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리자드 스타크레프트 II 공식 홈페이지 설치 가이드(http://kr.battle.net/sc2/ko/game/guide/install-guide)를 보시면 "DirectX 설치하기"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스타2를 설치하기 전에 이놈을 설치해야되는데 이게 무었이냐? MS에서 만든 게임 전용 클라이언트 툴 같은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이게 나온 이유는 기존 게임들은 Full Screen으로 그래픽카드를 직접 통제해서 개발하는 위주였는데, MS-Windows가 나오면서 인터페이스 제어권이 완전히 OS로 넘어갔죠. 그래서 게임 개발사들은 원도우용 게임을 만들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Windows에서도 완전히 그래픽카드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그 외에도 사운드나 기타 게임에 필요한 디바이스들도)이 필요 해서 나온 것이 DirectX입니다. (Direct 라는 의미를 잘 강조했죠)
그래서, 스타2는 DirectX를 이용해서 비주얼 스튜디오로 개발 했을 가능성이 아주 크겠죠.
추가로 WOW 같은 경우에는 설치 폴더에 MS Lib관련 DLL이 직접 보이기도 했는데, 스타2는 좀 정리했더군요.
-> 그래도 잘 찾아보시면 아래와 같은 파일을 찾아 볼 수 있어요. (VC 8.0 으로 만들었다는 말이져뭐)
Microsoft.VC80.CRT.manifest
msvcp80.dll
msvcr80.dll
d3dx9_41.dll
하나 더 블리자드는 MS Client외에 MAC OS로도 클라이언트를 출시하는 것으로 유명한 회사입니다. 물론 MAC용 스타2는 VC로 만들진 않았겠죠.
통상 이런 멀티환경의 게임을 만들 때는 특정 개발 툴 한두개만 쓰진 않겠죠.
- 공통부분
- 인터페이스부분(OS별)
으로 구분해서 팀 단위로 개발을 했겠죠.
이를 때 Rational 이나 기타 팀 단위 개발 툴을 많이 사용하겠죠. (MS 스트디오에도 비슷한 기능이 있는데 MAC OS까지 지원해야하니)
그리고 스타는 베틀넷에서 가동됩니다. 즉, 클라이언트 서버 기반의 환경이죠. 스타2 베틀넷용 그럼 개발팀은 서버 프로그램도 만들어야 겠죠. 우리가 접근하는 인증서버(베틀넷 공통), 기타 과금서버, 사용자를 분산시켜주는 분배 등등 그리고 실제 베틀넷 서버 등등
이런 것을 의 운영체계를 아직 블라자드는 공개한적이 없습니다. 들리는 소문에 HP 에서 x86계열 서버를 블리자드에 납품했다는 소문이 업계에 돈적이 있었으니 NT계열일 가능성이 크겠죠.
어째던 서버도 C or C++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겠죠.
그럼 마지막으로 정리하면,
비쥬얼 스트디오로 만들었는가? -> 비쥬얼 스트디오를 포함해서 다양한 개발 툴로 만들었다.
얼렁뚱당 비전문가의 답변을 끝 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