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9월 18일 목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아이콘 달섭지롱
댓글: 3 개
조회: 353
추천: 3
2025-09-18 11:12:09



🔳2025년 9월 18일 목요일🔳
🍀🌱☘️🌿☘️🌱☘️🌿🌱🌱🍀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대미 투자금 투자처를 미국이 정하겠다는 미국 요구, 한국 거부? →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 로이터통신도 한국이 일본과 같은 합의를 체결하기 어려운 이유로 외환보유액이 일본보다 훨씬 적고, 원화의 유동성이 낮아 변동성 위험이 크다는 점을 지적.(아시아경제)

2. 24년 만에 음주운전... 두 번째라면 면허취소 정당 → 당사자는 음주정도가 면허 취소가 아닌 면허 정지 정도로 약하고 24년이 지난 음주운전 전력을 이유로 면허를 취소하는 것은 지나치다며 행정심판을 청구했으나 패소.(문화)

3. ‘영어 조기 교육, 효과는 있다. 그러나 언어는 나의 의도를 전달하고 다른 것을 학습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런데 지금 한국에서는 수단이 목표로 바뀌어 버린 것이 문제다’ → 임동선 이화여대 언어병리학과 교수 인터뷰.(문화) 

4. 중국 전통 복장 입은 中 여성들, 제주 성산일출봉서 단체 전통춤... 누리꾼 '갑론을박' → ‘백두산에서는 태극기도 못 꺼내는데 이건 오바’ vs ‘제주에 중국 관광객 많이 온다. 한국 사람들도 해외 나가서 태권도 하고 그러는데 심각하게 생각할 필요 없다’...(한국)▼


5. 폴란드, 독일에 2차대전 당시 나치에 입은 피해 1조 3000억 유로(약 2,120조 원) 배상 하라 요구 → 독일은 거부. 대신 폴란드의 안보를 지원하겠다는 제안. 폴란드는 1953년 배상 포기를 선언한 바 있으나 이는 소련의 강압으로 인한 것으로 무효라는 입장.(문화) 

6. 올해 상장 폐지된 코스닥 기업 50곳 → 지난해 연간 기록(48곳) 이미 넘어선 것은 물론 2020년(23곳)과 비교하면 두 배가 넘는 수치. 코스닥 시장 정상화 위한 규제를 강화 때문이라지만 전체적으로 시장 활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도.(헤럴드경제)

7. 가을 전어 값 ‘반토막’... 시원한 8월 날씨 덕분? → 지난해엔 고온으로 바닷물이 지나치게 뜨겁고 짰던 탓에 전어가 연안으로 접근하지 못했지만 올해는 상대적으로 시원해 전어 풍어... 8월 전남과 경남의 기온은 각각 27.7도, 27.5도로 지난해보다 1도가량 낮았던 데다 비가 많아 염도도 낮아졌다고.(세계) 

8. 중국에서 고무보트로 440km, 18시간 항해, 제주 밀입국? → 지난 8일 제주 한경면 해안에서 발견된 대형 고무보트는 중국인 6명(남5 여1) 밀입국자가 타고 온 것으로 밝혀져. 이들은 제주 감귤농장 등에서 일하다 추방된 전력.(한국 외)▼



9. 부르는 게 값 미용 요금, 소비자들 셀프 커트, 염색 시작... → 2013년부터 미용실 외부 가격표시제를 시행하고 있으나 갖가지 이유로 추가 요금... 실효성 낮아. 한편 미용실 개수는 2022년 1만 1503건, 2023년 1만 2646건, 지난해 1만 3292건으로 3년 연속 1만여 개 이상씩 증가.(국민)

10. ‘한 손’, ‘한 축’ 등 우리 고유 단위 정리 → ▷고등어 한 ‘손’은 2마리 ▷한약 한 ‘제’는 20첩 ▷북어 한 ‘쾌’, 오징어 한 ‘축’, 조기 한 ‘두름’은 같은 20마리 ▷바늘 한 ‘쌈’은 24개 ▷마늘, 과일 한 ‘접’은 100개...(경향, 한 입 우리말)




초 인벤인

Lv93 달섭지롱

이게 지구냐!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