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랑 유럽섭 1렙 키울때 기억 살리면서 아시아 섭에서 봐온 아어 1렙 데하카와 노바에게 이 글을 바칩니다.
만약 사령관 레벨 1렙과 15렙의 경우 노바와 데하카의 각각의 차이
LV 1 데하카
원시 돌연변이 없음
-공격력에 매우 큰 차이는 없음. 데미지에 직접연관있는건 공속과 땅무지2배효과.
-방어력에 대해서는 피통50%와 흡혈20%는 적은 량은 아니나 컨트롤 여하에 따라 있고 없고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
데하카 레벨 및 스킬제한
- 회복오라, 디텍, 방어증가 없음(기본1), 공중평타는 섭취로만 가능, 10렙이 레벨캡 평타랑 브레스 최대피해량 110
원시 전투 없음
- 생산가능 유닛 : 저글링, 바퀴, 히드라, 숙주, 울트라
- 생산 불가능 유닛 : 라바사우르스, 점화자, 뮤탈, 수호군주, 땅무지, 관통촉수, 티라노조르
- 가능 업그레이드 : 바퀴 이속, 히드라 이속+사거리, 울트라 돌진 및 회복
패널 스킬 약화
글레빅 : 평타스플래시있음, 브레스없음
멀바르 : 일반 식충만 생성, 본체는 공중공격가능
다크룬 : 돌진있음, 반사뎀없음.
거대 원시벌레 : 빔없어짐 소환 쿨 120초
거대 원시벌레(패널)와 원시벌레(건물), 데하카는 땅파기가 없어짐.
약점
1. 대공 부실
- 히드라와 공중 섭취 데하카 제외 이동가능한 대공유닛 없음. 6분에 한번 글레빅과 멀바르로 공중지원 가능. 글레빅의 대공은 강력한 편이나 멀바르는 그보다 약한 대인평타만 추가됨.(땅무지없음). 거대원시벌레로 대공지원이 가능하나 땅파기가 없는상태.
2. 디텍 부실
- 디텍이 2분에 한번뽑는 거대 원시벌레 제외 없다고 생각해도 됨. 다행인건 3스택가능. 기지 방어용 디텍은 원시벌레는 가능하나 공격용으로 패널이 유일. 그나마도 설치 후 이동안됨. 관문토스의 다크는 이동하는 근딜이라 어느정도 뭉쳐있을때 브레스랑 점프딜로 어느정도 해결이 되나 밴시, 럴커, 군단숙주는 처리 어려움.
3. 기본 유닛 부실
- 기본유닛 업그레이드 부실로 적이 지상빌드로 오더라도 피해가 커짐. 기본적인 탱킹유닛인 바퀴는 이속업글이 유일. 저글링은 가성비는 좋으나 업그레이드의 부재로 타 저그사령관의 저글링에 비해 후반부 존재감상실. 울트라는 그 와중 쓸만한 편이긴 하나 로공이나 메카닉에 취약. 회복오라의 부재로 그나마 살아남은 유닛 복원 불가능.
데하카가 1렙에 아어가 불가능 한것은 아니나 적과 맵을 많이 타게됨.
쉬운 맵에 쉬운 조합이라면 충분히 가능함.(공허균열에 바이오닉 등등)
아몬의 낫에 로공토스나 스카이테란이면 데하카본체도 일벌레 물마시듯 마시게됨.
어려운 적과 맵 조합에선 패널을 공격이나 방어 둘 중 하나에 쓰며 같이 진입해야 1인분 가능.
아군과 쿵짝이 안맞았는데도 클리어 했다면 아군이 2인분 했다고 생각하면됨.
LV1 노바
패널 반토막
- 방어드론과 즉시 부활만 가능. 방어드론은 90초쿨 최대 3스택까지
노바 본체 약화
- 저격 모드만 가능. 주변 디텍업글 제외 업그레이드 없음.(피젠, 저격 마나회복) 핵 없음.
병력 업그레이드 반토막
- 업그레이드 비용 100% 받음. 여러 유닛 주요 업그레이드 불가능(해병 자극제, 골리앗 스턴, 유령 3연발, 밤까마귀 기술 3스택). 다만 조합에 따라 크게 의미 없는 상황도 있음.
정제소 수동
- 확장이 있는 맵의 경우 인구12추가 소모.(14,12 SCV를 운용할 경우 100인구중 일꾼만 38이 됨) 다만 그리핀습격, 공중수송으로 들어가는 미네랄이 없기때문에 일꾼수 조절가능.(탱크지뢰를 쓴다면 2배수강제)
약점
1. 패널감소에 인한 즉시대응력 감소
- 방어드론쿨증가와 스택감소는 전투상황과 컨트롤에 따라 큰 차이 보이지 않고 운용가능. 그러나 그리핀 공습과 수송이 없음으로 인해 공세방어와 공격에 좀더 소극적으로 운용하게됨. 평소에는 수송이 있어서 크게 신경안쓰는데 수송없는 노바는 발고자 뚜벅이임. 정 급할경우 노바를 죽이고 시야가 보이는곳에 부활시키는 것으로 유사수송가능
탱크와 해방선으로 평소보다는 약하여 좀더 수비적인 운용이 가능함.
예를 들어 살링링의 경우 공세오는길에 탱크지뢰가 있다면 충분히 막으며 해방선도 4기이상만되면 갈귀에 터질일은 거의 없음. 스카이의 경우 해방선에 골리앗을 섞어주는것으로 무난하게 해결가능. 로공이나 메카닉은 밴시,해방선으로 방어 가능.
