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금 알케 전직하여 꿀빨고 있는 고랩 유저 +클룡인 들에게
욕먹을 각오하고 글을 씁니다.
현제 바카썹은 1004 실버 다른썹은 2000~4000에 팔고 있다고 싸다면서
전체체팅으로 말하고 있는데 (원가 생각하면 싼건 절때 아님)
전체체팅으로 싸움이 나자 현실 라면 물가를 운운하며 정당화시키는
여론을 만드려는걸 보니 현실에서 여론조작하는 모습이랑 겹처 짜증이 밀려와
여러 방향으로 생각 할수 있도록 글을 씁니다.
대부분의 현명한 사람은 어차피 지금은 알케수가 적어서 비싸지만
시간이 지나서 알케가 많아지면 자연히 가격이 떨어지겠지 생각 할거지만
여기 트오세에선 생각하지 못했을 변수가 있습니다.
바로 경매장 상한가 하한가 입니다.

반대의 경우가 될수있지만
예로 현재 140~150유저들이 일일퀘스트에 절망하게 만드는
호헨가죽 입니다.
마족 5층에서 맵 한바퀴 다돌아도 4~5마리 보일까말까한 호헨 굴단을 잡아야 하는데
드랍률도 낮아서 10마리 잡아야 하나 나올까말까합니다.
대부분 웃돈주고 1~2만원 줘서라도 구해서 다음 일일퀘 넘기고 싶은 아이템이지만
자기가 발로 안뛰면 구할수가 없는데
위 사진처럼 누가 일일퀘가 시작 되기도 전에 싼값에 거래한건진 모르지만
평균 거래량이 책정되서 비싸게 팔고 싶어도
고작 4000원 이상은 못팔게 되버렸습니다.
생각 해보세요 고랩필드에 5~6마리 나오는 몹을 10마리이상 잡아야 나오는템을
누가 4000원에 팔겠습니까? 아까워서 저라도 못팜니다.
이제 예시에서 돌아와 고농축 물약으로 반대로 적용해보겠습니다.
1000원 2000원에 물약 분명 살사람은 살수도 있습니다
나중에 싸지겠지 하고요
근데 경매장에 평균 거래량이 집게가 잡혀버린다면
나중에 공급이 많아져도 비싸게 팔때에 평균 기준 하안가 책정되어
싸게 팔고 싶어도 팔수 없게 될수 있습니다.
물론 하안가의 책정 범위를 정확히 알수 없기에 10원이하 로 못올립니다.
이정도 정해 진다면 괜찮겠지만 정확한 기준을 공지해 주었으면 합니다.
결론은 지금 비싸다고 느낀다면 사지마세요
그래야 나중에살 물약도 더저렴하게 할수 있습니다.
지금의 경매장에 하한가 상한가 시스템은 갑작스러운 물가변동을 억제할려는
좋은 의미에 시스템이지만
위에 호헨가죽 처럼 불편한 오류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오류가 이번 고농축 포션에도 적용될수 있기에 이글을 씁니다.
아마도 현제 알케미스트를 힘들게 찍으신분들은 꿀빨아야하는데
이딴글로 장사 망칠까 열받아서 공격적인 댓글을 달겠지만
생길수 있는 문제에 대해 말하는것이니
이해해 주시고 다른분들은 참고만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