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사기 3분의 1, 메타서 발생"
사기광고로 지난해 매출 10% 벌어
세계 최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기업 메타가 사기성 광고로 천문학적인 수익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이 입수한 내부 문서에 따르면 메타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 등을 통해 사기성 광고로만 지난해 160억달러(약 23조원)를 벌어들였다. 이는 메타의 지난해 연 매출(1645억달러)의 약 10%에 해당하는 규모다.
사기성 광고에는 허위 전자상거래, 투자 사기, 불법 온라인 도박, 금지 의료제품 판매 등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는 내부 보고서에서 “사기성 광고로 매년 약 70억달러(약 10조원)의 연간 매출을 올려왔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또 다른 보고서에는 “미국 내 성공한 사기 사건의 3분의 1이 메타 플랫폼에서 발생했다”, “구글보다 메타에서 사기 광고를 게재하기가 더 쉽다”는 분석도 담겼다.
메타는 광고의 불법성을 자동 시스템으로 판별하지만 사기 확률이 95% 이상일 때만 차단 조치를 취한다. 그 미만일 경우 광고를 차단하지 않고 더 높은 광고 요금을 부과한다. 한 번 사기성 광고를 클릭한 이용자는 알고리즘에 따라 유사 광고를 반복적으로 노출받게 돼 피해가 확산될 가능성도 높다.
로이터는 “메타가 사업 이익에 악영향을 받을 것을 우려해 사기성 광고 단속에 소극적”이라고 지적했다. 사기성 광고 단속에 따른 벌금은 최대 10억달러(약 1조5000억원)로, 이를 통해 얻는 막대한 수익에 비하면 미미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