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게임중이 아니므로 기술의 계수를 제외한 대략적인 사용 용도만 적음
흡혈(A)
날아오름. 똥격변 이전 레벨당 엠소모가 틱당 10넘게 오르던게 2 3씩 오름 충분히 고레벨을 줘도 될 스킬이 됨. 굳이 위위타고 슈어스펠을 들고오지 않더라도 레비쓰고 날아오른 뒤에 사용하면 충분히 기용 가능. 퍼뎀도 은근히 쏠쏠. 조인트 행낫 이후 사용하면 순간 폭딜도 강하다.
은가둔디 (단일 스킬 B. 조건부A)
조인트가 죽으면서 은가둔디가 살아남 다만 단일클레스로 사용하기는 힘들고 조인트 행낫 이후 죽창딜로 사용이 가능.
대신 예전의 사용용도이던 크확둔디는 기억의 저편으로 죽창이라 모으면 한방이 되버림.
커다이챠(단일 스킬C. 조건부A)
1랭크 기준 똥. 2랭크라면 1개는 주고 사용가능. 특성으로 3퍼 확률로 2배 데미지 특성이 있다. 실상 데미지 상승 기대치는 3%. 차라리 100퍼센트로 딜량 3퍼센트 증가였으면 더 자주 쓰일듯 하나 쿤델라 시동기로 쓰임. 물론 이게 없다고 쿤델라를 못쓰는건 아니다. 무적인 적에게 사용시 디버프가 걸리지 않고 지속시간동안 걸리지 않는 듯하다. 무적이 꺼진 후에 사용하자. 현재 무쿨기
본포인팅(단일 스킬D. 조건부B)
패치 이후 예전처럼 1데미지는 뜨지 않는다. 소환 계열이 그렇듯 데미지 수치가 천을 넘어가지 않는다.(323 위파링쏘3페페 올지능 315보라로드 8강 5초월) 저주셔틀. 평타가 5천이 넘어가는데 이거 데미지는 600~900*3. 딜로 쓰는게 아니다. 스킬레벨당 지속시간 증가가 사라졌기 때문에 1레벨만 준다. 패스를 받더라도 1개가 최대수치이다.
쿤델라 슬레쉬(S)
페페 주력기. 얘 하나 보고 간다고 말할 정도로 계수가 준수하다. 저주에 증뎀이 되므로 거진 한방당 3천퍼정도를 꽃아넣는다. 마공 6천으로 24만 꽃아넣는 효자스킬. 다만 근접스킬이므로 각종 상태이상에 노출된다. 협곡의 우드고블린. 왕릉의 게이징 골렘과 미노타우르스만 만나도 뼈저리게 느끼게 된다. 우드고블린 개새1끼해봐!
레비테이션(A)
쓸만하다. 블러디 커스가 아무래도 상대적 하향을 먹고 덜쓰게 됬다지만 근접공격 면역은 무시할 수 없는 메리트. 근접공격인 은가둔디, 쿤델라와 발바닥을 찍는 커다이챠를 사용할 수 없다.
블러디 커즈(B)
자폭. 패치전엔 조인트가 오랫동안 살아 있을 수 있었기 때문에 레비상태에서 파볼 두번 조인트 자폭을 하면 3번을 꽃아넣을 수 있었지만 파볼1틱, 조인트 횟수 감소로 인해 솔플이 아니고서는 쓸 수 없게 되버렸다. 패널티가 대단하기 때문에 쓰기 힘들다. 부활이 걸려있어도. 무적이 걸려있어도 피통이 80퍼 이하면 사산폭발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현재 피통의 80퍼센트 사용이면 훨씬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것이다. 자폭 이후 흡혈을 사용하면 블러디커즈의 저주효과로 종족제한에 걸리는 몹에게서도 피를 빨아먹을 수 있다. 흡혈의 효과가 아니다. 데미지를 많이 줄수록 많이 빨아먹는다. 파티에 힐러가 없다면 이 기술로 피가 어느정도 수급이 가능하다.(피격대상은 보스 한정)
총평
링커는 섞어야 된다. 대부분의 스킬이 근접이거나 단일 타겟이기 때문에링커의 모으는 스킬이 매우 필요하다. 쏘마는 취향. 퍼센트 계수가 높기 때문에 버프빨은 잘 받는다. 버프는 남이주는 버프가 가장 좋지만 그게 싫다면 자신이 가도록 하자. 자폭이 예전만한 위용이 나오지 않지만 그래도 쓸모없지는 않다. 위자드는 취향이지만 파이로보단 쓸모있어보인다. 스킬이 쿨이 짧기때문에 현자타임이 짧지만 정작 쓰려고 할땐 많은 에로사항이 꽃핀다.
쿤델라는 저주를 걸고 쓰자. 그냥쓰면 8만 저주는 24만 3배가 차이난다.
넉백이 적은 필보 상대로 오히려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