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번에도 하플라이트는 상향이 필요하다라는 글을 올린 아우슈리네 서버에 활동중인 미온이라고 합니다
하플라이트라는 직업은 저에게 있어서 굉장히 애착이 많이 가는 직업인데요
하플라이트는 현재 창을 사용한다는 매력있는 직업으로서...보이지만 몇몇의 모순점이 있습니다
1.한손창이 가지는 매력이 무엇인가?
모든직업에는 마스터리가 존재하는데요 이는 그 클래스가 가지는 강점을 말합니다 다시말해 무기를 어떠한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플레이어 본인들이 좋아하고 해당하는 무기특성을 가진 클래스가 곧 플레이어들의 선택으로 이어진다는 말입니다
현재 트리오브세이비어에 공개되어 있는 클래스들은 각기 다른 마스터리를 가지고 있는데요
우선
소드맨-하이랜더/펠타스타의 양손검/방패 마스터리 입니다 

다음은 위저드-크리오맨서의 로드/방패 마스터리 입니다


다음은 아처의 양손활/한손활 마스터리 입니다


다음은 클레릭의 둔기 마스터리 입니다

다음은 아처-쿼렐슈터의 방패 마스터리 입니다

다음은 커세어/로그의 단검 마스터리 입니다

다음은 펜서의 레이피어 마스터리 입니다

다음은 캐터프랙트의 양손창 마스터리 입니다

위와 같이 각 클래스군 마다 주로 사용하는 무기에 대한 마스터리가 있지만 현재 상위랭크 클래스와
공개되지 않은 클래스를 제외하고 한손창을 주 무기로 사용하는
하플라이트의 클래스에는 한손창 마스터리가 없습니다
형제 직업군인 캐터프랙트의 경우에도 실질적인 PvE에 도움이 될만한 마스터리라고는 여겨지지 않습니다
창을 사용하는 직업군은 현재 트리오브세이비어상 공개 되어있는 하플라이트,캐터프랙터,드라군만이 있지만
현재 한손창에 대한 마스터리는 그 어느 직업군에도 있지 않습니다
마스터리라는것은 해당 클래스의 타 클래스와 차별화 된 특성을 말합니다 하지만 하플라이트에게는 한손창이 타 클래스와 차별화 된 특성을 가진 무기라고 생각하기 어렵습니다
2.하플라이트의 스킬 이대로 괜찮은가?
하플라이트의 주력이 되는 스킬들은 1랭크에 몰려 있습니다
우선은 하플라이트를 하는 가장 주된 이유로 꼽으시는 피네스트라라는 스킬입니다

스킬 레벨 5레벨 투자시에 피네스트라 버프로 증가하는 효과는
치명타 발생 50 블록률증가 10% 회피감소 17 지속시간 45초 의 효과를 가져옵니다
10레벨의 기준으로는 치명타 발생 100 블록률증가 20% 회피감소 28 지속시간 60초의 효과를 가져옵니다
하플라이트의 꽃이라는 말처럼 피네스트라는 하플라이트에게 그나마 숨통을 틀수있게 만들주는 스킬입니다
하플라이트가 굳이 한손창을 고집하는 이유도 이와 같은데 피네스트라 라는 스킬이
한손창이 아닌 다른 타 무기로는 발동/적용이 안되기에 한손창을 고집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다음은 스태빙입니다

스태빙은 단타성 스킬이 아닌 연타성 스킬로서 키보드의 경우 특정 자판키를 지정해서 연타를 누르거나 해당키로 꾹 눌러서 14연타를 넣을 수 있는 스킬이지만 이 스킬에는 모순이 있습니다 해당 설명과는 다르게 스태빙이란 스킬은 상태이상 기술이나 공중에서 떨어지는 마법등에 대한 면역이 있는 스킬이 아니기에 14연타를 넣는 과정중 끊길 수 있는 상황이 굉장히 많습니다 모든 클래스의 스킬들이 그렇겠지만 스태빙이라는 스킬은 쿨타임이 총 40초이며 오버히트수가 없고 단타성 스킬이 아니라 플레이어가 직접 키를 누르고 있어야 한다는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소드맨 스킬에서 사용할수 있는 페인 배리어를 사용하고 스태빙을 발동하면 된다라는 글들이 많지만 실질적으로 페인배리어로 면역이 되지 않는 스킬들이 트리오브세이비어에는 굉장히 많습니다
하이랜더의 카타스트로크를 예로 들면 카타스트로크의 경우 플레이어가 기술을 발동하기 이전에 게이지를 채워서 연타성 스킬이 자동으로 발동하는 식인데 스태빙의 경우엔 1연타,2연타를 넣다가 플레이어의 실수 혹은 몬스터의 상태이상 스킬로 인해서 발동이 멈추어 버린 경우에 아무것도 못하고 평타만 치는 상황이 나온다는것 입니다
게다가 스킬이 실제로 몬스터에게 데미지가 들어가는 범위 또한 매우 간격이 짧기 때문에 발동이 까다롭다는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피어스 입니다

피어스는 중형,대형 몬스터에게 연타 보너스가 적용 되는 스킬입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효과적으로 스킬을 사용해서 데미지를 줄 수 있는 몬스터는 중형,대형 몬스터이며
소형을 상대로는 평타와 다를바없는 데미지를 줍니다..
피어스 또한 재사용 대기시간이 30초이며 오버히트가 없는 스킬로서 하플라이트의 주력 기술인 스태빙과 피어스를 사용한 직후에 평타만 치고 있어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스킬이 몬스터에게 닿아서 데미지가 적용되는 거리 또한 매우 짧은편이고 몬스터를 맞추지 못할 경우에는..생각하고 싶지 않네요...
다음은 하플라이트 2랭크 스킬 스피어 런지 입니다
하플라이트2랭크에서 유일하게 자주 사용하게 되어지는 스피어 런지 라는 스킬입니다
이 스킬은 상대를 찔러서 찌르기 취약 상태로 만드는 스킬입니다 찌르기속성에 약한 몬스터에게 50%찌르기 취약 효과를 만들어서 상성에 상관없이 찌르기 데미지를 줄 수 있도록 만드는 스킬입니다만..역시나 스킬이 몬스터에게 닿는 사정거리가 매우 짧고 또한 지속시간이 6초라는 제한 시간이 있습니다 하지만 유일하게 하플라이트 스킬중 오버히트수2와 짧은 쿨타임 24초로 그나마 2랭크에서 건져오는 스킬이라는 수식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밖에 스킬들이 있지만 하플라이트를 육성중이신 분들이라면 타 스킬들은 사용하지 않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나름 정리 하려고 애썼지만 조잡한 글이 되버린게 아닌가 싶습니다 읽어주신 분들께 감사합니다
마치며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하플라이트에 대한 설명은 
사정거리가 길고,중형급 이상의 크고 강한 적을 상대할 때 보너스를 획득한다고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누구보다 평타를 많이 사용하는 클래스임에는 틀림없습니다..
제 상상 속에 초기 하플라이트의 모습은

위와 같이 강력한 창방 전사를 생각했지만 육성 과정중에 괴리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저랭크에 분포하는 소드맨 직업군은 고랭크의 직업군으로 가기 위한 클래스라는 말이 맞을수도 있지만 3랭크에 선택 하게되는 하플라이트/바바리안중 하플라이트는 분명 상향이 필요합니다
수라의 길을 걷고 있는 하플 여러분들 혹은 캐터프랙트 형제분들 힘냅시다..그리고 꾸준히 건의해야 합니다
묵인한다고 아무것도 바뀌지 않습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