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야와 위장메커니즘 이해하기
우선 자신의 탱크의 시야(관측범위)와 위장률을 확인해보자
내 레오1의 위장, 정찰능력
정지 시 26.3% / 정지 중 사격 시 5.5%
기동 시 20.5% / 기동 중 사격 시 4.28%
관측범위 479m
시야와 위장률을 확인했다면 월탱의 시야/위장메커니즘을 간단히 알아보자.
메커니즘 1단계 :적이 내 관측범위에 들어오면 적이 스팟(발견)됨
메커니즘 2단계 : 적 전차에 위장률을 적용하면 내 관측범위보다 더 접근해야 스팟됨
메커니즘 3단계 :수풀, 쓰러진 나무와 같은 위장요소들이 적 전차에 추가적인 위장률을 줌
#CASE 1
메커니즘 1단계 수준에서 보면 일방적으로 쳐맞는 상황은 바로 이거다.
수풀 하나 없는 개활지에서 있을법한 경우다.
주로 관측범위가 짧은 저티어전에서 쌍안경(정지 시 시야+25%)을 이용한 양학플레이에 자주 활용된다.
#CASE 2
메커니즘 2, 3단계 수준에서 보면 적이 수풀끼고 위장도 바르고 위장막도 치고 위장스킬도 찍고 해서
당신의 관측범위에 들어왔는데도 발견될 기미가 보이질 않는다.
특히 수풀의 위장률보너스가 어마무지해서 400m에서 발견할 걸 거의 200m까지 접근해야 발견되게 한다.
그래서 대부분은 수풀속에서 줄줄이소세지처럼 날아오는 포탄에 어리둥절死
대부분의 경우는 CASE 2 의 상황을 이용해서 일방적인 딜을 넣는다.
이것저것 더 알려주고 싶지만 '간단히' 알아보자고 했으니까 이까지만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