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 전차는 A라는 적을 볼수 있다. 그리고 2번 아군전차도 볼수 있다..
2번 전차는 1번 아군과 무전범위가 겹치게 되어서 A라는 적을 볼수 있다.또한 무전 범위가 겹치는 1,3,4번을 볼수 있다.
3번 전차는 2번 아군과 무전범위가 겹치게 되어서 2번 전차를 볼수 있으나, 다른 것은 볼수 없습니다.
4번 전차는 2번 아군과 무전범위가 겹치게 되어서 2번 전차를 볼수 있으나, 다른 것은 볼수 없습니다.
5번 전차는 아무것도 볼수 없습니다. 시야내에 적도 없고 무전범위가 겹치는 아군도 없기 때문입니다.
6번 전차는 B라는 적을 볼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다른 전차에게 공유해서 보여줄수는 없습니다.
정리
1. 무전은 한번밖에 겹치지 못한다.
(즉 무전범위가 겹친 상태에서 또다른 사람이 겹쳐져 있다해도 신통 불가)
2. 무전 범위가 겹치면 미니맵상에서 적을 볼수 있으며 실제 조준에서는 707m를 넘지 않는 다면 이론 상 적을 조준할 수 있다.
3. 시야에서 적을 봤음에도 불구하고 무전 범위가 좁은 경우 통신을 할 수 없어서
아군에게는 적이 미니맵상으로 표시도 안되고 시야 공유도 안된다.
(즉 경전차가 무전기가 안좋으면 적을 발견해도 무전 교신거리가 안닿아서 아군 자주포에게 표적을 못보여준다!)
대체적으로 전장의 넓이가 1km x 1km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전차 단계가 높아지면서 업그레이드 가능한 무전기의 통신범위도 비약적으로 증가한다.
이런 상태에서 아군 전차들도 위와 비슷한 통신 범위를 가지고 있는 경우 맵의 거의 전 지역을 확인할수 있는 셈이다.
그러므로 통신 범위도 상당히 중요한 매커니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