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이슈] 10월 10일, 금요일 신문을 통 해 알게 된 것들

아이콘 달섭지롱
댓글: 3 개
조회: 871
추천: 2
2025-10-10 17:48:57



❒ 10월 10일, 금요일 ❒

💢 신문을 통 해 알게 된 것들


1. '라면의 나라'는 베트남? 
→ 지난해 1인당 라면 소비 개수 81개로 세계 1위. 
한국은 79개. 
2020년까지 한국이 1위였으나 2021년부터 베트남이 1위. 
다만 베트남은 라면 소비량이 줄어 1인당 소비 개수가 2021년 88개에서 3년 새 7개 줄었다.(경향 外)



한국 지난해 1인당 라면 소비 세계 2위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지난해 한국인이 1인당 79개의 라면을 먹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베트남에 이은 세계 2위다.



9일 세계인스턴트라면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라면 소비량은 41억개로 세계에서 8번째로 많았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라면 모습. 2025.10.9

◇지난해 세계 라면 소비 '역대 최대' 1천231억개
◇중국·인도네시아·인도·베트남·일본 소비량 상위



2. 개인정보 유출 집단 소송... 5년 걸려 고작 10만원 배상 
→ 긴 소송 끝에 배상 책임 없는 걸로 종결되거나 책임 있다는 판결 받아도 배상액은 1인당 10만원... 
가장 최근 판결난 모두투어 개인정보 306만명 유출 소송에서도 피해자당 10만원씩 지급하라는 배상 판결.(국민)




3. '빵플레이션' 
→ 올해 상반기 가장 많이 팔린 빵 10종류의 중위가격 추이를 분석한 결과 베이글 가격이 가장 많이 올라. 
3년 전에 비해 44%나 뛰었고 샌드위치(32%)와 소금빵(30%) 순서로 많이 올랐다. 
한국 신용데이터(KCD) '베이커리 시장 트렌드 리포트' 보고서(세계)



◇빵플레이션' 시대, 가격은 뛰고 수익은 줄었다... 위기의 베이커리업계



4. 재생에너지 발전, 처음으로 석탄 넘었다 
→ 英 싱크 탱크 '세계 전력량' 분석.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34.3%로 석탄(33.1%) 추월. 
원자력 발전 비중은 2.5% 증가해 전 세계 전력량의 9.1%를 점유.(경향)



지난해 10월16일, 독일 클레트비츠 풍력공원 위로 해가 떠오르고 있다. AP연합뉴스



중국과 인도의 급속한 성장세에 힘입어 2025년 상반기 전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사상 처음으로 석탄을 앞질렀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5. 가자 전쟁 종식? 트럼프 노벨상?
→ 이스라엘 하마스, 트럼프의 '가자 평화구상' 1단계에 합의. 
이스라엘 인질 20명과 팔레스타인 수감자 약 2000명의 교환, 이스라엘군 단계적 철군... 

다만 하마스의 완전한 무장 해제가 성공 관건 될 듯. 
2기 취임 후 7개의 전쟁을 끝냈다고 주장하는 트럼프의 노벨평화상 수상 가능성도 나오기 시작.(한경)





◇ "모든 인질 매우 곧 석방되고 이스라엘軍, 합의된 線까지 철수할것"



6. 호날두, 순자산 2조원 '축구계 첫 억만장자' 
→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에 호날두를 처음 포함.
그의 순자산을 약 14억달러(1조 9912억원)로 평가. 
2002년 프로 데뷔 이후 2023년까지 총 5억 5000만 달러 연봉.
2010년대부터 이어진 나이키와의 장기 후원 계약(연간 약 1800만달러). 
개인 브랜드 CR7'을 통한 의류·향수·호텔 사업 등으로 부 축적.(경향)



포르투갈 대표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지난 7일 포르투갈 리스본 외곽 오에이라스에서 열린 훈련에 참여하고 있다. 
포르투갈은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11일 아일랜드, 14일 헝가리를 각각 상대할 예정이다. EPA

■ 순자산 2조원 ‘축구계 첫 억만장자’···
◇“통산 1000골까지 달린다” 선언한 호날두
◇연봉·광고·투자 등 축적된 결과
◇2년 더 현역…“월드컵 우승 목표”



7. 인기없는 군인의 길? 육사 입학 정원의 1/3이 다른 길 
→ 올(육사 81기) 임관 인원은 223명으로 모집 정원 330명의 2/3에 불과. 
26명은 합격 후 등록을 안했고 81명은 중도 지퇴. 
중도 자퇴의 80%가 '진로 변경'을 이유로 들어 '군의 위기'를 보여준다는 평가. (조선)




8. '세계 사형 폐지의 날'(10일) 
→ '세계사형반대연합'의 제안으로 2003년 10월 10일을 세계 사형폐지의 날로 지정. 
우리나라는 1997년 12월 사형집행 이후 26년여 동안 사형을 집행하지 않아 국제네스티는 대한민국을 '사실상 사형폐지국'으로 분류해 오고 있다.(세계 外)



9. 주휴 수당의 모순? 
→ 주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가 1주 소정 근로일수를 개근하면 하루의 '유급휴일'을 보장하는 제도다. 
일본 노동기준법을 참고해 도입했지만 정작 일본은 노동시장 환경이 개선되자 30여년 전 이 제도를 폐지했다. 
현재 튀르키예, 브라질, 멕시코 등 소수 개발도상국에만 있다. (한경)



◇"주휴수당은 낡은 제도, 근로기준법 5인 미만 확대는 논의도 불가"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장,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서 강조
◇금융지원·회원 확대 등 성과도 강조…“2025년은 권리회복의 원년”



10. '가라, 뺑끼, 시마이, 쿠사리, 빠이, 나라시'... 
→ 아직도 우리말보다 더 많이 사용되는 일본말 들. 

우리말로 '가라'는 가짜, '뺑끼'는 속이는 일, 
'시마이'는 끝냄, '쿠사리'는 면박·핀잔, 
'뿜빠이'는 분배·나눔, '나라시'는 고루펴기·평탄화 작업을 의미한다.(뉴스 1)

초 인벤인

Lv93 달섭지롱

이게 지구냐!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