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이슈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매국정부가 맞구만 -_-

아이콘 Radhgridh
댓글: 12 개
조회: 6917
추천: 16
2024-03-01 13:48:35


니미 3.1운동 스타트는 서울에서 했지...

그때 당시로 말하면 조선 경성에서 시작한거다 
씨발것들아....



씨발 내가 잘못기억한줄 알고 다시한번 찾아봤다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고종의 인산일인 1919년 3월 3일에 앞서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3월 1일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다. 기미독립운동이라고도 하고 북한에서는 3·1 인민봉기라고도 부른다. 대한제국 황제 고종이 독살되었다는 독살설이 퍼진 것이 직접적 계기가 되었다.

이 만세 운동을 주도한 인물들을 민족대표 33인으로 부르며, 그밖에 만세 성명서에 직접 서명하지는 않았으나 직접, 간접적으로 만세 운동의 개최를 준비한 이들까지 합쳐서 보통 민족대표 48인 또는 프랭크 스코필드를 포함 민족대표 49인으로도 부른다. 이들은 모두 만세 운동이 실패한 후에 구속되거나 재판정에 서게 된다. 약 3개월 동안 시위가 발생하였으며, 조선총독부는 강경하게 진압했다.

조선총독부의 공식 기록에는 집회인수가 106만여 명이고, 그 중 사망자가 7,509명, 구속된 자가 4만 7천여 명이었다. 1919년 3월 당시 일제 강점기 조선의 전체 인구는 1,678만 8천400명이었다. 일본인 학자 야마베 겐타로에 의하면 운동의 참여자는 50만 명 이상이라고 추정한다. 신복룡에 의하면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만세를 부른 사람의 수효는 46만 3086명 정도로 보았다. 학자들의 견해를 따르면 당시 조선 인구 중 2.76%에서 2.97%이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 조선총독부의 기록대로라면 전체 국민 중 6.31%가 만세 시위에 참여한 것이다.

3·1 운동을 계기로 군사, 경찰에 의한 강경책을 펴던 조선총독부는 문화통치로 정책을 바꾸게 된다.

1946년 3월 1일 제27회 기념식을 시초로 국가 경축일로 지정되었고,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관한법률〉을 공포함으로써 국경일로 지정되었다."



"3‧1 운동은 경성에서 시작되어 불과 수개월 만에 전국으로 퍼져나갔으며, 일본과 연해주 등 해외에서도 벌어져 1년여 동안이나 지속되었다. 임종국의 『실록 친일파』에 따르면,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60일 동안 1,214회의 만세 운동이 벌어졌다고 한다."

출처 :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i400200&code=kc_age_40



갑부

Lv83 Radhgridh

If at first you don't succeed, call an air strike.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