한 정보입니다만, 1턴 1회 사용할 수 있는 서포트 트레이너 기회를 날린다는 것이 뼈아픕니다. 이렇게 서포트를 썼는데 아무 이득이 없는 것도 문제.
소중한 덱 공간을 소비해서 쓰기에는 조금 아쉬운 파워인 셈. 그나마 유효한 연계는 핸섬+레드카드로 상대 덱의 서포트를 보고 이상한 사탕과 같은 핵심 카드가 패에 있는지 체크 후 레드카드를 쓸 수 가 있는데... 두 장 콤보치고는 뭔가 아쉽습니다.
13. 루자미네
울트라비스트 운영의 핵심이 되는 카드.
특히 매시붕과 잘 어울립니다. 2에너지를 붙이면 필드에 매시붕이 없어도 철화구야+루자미네로 즉시 공격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120 피해를 넣을 수 있습니다. 매시붕이 2연타를 치기 위해서도 쓸 수 있는 카드라(후퇴-2에너지>철화구야>루자미네>3에너지로 다시 120펀치 가능) 가치가 높은 편.
템포를 올릴 수 있고 변수를 만든다는 점에서 2장 채용하게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