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계층] 독일 합창단이 부르는 한국 동요 ‘섬집아기’ 한화 클래식

아이콘 에띠앙
댓글: 3 개
조회: 662
추천: 1
2025-09-27 15:03:44


https://www.youtube.com/watch?v=Z64II_mKg3Q


한국의 동요1950년 4월에 만들어졌다. 다만  자체는 1946년 이전에 쓰여졌다.

작곡: 이흥렬
작사: 한인현
편곡: 안형수



어린이들에게 친숙한 곡으로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나오기도 한다. 
반짝반짝 작은 별, 모차르트의 자장가와 함께 부모가 아이를 재울 때 가장 많이 불러주는 노래다.

이 노래의 유래는 작사가 한인현(韓寅鉉, 1921~1969, 한국글짓기 지도회 회장 등 역임)이 어린 시절을 보낸 함흥 혹은 교사로 근무했던 경기도의 어느 해변 마을에서 본 광경을 토대로 쓴 것으로 보인다.

"6.25 전쟁 때 부산으로 피난을 내려왔다가 해변가의 어느 집에 들어가니 아기만 곤히 자고 있었는데, 아이 어머니가 낯선 사람이 집에 온 걸 보고 놀라서  바구니를 던져두고 모래톱을 뛰어오는 광경을 보고 지었다"는 말은 도시전설이다. 
이 시는 6.25 전쟁 발발 4년 전인 1946년 발표된 동시집에 있고, 6.25 직전인 1950년 4월 나온 잡지에 재발표되었기 
때문이다.

느리고 서정적인 가락이 구슬픈 느낌을 주므로 감성이 풍부한 어린이들은 이 노래를 부르다 엄마 생각이 북받쳐 울 수도 있다.

2001년과 2002년 사이에 제주도에 섬집 아기 노래비를 건립하는 문제를 두고 논란이 됐다. 
곡이 전반적으로 굴을 따는 해안가를 연상시키는 건 모두가 동의하지만 하필 그 위치가 제주도일 필요가 있느냐는 반론이 제기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작곡가 이흥렬의 친일 행적도 제기됐고, 저작권 기증자 역시 '(제주)도민이 딱히 관심이 없는 것 같다'면서 난색을 표했다. 결국 2003년 1월 기준으로 취소되었다.


그런데 이 곡은 이상하게 도시전설이나 괴담에 엮여서 소재거리가 되는 일이 많다.
이 때문에 한국에서는 귀신이 이 노래를 부른다거나, 귀신에 홀린 친구 또는 가족이 이 노래를 부른다는 괴담도 알게 모르게 널리 퍼졌다. 잠들 수 없는 밤의 기묘한 이야기에서도 이에 관한 투고글들이 몇 개 올라와 있다.


노래 자체는 생계 때문에 아이를 돌보지 못해서 고생하는 어머니의 고단한 삶을 묘사한 것이니 쓸데 없이 무서워하지 
않아도 된다. 당시의 대한민국은 대부분 하루하루의 생계를 걱정해야 할 정도로 가난한 나라였으므로 부모는 돈 벌러 
나가고 아이가 홀로 집을 지키다 지쳐서 잠드는 장면은 드물지 않게 연상될 수 있는 장면이다. 

현대에도 맞벌이로 인해 할머니·외할머니에게 맡겨지거나 방치 상태에 있는 아이들이 많지 않은가. 즉, 섬집 아기의 가사는 당시에 흔히 볼 수 있는 일상적인 풍경의 묘사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을 고려하지 않고 괴담으로 각색하는 것 자체가 
일종의 과잉해석. 특히 2절을 모르고 1절만 가지고 괴담을 만든 경우도 있는 걸로 보인다.

와우저

Lv86 에띠앙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