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신인던과 관련하여 무기 옵작에 대해 고민하던 중
신인던의 네임드가 풀로 분노 하지 않는다는 점과
pvp와 인던 템의 통합을 통하여 변화하게될 무기 옵션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합니다.
번스타인에서 네임드들은
번스타인 네임드가 7퍼 비분노로 고정인줄 알고 있었으나 비분노구간이 10퍼인 경우도 있었습니다.
아래의 비분노 구간 7퍼는 수정하지 않고 우선 7퍼에서 10퍼 사이로 비분노구간이 생긴다는 점을 이해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켈리반에서 네임드들은
켈리반의 비분노 구간이 10퍼인줄 알고 있었으나 켈상에서 확인해 본 결과로 더 짧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네임드 비분노 7퍼구간은 시간과는 상관없이 딜링을 통해서 7퍼를 깍아야만 분노구간에 진입하게되고
분노구간 35초는 1퍼를 깍든 20퍼를 깍든 35초가 지나면 다시 비분노 상태로 바뀌게 됩니다.
네임드가 분노 시 줄수 있는 데미지는 약 20퍼 정도로 예측 중에 있습니다.
위의 분노시 데미지는 후방점유율과 클래스 이해도에 따라서 더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됩니다.
분노 비분노 패턴의 진행은
7퍼 비분노 후 분노 35초의 형태를 가지며 네임드는 최초 비분노 상태에 있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인던 유저들이 사용 중인
분분후추 옵션을 적용한 무기로 번스타인의 네임드를 때린다면
7퍼 비분노 구간은 대략 30초 내외의 시간동안 딜링을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최초 7퍼 비분노 구간의 경우 네임드가 장판 패턴이나 전멸 패턴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회피 구간이 적어 약 15초정도만에 분노구간으로 진행이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말한 것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비분노 7퍼 > 분노 35초
>비분노 7퍼 > 분노 35초
>비분노 7퍼 > 분노 35초
>비분노 7퍼 > 분노 35초
이런 형태로 분노구간에 20퍼의 딜링을 하였다면
마지막 분노시 12퍼센트의 대미지만 주면 네임드는 사망하게 됩니다.
네임드 클리어 타임은 약 3분에서 4분이 소요될것으로 예상되어지고
이 소요시간 또한 변수에 의해서 달라지게 됩니다.
위 비분노 분노 패턴으로 진행 시
네임드가 분노 하여 장판 패턴 혹은 전멸기 패턴을 2번 이상 사용하게 될경우
거의 분노구간에 딜링을 하지 못하고 다시 비분노구간으로 접어들게 됩니다.
이런 상황들이나 변수들을 고려하였을 때 쌍분노 옵션은
엘상발상오상과 같은 인던에서 만큼의 효율을 뽑아내기는 어렵게 되었습니다.
분노 효율의 옵션을 반토막 낸 것일지 아니면 그냥 조금 손해 보는 정도일지는
향 후에 나오게 될 번상 인던에서 보면 좀더 확실해 질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런점을 토대로 옵작을 개선해 보기 위해
제 검투를 이용하여
윗줄 공속 아랫줄 치위 후방 추뎀 옵션을 적용하고
비일 파분 도의 분종 크리스탈 셋팅을 하고 번스타인 하급 네임드를 때려봤습니다.
누적으로 통계가 나온점은 아니므로 큰 신뢰는 가지지 않으시고 참고만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번스타인 막넴에서 비분노구간에 위 세팅을 이용하여 풀스택 질가를 터트렸을 때
비분노 : 150
분노 : 280
정도의 평균 딜량을 뽑을 수 있었습니다.
맺감 혹은 변수들을 무시하고 대략적인 데미지의 평균을 적은 것이므로
너무 큰 의미를 두시지 않으셔도 될것 같습니다.
쌍분노 옵션을 적용한 무기로 네임드를 때릴 경우
비분노시에 대미지는 더 낮아질 것이고 분노시에 데미지는 더 상향될 것인데
풀스택 질가를 넣는 횟수 차이 공속 차이 누적딜 차이를 고려했을 때
분노옵션을 넣지않거나 1줄만 넣은 옵션으로의 개선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다른 클래스의 경우 데미지 뻥버프의 시간을 고려했을 때 분노구간에
약 2-3회정도의 맥댐을 볼수있을 것으로 추측합니다.
이 경우에도 35초간 맥댐을 볼 것인지 아니면 누적딜을 볼 것인지는 이제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권의 폭이 좀 넓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철기무기의 경우 제가 따로 테스트를 할 수 없어서
이 글에서는 제외하였고
켈리반 혹은 발로나를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옵션을 선택할 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