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적으로 평타와 동일한 사정거리를 가진다.

쟁반~ 노래방~
(위치를 잘못잡고 써서 그렇지 사실 허수아비를 때릴 수 있는 범위다.)
평가 : 마스터 해야 한다. 특성중에 "화염 확산"특성은 없는셈 취급해도 좋다. "결빙석화"특성은 나쁘지 않다. 다만, 파티에 크리오맨서가 없다면 사냥시작 후 특성을 꼭 Off로 돌려주자.
(6) 실드 배쉬 2써클

실드 배쉬는 이름과 달리(Bash : 후려치다, 강타하다) "베기"기술입니다. 25초의 대기시간과 2회의 오버히트를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피해량도 나쁘지 않습니다. 뿐만 아니라 스킬포인트를 투자 할 수록 상태이상의 지속시간이 증가하는 성과도 있습니다.
"스탯 뒤섞임" 상태이상은 PC의 경우 가장 높은 스탯을 다른 능력치로 보내버립니다. 반면 NPC의 경우 "피해량이 감소"하는 효과를 유발합니다.

기본적으로 범위, 사거리는 실드셔빙과 비슷한 수준이다.

방패로 후려치긴 하는데 "베기"판정
평가 : 지속시간동안 몬스터에게 받는 피해량이 10~20%는 줄어든다.1개는 필수, 그 이상은 선택.
(7) 회피이동

대미지 특성 강화비용 : 1~50(203만 실버), 1~100(6,190만 실버)
회피이동은 트리 오브 세이비어가 공식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가장 핫해진 스킬이 아닌가 합니다. 소울엣지님의 로델레로 인벤 소개때도 가장 주목을 받은 기술입니다. 기본적으로 실드 차지와 같은 매커니즘으로 작동하며 지속시간동안 높은 확률로 물리/마법 공격을 "회피"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발동에 있어 기본적으로 정신력을 소모하며 지속시간동안 움직일 경우 1초당 1의 스테미너가 소모됩니다. 또한 실드 차지보다 이동속도 감소폭이 꽤 커서 이동속도가 30에서 16으로 감소합니다. 현재 "히든 연계"인지 "히든(라고 쓰고 버그라고 읽는)"인지 "회피이동"과 "가드"를 동시에 할 수 있어 대부분의 공격을 웃으며 넘길 수 있는 상태입니다.
3써클에 도달하면 특성으로 10초짜리 디버프를 걸 수 있게 됩니다. 마스터 할 경우 타격피해를 100% 증가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많은 연계가 가능합니다.(회피이동-대미지 + 하이킥 + 실드푸쉬 방어력감소 후 타격기 연타 등)

기본적으로 공격 범위는 평타와 같다.

(방패 뒤에)숨겨왔던 나의~ 수줍은 칼빵~ 모두 네게 줄게~
평가 : 여러개 찍어봐야 지속시간이 늘거나 재사용 대기시간이 줄어드는게 아니라 마지막 1회 공격의 피해량이 증가함. 1개.
(8) 하이킥 3써클

대미지 특성 강화비용 : 1~50(243만 실버), 1~100(7,428만 실버)
하이킥은 로델레로 기술들 중 가장 마지막에 추가된 기술로 기본적으로 높은 피해를 가지고 있으며 디버프를 남겨 타격에 의한 피해량을 100% 증가시킵니다. (디버프 지속시간 10초)

하이킥이 아니라 이건 싸커킥(혹은 로우킥)이 아닌가...
(강제 찬조출연 - 소울엣지님 움짤)
평가 : 테섭에서 본인이 못써본 기술이지만 일단 소울엣지님 평은 "만족스럽다"였다. 기본 피해량도 상당하고 정신력 소모도 많지 않으며, 재사용 대기시간도 20초로 준수한편이다. 마스터하기를 권한다.
(9) 슈팅스타

