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이슈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지식] 5월17일, 금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아이콘 달섭지롱
댓글: 4 개
조회: 619
추천: 2
2024-05-17 11:56:26



❒ 5월17일, 금요일 ❒.

💢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올 봄 ‘널뛰기 날씨’... 4월은 역대 최고 기온, 5월엔 대설주의보 
→ 4월 평균 기온 14.9도로 역대 최고. 
5월엔 시베리아 찬 공기 남하, 15일 강원 북부 산지에 대설주의보 등 지난해 봄에 이어 올 봄에도 이상기후 동향.(문화) 


2. 해외직구 면세폐지? 
→ 정부, 현재 횟수 제한이 없이 소액 면세(150달러·미국발 200달러)를 적용해주고 있는 해외직구에 대해 과세 등 국내 e커머스업계 역차별 보완 추진.(문화)



◇정부, 해외직구 대응 소비자 안전 대책 발표
◇장난감 등 80개 품목, 인증·승인없이 직구불가
◇소액해외직구 면세제 개편 추진…EU 등도 폐지
◇“국내 역차별 해소 위해 소액면세제 개편 필요”
◇업계 긍정평가 "中이커머스와 역차별 해소 노력"


3. 소득 높으면 애국심 낮아 진다? 
→ 美청년 40%만 조국 위해 싸울 것‘... 독일 46%, 네덜란드도 36% 불과. 
반면 인도 등 개도국선 70% 넘어. 싱가포르(76%)·대만(73%)·한국(70%)도 70% 대. 

경제성장을 이룩한 서구에 ‘탈영웅적’(post-heroic) 사회가 도래한 것이 이유. 
비영리 사회과학연구기관 ‘세계가치관조사’(WVS).(문화)




4. ‘부모·형제 인연은 천륜’... ‘어떤 일이 있더라도 형제간 우애를 지켜달라’ 
→ 3월 작고한 조석래 효성 명예회장 유언장. 
형제간 소송 끝에 효성지분 정리하고 유족 명단에도 없었던 의절한 차남에게도 유류분 이상의 유산 남겨. 
그러나 차남 측은 유언장 내용에 의구심 제기하는 등 형제 갈등 봉합될지는 미지수.(헤럴드경제)



◇"형제간 우애 지켜달라" 유지 담겨
◇조현문 전 부사장 유류분반환청구 소송 낼지 관심
◇유류분 조항 헌법불합치 결정…개정 민법 소급 범위 촉각



고 조석래 효성그룹 명예회장의 차남 조현문 전 효성 부사장이 3월 30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부친의 빈소를 조문한 뒤 장례식장을 떠나고 있다. 연합뉴스


5. 소설 속 프랑스판 고려장? 
→ 새 정부가 들어섰다. 
장관들은 모두 젊은 층으로 구성됐다. 
노인 인구가 늘면서 사회보장제도의 적자폭이 커지자 청·장년층이 노인을 박해하기 시작했다. 
학자들은 노인 때문에 국가 재정이 바닥이 난다고 거들었다. 
레스토랑에는 ‘70세 이상 노인 출입금지’ 팻말이 걸렸다. 
자녀와 연락이 끊긴 노인들은 CDPD(휴식, 평화, 안락 센터)란 기관에 끌려가 주사를 맞고 생을 마감해야 했다... 
노인은 자신에게 주사를 놓는 젊은이에게 말한다. 
‘너도 언젠가는 늙은이가 될게다’... 
베르베르의 20년 전 소설 ‘황혼의 반란’.(헤럴드경제)


6. ‘한국산 쓰지 말자’ K방산 견제 시작됐나 
→ 세계 방산 시장 자국, 역내 무기 먼저 사용 분위기. 
佛 마크롱 대통령, 지난달 EU 의회에서 한국산 대신 유럽산 무기를 사자 주장. 
영국은 차기 자주포 사업에 한국 배제, 독일과 수의계약, 
노르웨이도 두배 비싼 독일 전차...(아시아경제) 


7. ‘어려울 때 도와줄 사람 없는’ 나라 한국 
→ 통계청 인용 갤럽조사. 
'어려울 때 도움받을 사람이 없는 비율' 독일, 미국, 일본은 5~12%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20%... 
특히 50대 이상에선 OECD 국가들이 평균 13%이었으나, 한국은 정확히 3배인 39%였다.(아시아경제)



▲‘어려울 때 도와줄 사람 없는’ 비율. 
미, 일, 독일보다 2배 이상... 노장년층에선 3배 


8. 10만원 축의금도 식권받기 눈치 보이는 이유 
→ 고물가 속 결혼식 비용도 폭등. 
14일 서울 시내 웨딩홀 6곳의 예식 비용을 확인한 결과, 1인당 식대는 업체별로 최소 6만 6천원에서 최대 10만 8천원, 평균 8만 2천원으로 집계.(아시아경제)











9. 정몽주와 선죽교 
→ 정몽주의 선죽교 피살은 역사적 사실은 아니다. 
집 근처에서 당했다. 
정몽주의 절개, 선죽교의 대나무, 다리라는 극적인 요소가 만들어 낸 요즘으로 치면 가짜 뉴스라고 할 수 있다. 
또 정몽주는 고려의 개혁에 이성게와 뜻을 같이 했으며 왕의 폐위도 동의했다. 
그러나 이성계가 직접 왕이 되겠다는 야욕을 보이자 갈라서게 되었다.(동아) 


10. OECD ‘최저임금 이하를 받는 근로자 비율’ 
→ 한국이 2021년 19.8%로 멕시코(25.0%)에 이어 2위. 
OECD 25개국 평균(7.4%)의 2.7배 수준이다. 

일본(2.0%) 독일(4.8%) 등 주요국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은 수치. 
경총은 우리 경제 여건보다 최저임금이 높게 책정된 결과로 분석.(한경)



◇'요즘 세상에도…' 근로자 300만명, 최저임금 못 받는다



◇최저임금 미만 근로자 13.7%
◇3년 연속 감소후 지난해부터 다시 상승
◇경총 "인상 속도 조절해야…업종별 구분적용도"


초 인벤인

Lv92 달섭지롱

이게 지구냐!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