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윤 전 대통령 퇴거, 비극의 대결 정치 종식 계기로
윤석열 전 대통령이 11일 오후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퇴거해 사저인 서초동 아파트로 옮겼다. 2022년 11월 7일 서초동 사저에서 관저로 옮긴 지 886일 만이자 헌법재판소가 탄핵을 인용한 지 일주일 만이다. 임기를 2년 넘게 남기고 파면당해 관저를 떠난 전직 대통령을 바라보는 국민의 심경은 참담하다. 여야가 줄탄핵과 계엄이란 극한 대결로 치달은 최악의 ‘혐오 정치’가 윤 전 대통령의 퇴거를 통해 종지부를 찍고, 국민 통합과 상생의 시대를 여는 계기가 되기만을 바랄 뿐이다.
윤 전 대통령 퇴거와 함께 조기 대선전이 본격화했다. 국난을 부른 정치의 실패를 수습해 미래로 나아가려면 유권자에게 ‘차악’을 뽑도록 강요해온 진흙탕 대선을 넘어 정책과 비전이 선택의 잣대가 되도록 대선판을 바꿔야 한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들부터 환골탈태해야 한다. 무엇보다 상대방을 향해 ‘내란 세력 타파’와 ‘이재명은 안됩니다’만 외치는 네거티브 정쟁을 접어야 한다. 국민의힘 후보들은 반(反)이재명 정서만 내세워선 민심을 얻지 못할 게 명약관화하다. 윤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가 위헌이고 잘못임을 분명히 인정하고 국민께 사과하는 것이 먼저다. 이어 통합과 재도약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정책 경쟁에 나서야 등 돌린 민심을 붙잡을 수 있을 것이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퇴거하면서 내놓은 대국민 메시지에서 “나라와 국민을 위한 새로운 길을 찾겠다”고 했다. 그러나 자신의 잘못으로 탄핵돼 권좌에서 내려온 만큼 사저에서 특정 정치인을 만나 메시지를 내는 등 대선 개입 논란을 부를 행동은 자제해야 한다. 과오를 반성하고 성찰하면서 재판에 성실히 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긁힘쪽에서 뭔가 잘못하면 꼭 이런 기사들이 나오는거 같음
내란당 대통령이 끌려 내려가거나 임기가 끝나고 정권이 바뀌면 민주당 보고 상생의 정치를 말한다 왜 매번 민주당만 참고 당해야 되는가 이제 좀 바꿔보자
내란의 힘이 정권을 잡는 것은 국난이고 재앙이고 저주였습니다.
저 저주스러운 매국노의 잔당, 독재의 잔당, 쿠테타의 잔당들을 없애 버리지 못한 것은
우리나라가 아직도 일제시대와 독재 시대에 살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윤두창 하나가 중요하지 않습니다. 내란의 힘 이 새끼들을 반드시 없애 버려야 우리나라의 진정한 독립과 민주화가 올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