대미지 특성 강화비용 : 1~50(243만 실버), 1~100(7,428만 실버)
슈팅스타는 로델레로의 유일한 "다단히트"기술로 4히트의 다단히트 횟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킬포인트를 투자할때마다 오르는 23의 피해는 23*4가 오른다고 보시면 되겠으며 타격 대상은 짧지만 경직되어 움직일 수 없다는 특징(이건 기본적으로 모든 다단히트 기술이 그렇습니다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알아본 로델레로의 기술들의 성격을 돌아봤을때 다소 아쉽게도 그 외에 특징은 없습니다.(기본적으로 피해량도 고자수준)
평가 : 아쉬운 기술, 굳이 찍는다면 말리지 않겠다.
3. 육성(트리)
이 단락에서 다룰 부분은 “레벨을 올리는 육성”이 아니라 “직업 트리 구성”입니다. 사전에 미리 말씀드릴 점은 직업트리 구성은 “취향”이기 때문에 자신의 취향대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다만, 다시 강조드리지만 트리 오브 세이비어는 지금까지 나온 인스턴스 던전의 경우 탱커가 없다고 못하는 경우는 없으며 필드 보스 상대로도 필요가 없다보니.... 탱커를 하겠어!!! 하고 로델레로를 냅다 찍는건 반드시 두세번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① 소드맨-펠타스타-펠타스타-펠타스타-로델레로-로델레로-로델레로
*4랭크에 로델을 바로 탄 뒤 7랭크에 펠타스타를 선택하기도 합니다.
- 가장 많은 “탱킹”트리가 아닌가 싶습니다. 이전에 공략글을 작성해주신 “소울엣지”님도 소펠펠로로로펠 트리기도 합니다. 장점은 탱커라는 인식이 확실하여 파티 플레이에 유리합니다. 그 외에 엄보쓰러스트의 아머 브레이크(방어력0)와 하이킥, 회피이동-추가대미지를 통해 높은 데미지 연계가 가능합니다.
참고문헌 "소울엣지"님의 로델레로 3써클 공략 :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4185&name=subject&keyword=%EB%A1%9C%EB%8D%B8&l=5100
② 소드맨-펠타스타-펠타스타-로델레로-로델레로-로델레로-도펠죌트너(6랭크에 도펠을 가져오는게 조금 더 편하다)
- 제가 테스트 서버때 했던 트리입니다. 1:1 전투에 특화시켜보겠다고 했었는데(당시 윤현승 작가의 하얀늑대들 읽고 “아즈윈 울프” 같은 캐릭터를 해보자고 했었던 건데 음...어... 베쉬, 엄보블로 넉다운 후 퍼니쉬 꼽는 맛만 좋았습니다.) 장점(6랭크에 도펠을 가져왔을 때)으로는 많은 상태이상 유발기술들과 도펠죌트너의 높은 기술공격력을 기반으로 그래도 어느정도는 솔플이 할만 해집니다.(갓-싸이클론 찬양 찬양)
③ 소드맨-펠타스타-펠타스타-로델레로-로델레로-팬서
- 회피탱킹이 가능해지는 트리입니다. "몇방"님이 공략해주신 트리로 펠타스타의 가디언과 로델레로의 회피이동, 팬서의 런지, 에스뀌브 뚜슈를 이용해 몬스터들의 공격 대부분을 회피(마법포함)하는 트리입니다. 또한 팬서 1써클 기술인 플랑코나드의 0.5초 블록과 팬서 2써클의 프레파라시옹(블럭증가 버프)을 통해 높은 블록율도 가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준수한 탱킹능력과 그간 부족했던 딜을 보충 할 수 있는 트리입니다. 도펠트리보다 딜은 조금 부족하겠지만 강력한 탱킹력을 바탕으로 풀어가는 타입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참고문헌 "몇방"님의 회피탱킹 트리 :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4185&name=subject&keyword=%ED%8E%9C%EC%84%9C&l=6212
④ 소드맨-펠타스타-하플라이트-하플라이트-로델레로-로델레로-로델레로
- 제가 테섭에서 해봤던 또다른 로델레로 트리인데 보시다 시피 욕심가득 트리입니다. 피네스트라를 통해 치명타를 확보 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금 더 여유롭게 힘에 투자가 가능해지고(혹은 체력) 특히 레벨이 높지 않은 시점에 솔플할때도 위 트리들보다 답답한 면이 많이 줄어듭니다.(하지만 소펠핲핲핲도 라는 더 좋은 트리가 있는데 굳이 이런 트리를 할 리가...)
4. 장비와 스탯
로델레로를 하다보면 자주 스왑을 하게됩니다. 스왑렉이 상당히 짜증나는데요, 스왑렉 줄이는 팁입니다.
Tip, 스왑렉줄이기
(1) 방패(보조장비)
그냥 로델레로라서 방패를 맨 위에 뒀습니다. 방패의 경우 선택지가 사실상 두개밖에 없는 고로(그나마 회피이동이 있는 마당에는 1개) 마방방패-세이지월, 물리방패-아이아스입니다. 그 외 보조장비로는 아르데 대거 또는 카라챠 대거를 스왑용으로 들고다니시면 되겠습니다.(인던갈때 빼곤 항상 오른손엔 대거가 들려있을겁니다. 방패 들면 진행속도가 반토막남...)

