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주변에서 다들 AI하나씩은 쓰고 있기도 하는데 최근 엔비디아 26만장 도입 기사를 봤음.
본인 엔비디아 주식을 4년전부터 조금씩 사와서 평단가는 저어어 아래에 있다고 자랑하고 싶음. 아직까지 필지 않고 사기만 하며 또한 IT밥을 20년 넘게 먹고 있어서 AI 특히 엔비디아에 관심 많습니다.
근데 26만장이 얼마나 큰 규모인지 가늠이 안되는 질문들이 여러 커뮤니티에서 많이 보여 대략적으로나마 알려주려고 함.
틀린내용도 있으나 쉽게 설명하기 위해 약간의 왜곡은 있습니다.
1. 엔비디아는 반도체가 세대별로 암페어 아키텍처(A100등등), 호퍼(H100등등), 최신 블랙웰(B100등등) 으로 발전되었는데 각세대가
대략 전세대보다 3배 이상 성능. 현재는 블랙웰이고 올해 9월쯤부터 양산 시작하였기에 사실 블랙웰의 정확한 성능은 조금 지나봐야 합니다.
2. 그간 우리나라 전체 모두 합쳐 여태까지 6만5천장 정도로 추산(수정: 어제 하정우 수석이 4만장이라고 함).
이게 한 회사가 아니고 우리나라 전체임. 근데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MS, 테슬라, 메타 등등)들은 매년 20만장, 30만장 구입 함.
그러면 한국은 미국 1개 회사보다도 못한 물량을 가지고 있었냐? 맞음. 진짜 요거밖에 안되었음.
이유는 대략 짐작하다시피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다 사가서 다른 나라 기업 또는 정부들은 살수조차 없었을 거라 추정.
또한 현재 엔비디아의 AI하드웨어의 점유율을 90%인데 이 점유율은 사실상 독점임. 2등 3등 회사들은 점유율 자체를 말할 의미 없어요.
3. 그럼 요즘 다른 회사들도 AI반도체를 만들고 얼마전에 오픈AI가 AMD구매 예약해서 AMD주가 당일 25% 급등한적도 있는데 이건 뭐임?
미래에는 의미있을 수 있으나 근 2~3년내에는 무의미함. 엔비디아께 가성비가 젤 좋음.
??? 젤 비싼데 가성비가 좋다고? 맞아요. 젤 비싸지만 성능이 훨씬 좋아서 다들 엔비디아꺼만 사길 원하는 거임.
4. 왜 엔비디아꺼만 원하나?
하드웨어(NV링크등등 포함)도 젤 좋지만 소프트웨어인 CUDA가 넘사벽. 엔비디아꺼에서만 작동하고 기존 CUDA로만 20년동안 전세계
개발자들이 개발해와서 다른 플랫폼에서 하라면 매우 힘듬. AMD조차 CUDA를 전환해주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쉽게 개발한다고
홍보하지만 그러면 전환 중 속도 손해도 보고 또한 애초에 CUDA로만 개발하면 되지 개발후 전환 단계를 또 거쳐야 한다는게 매우 번거로움.
5. 전세계 AI 순위는?
하드웨어만 볼때 1위 압도적 미국(2000만장), 2위 중국(1000만장 추산), 한국은 10위정도(4만장)이지만 매우매우 뒤쳐진 10위였는데 26만장 추가하면 세계 3위된다고 함. (하정우 수석)
결론은 구형 AI하드웨어 우리나라 통털어 4만장 밖에 없었고 5년내 5만장을 추가 구입해서 AI강국을 만들겠다고 하는거였음.
사실 정부가 현실을 잘 모르나 하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최신 블랙웰 아키텍처 장비 26만장이 따아악 나타난거임. 우리나라처럼 AI 후진국에서는 어마어마한 규모.
요약
우리나라 전체에 구형버전으로 4만장 밖에 없었음.
정부는 5년내에 5만장 구입을 희망하였으나 젠슨황 형님이 최신 버전 26만장 줄게로 변경. 압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