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자치구 10곳 중 6곳 너구리 발견…사람·반려동물 공격도

츄하이하이볼
댓글: 3 개
조회: 2158
추천: 2
2024-05-28 07:41:07





녹지 비율 증가, 생태 하천 등 서식지 복원의 영향으로 

너구리 등 야생동물 개체수가 늘어난다면 그건 반가운 일입니다만,

인간 거주지와 과도하게 겹치는 건 동물에게도 인간에게도 그리 바람직한 것은 못 됩니다. 

 


특히 잦은 출몰 이유가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먹이 때문이라면 더욱 그렇죠.



기사에서는 음식물쓰레기와 길고양이 사료를 원인으로 들고 있는데,

음식물쓰레기는 어느 정도 관리되고 있다고 본다면

심각한 건 무분별하게 뿌려지고 전혀 규제가 되고 있지 않은 길고양이 사료입니다.


게다가 길고양이 사료는 급식소를 여러 동물들이 공유하므로,

감염병 전파에 더더욱 취약하죠.

급식소를 통해서 범백이 퍼져 고양이들이 떼죽음 당하는 일도 흔합니다. 














높은 기생충, 전염병 감염률은 꼭 너구리가 아니더라도 

야생동물이라면 마찬가지입니다.

뭐 길고양이도 마찬가지구요.

너구리가 문제되는 건 광견병을 무증상 전파하기 쉽다는 점인데,

실제로 2013년 경기도 화성시에서 냥줍한 길고양이가 광견병에 걸려있었던 사례도

너구리와 싸우다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었죠. 


너구리와 고양이가 급식대를 공유한다면 

이런 식으로 전파되기 쉽다는 겁니다.
















당연히 너구리만 문제되는 게 아닙니다.

북한산에 이미 심각한 캣맘 밥자리에 멧돼지가 이끌린다는 지적도 있죠.

이건 직접적으로 등산객, 주민에게 위험이 되는 부분입니다. 


부산에서는 복원사업중인 붉은 여우가 캣맘 밥자리에 이끌리고 

이들이 계속 먹이를 준 탓에 복원사업에 지장을 주기도 했죠.

















기사에서는 캣맘 등록제를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약한 형태의 캣맘 규제책이 되겠죠.


고양이에 의한 생태계 교란 문제와 이런 공중 보건적 문제 등을 이유로

이미 많은 나라에서 인위적인 피딩 행위를 규제, 처벌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개체수 조절에 효과 없는 TNR(중성화 후 방사)에 중앙정부가 세금낭비하며 

이를 핑계로 고양이 피딩 문제에 손을 놓은

세계에서 유일한 나라입니다. 


생태계 보전을 위해서도 그렇지만,

여러 측면에서 생각보다 주민들의 일상 생활에 밀접한 문제임을 인지하고

외국처럼 적극적인 대책을 도입하길 바랍니다. 




Lv32 츄하이하이볼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월탱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