로델레로가 선택할만한 보조장비. 아이아스는 아직 못만들었다...
소캣에는 블럭확보를 위한 블루젬, 치명타 확보를 위한 그린젬, 기술을 올려주는 몬스터젬 모두 활용이 가능합니다. *우선순위 몬스터젬(늙은 케파의 젬-타지스매쉬)
(2) 무기
한손검, 한손둔기 2개를 기본으로 6랭크에 펜서를 섞은경우 레이피어까지 3개를 들고다니시면 되겠습니다. 얼마전 업데이트로 선택지가 많이 넓어졌으니 재력껏 준비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카타콤 빼고는 다 쓰고있는 물건들이지만 후회했던 녀석들도 있다.
"소울엣지"님의 3로델트리 강력추천무기 "갓타콤 블레이드"
소캣에는 치명타 발생을 위한 "그린 젬"을 선택하시면 무난합니다.
(3) 방어구
어차피 탱커로 파티가입하는 일이 많은 만큼 방어구 역시 신경써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퀘스트 등을 혼자 하기 위한 장비도 필요하겠지요.

리에나 로브세트 / 카프리선 세트 / 라이트 플레이트 세트
셋 모두 쉽게 구할 수 있는 방어구세트입니다. 리에나 로브 세트는 퀘스트를 통해 입수가 가능하며 라이트 플레이트 세트 역시 드랍율이 나쁘지 않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다만 재료가 되는 아이템 나오는 지역에 오토가 득실댐) 동시에 성능도 만족할만한 수준은 됩니다. 170레벨에 록소나 세트를 마련하기 전까지 무난하게 사용 가능합니다.(라이트 플레이트는 상황봐서 상하의는 계속 사용 가능합니다. 광역공격비율+1은 소중하니까요 __)
신발의 경우 능력이 된다면 윈드러너가 대단히 매우 아주 탁월한 선택이 됩니다.(3소캣 / 이속+3 / 천)
소캣에는 체력 확보를 위한 레드젬 또는 방어력확보를 위한 옐로우젬 정도 선택이 가능합니다. 신발의 경우 마법 방어력을 올려주는 블루젬이 무난합니다. 몬스터젬이 있는 경우 몬스터젬을 우선사용합니다. *우선순위 몬스터젬(장갑 - 실드배쉬)
(4) 장신구
트리 오브 세이비어의 악세사리는 팔찌와 목걸이가 있습니다. 목걸이는 페타미온/막스 페타미온이 여러모로 무난하며(딱히 그 외에 선택지가 아직 없기 때문에) 팔찌에서는 선택지가 좀 있습니다.