유닛 업그레이드에 드는 가스는 원상복구가 되지만 해야할 업그레이드가 1개가 되서 드는 비용은 비슷한 상태.
다만, 역시 좀더 소극적인 운용이 되기때문에 제한시간이나 오브젝트를 좀더 미리 체크해야함.
약점은 패널이 안된다는점 정도 하나고 업그레이드는 유닛이 없는건 아니니 조합을 달리한다던가 대처가능한 방법이 있음. 물론 이게 안되는 사람이 대다수임.
결론아닌 결론
승천렙 없을때 북미는 피닉스 나올쯤인가 전사령관 만렙찍고 유럽은 데하카나올때 키우다가 맘. 아어를 주로 돌렸는데 북미 아어는 저렙이 진짜 드믐. 애초에 15찍고도 어려움이하에서 하는사람도 많음.
아시아섭은 승천렙도 200좀 덜되고 그렇게 많이 해온건 아니지만 그렇게 많이 해온 것도 아닌데 1렙 아어를 진짜 자주봄. 그리고 거짓말 처럼 1렙 노바랑 1렙 데하카는 출몰 빈도가 남다름. 정말 자주보임.
물론 자기 할일만 하면 1렙에 와도 상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같이 플레이는 하는데 내 기준 1인분이란 내가 푸시하는동안 공세정도는 혼자 막고 내가 공세막는동안 오브젝트까진 길은 뚫을수 있어야함. 그래서 내가 둘 중 하나 하는 중에 반대쪽은 안 도와줌.
1렙 노바는 둘 중 하나임. 진짜 잘하거나 진짜 못하거나. 잘하는 경우를 많이 못봐서 거의 2:8비율정도로 보는데 진짜 못하는 경우는 병력 유지를 못함. 꼬라박고 다 잃고 노바만 살아서 쫄랑쫄랑따라다님. 자기 본진으로 가는 공세도 못막음. 잘하는 경우는 유닛 잘 쌓아서 초반은 노바만 살살 굴리며 좀 늦게 스타트하더라도 곧 같이 푸시하고 보목먹고 함.
1렙 데하카도 좀 잘하는 데하카랑 못하는 데하카가 있는데 잘하는 데하카는 인구수 어느정도 쌓기 전까진 뭉쳐다님. 혹은 큰싸움을 안함. 아무리 업글 부족한 히드라라도 어느정도 뭉치면 무상성데미지로 푸시정도는 가능하니까.(물론 이마저도 적 조합과 맵을 많이 타긴함)
못하는 1렙데하카는 일단 시작은 데하카 껑충이 놀이하면서 렙업하면 양반이고 대부분 데하카와 2~4개의 배럭으로 확장부수면서 시작함. 병력은 땡히드라거나 저글링을 조금 섞음. 그리고 공격을 가는데 좀 쉬운 적조합이면 소모전으로 어찌어찌 뚫고감. 어려운 조합이면 패널스킬들 사용하기 시작. 패널 다 빠지고 유닛 다 녹고나면 그때부터 붙어서 유닛모음.
스2인벤 자게에 예전에 있던 떡밥 중 하나인 아어는 언제부터 가면 좋은가에서 1렙이어도 가능하다는 부류에 항상들어가는 데하카와 노바
근데 그건 실력이 될 때 이야기임. 1렙 데하카랑 1렙노바가 스카이테란 아몬의 낫 올보목 클리어 영상인증 가능한 정도 아니고선 1렙에 가란말 하면 안됨.
물론 인증하면 그사람은 해도 됨. 누구랑? 같이 손발 맞춰서 영상찍은 그사람이랑.
딴사람에게 피해주지말고 그 사람이랑 손발맞춰서 스릴 즐기면됨.
1렙에 아어 갔는데 같은편 나가도 이긴 사람은 본인도 그사람 유닛도 썻으니까 깬걸 알거임. 나간사람 일꾼만 쓰더라도 자원량 2배이고 유닛까지 쓸정도면 인구수2배에 패널은 없더라도 업그레이드는 적용되는 유닛이 있으니까 깬걸 본인도 암. 물론 그게 되는 실력은 별도구매임.
노바랑 데하카 둘 다 7렙만 넘기면 아어는 할만하다고 생각함. 노바는 자동정제소가 생기고 데하카는 뮤탈풀업이됨.
꺼라위키 기준 사령관 7까지 누적 필요치는 27만. 랜덤아어 올보목클리어시 49500의 경치를 받으니까 6판이 필요하고 랜덤 어려움 올보목시엔 38500의 경치를 주므로 8판이 필요함. 근데 그날의 첫승 보너스인 10000을 받는다고 치면 각각 6판, 7판이 필요함. 아어랑 어려움으로 7렙까지 가는데는 1판 차이 밖에 안나는거임.
아니면 쉬운 맵을 픽해서 가셈. 공허의출격이나 공허분쇄같은 쉬운맵 픽해서 상성상 할만한 사령관으로 1렙에가서 1인분챙길수 있으면 그거도 괜찮은듯.
그러니까 1렙에 아어가 된다고 들어와서 내가 못해서 졋다고 하지말고 어려움으로 한판만 더 깨고와서 같이 하는사람 기분도 생각해주고 본인도 1인분 하셈.
오늘의 일기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