셋중 비교적 구하기 쉬운건 글래스 브레이슬릿이다.
장비의 수준이 올라갈수록 재미를 보는건 시셀 브레이슬릿이다.
탱킹용으로는 단연 글래스 브레이슬릿*2가 무난합니다. 지금까지는 가장 높은 마법방어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전투용이라면 글래디에이터와 시셀에서 많이 고민하곤 하는데요, 타지스매쉬가 광역비가 기본적으로 7입니다. 몬타노 역시 5... 홀수입니다. 잘 살리기 위해서는 광역비를 아이템에서 "짝수"로 가져와야 하기 때문에 2글래디 or 1글래디+라이트세트+시셀 or 1글래디+헤어악세사리 등등 조합을 하시면 되겠습니다.(즉, 글래디 1개정도 착용하시면 세팅하기 편하다는 소리)
(5) 헤어 코스튬
얼마전에 추가된 헤어 코스튬 인챈트는 탱킹을 위해서는 속방/물방정도를 고려해볼만 하며 SP회복이 1개정도 있다면 나이스합니다. 전투용이라면 모두가 다 알지만 치발, 속공, 물공, 광역비 등등... 선택지는 넓으니 능력껏 구비하시면 되겠습니다. 된다면 이동속도+1 섞여있는 녀석을 구한다면 베스트.
미리 그대의 지갑을 위해 치얼스...
(6) 스탯
스탯의 경우 의견이 분분하지만 적어도 사람다운 TOS Life를 위해서는 힘과 민첩에 투자를 해줘야합니다. 난 진성마조!! 날 때려주세욧!! 이 아니라면 제발...올체는...(혹은 로델이나 펠타스타 기술에 체력계수가 붙는다면 모르겠다.) 단, 항상 같이 플레이 가능한 파티원들이 있다면 올체 주셔도 무방합니다.
저는 힘과 민첩을 1:1로 주는걸 권하며 체력은 그때그때 적당히 찍는걸 권합니다. 다만, 파티플레이 시 힐주는 클레릭님의 정신건강을 고려하여 130인던 가기전에 50포인트정도는 찍어주시는게 바람직합니다.
5. 제언
꽤 길었습니다. 테스트 서버때부터 애정을 가지고 했던 직업인지라 상당히 공을 많이 들여봤습니다. 처음에 테스트 서버에서 로델레로를 손에 잡았을때 "뭐 이런 병X캐릭이 있어?"라는 마음이 들었었습니다. 당시에 실드셔빙/실드배쉬/하이킥도 없었고 회피이동은 작동도 안하다가 하나 둘 추가됬고 개발자 분들이 와서 사용하는 부분 확인하고 가기도 했던게 기억납니다.
아마 제가 써본 글중에 가장 많은 이미지가 포함된 글이 아닌가 싶습니다.(인벤에 올릴라고 이미지 합치는 등 별짓을 다했네요) 게임을 좋아는 하지만 목숨걸고 하는 타입은 아닌지라 이제 6랭을 앞두고 있다보니 약간 부실한 부분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이킥이랑 슈팅스타 움짤이 없다던가... 도펠 연계기 짤이 없다던가... 이런 부분은 너그러히 양해 부탁드립니다.
트리 오브 세이비어는 D&D나 S&M룰의 고전 RPG와 비슷하게 소드맨(근접 전사)가 여타 나머지 직업들보다 시작 어드밴티지가 큰편입니다. 그 장점의 대표적인 부분은 "무난함"으로 어디에 가져다 놔도 무난하게 굴러갑니다. 허나, 전투력의 상승곡선을 놓고 봤을때 어느 시점을 지나가면 타 클래서의 성장 곡선을 따라가지 못해 서서히 약점이 드러납니다. 그 시점이 어느정도 조합이 완성되는 6랭크를 기점으로 두드러질것입니다. 특히 불완전한 PVP컨탠츠에서는 더욱 심할겁니다. 아마 벌써 느끼고 계신분도 계실것입니다. 부디 소드맨 하는 많은 분들이 그 벽에서 좌절하지 않으시고 즐겁게 게임하시어 원하는 목표까지 도달 하실 수 있기를 기원하면서 마무리 짓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과 블로그 방문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에 애드포스트가 있어서 수익이 생기는 것도 아니옵니다... 취미생활임)
몬스터젬 1~5편(블로그)
트리오브세이비어 경제이야기1~2편(블로그)
-ps. 아마 다음글은 전에 썼던 TOS 경제이야기 3편-게임경제와 오토/작업장 이 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