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AMX 50 120과 AMX ELC bis 분석글을 쓴 문생이라고 해욤(아시아:UniqueMelody[RAISE])
오늘은 많은 분들이 요청하셨던 미국 10티어 목돌구축 T110E4 공략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TVP T 50/51, AMX 50 B, T110E4, AMX 13 90중 어떤 탱크를 주제로 할까 고민하다 아무래도 공략글을 찾아보기 어렵고, 많은 요청이 들어왔던 T110E4를 쓰기로 결정했네요.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먼저 제 전적인증부터.
평딜 3305, 화증 98.35까지 찍어봤는데 사진으로 남아있는건 이 두개네요.
목차.
1.스펙
2.장단점
3.이포 장갑 구조 팁
4.추천 이큅
5.운용법
6.스킬
7.운용 영상.
순으로 적어보겠습니다.
1.스펙입니다.
보시다 싶이 디피엠, 조준속도, 장전속도, 분산도 무엇 하나 동티어 150밀 계열 268, 그릴레, 이슬이보다 좋은게 없습니다. 특히 장전 속도는 암울한 수준으로, 스펙만 보면 그나마 괜찮은게 시야 하나 뿐으로 이 똥탱을 왜 타냐? 하시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스펙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장단점으로 넘어가서 하겠습니다.
2.장단점.
2-1.장점
위 스펙을 보고 오셨으면 "이 똥탱을 왜 타냐?" 라는 궁금증을 가지고 계시는 분들이 많을겁니다.
하지만 이 탱크에는 스펙으로는 판가름할수 없는 크나큰 장점이 있는데요,
바로 첫번째 장점인 골탄, 375관통의 고속철갑탄입니다.
이 375미리의 고속철갑탄은 이포의 존재 이유이자 곧 상징입니다.
고속철갑탄이라는 탄종때문에 공간장갑이나 궤도에 씹힐 확률이 적으며, 또한 무시무시한 375의 관통력은 이백의 포탑 티타임도 관통력으로 우겨넣어 뚫어버립니다.
두번째 장점은 바로 목돌이라는점입니다.
아시다싶이 이포의 포탑은 180도 회전이 가능한 반목돌 포탑이며, 이는 포탑고정형 구축에 비해 훨씬 운용이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세번째 장점은 나쁘지 않은 기동성인데요.
같은 국가의 헤비탱크인 이오보다는 약간 느리고 발차도 빠르다고는 하지 못하지만, 라인에 도착할때 보면 옆동네 영국의 9,10티어 헤비인 컨쿼러나 이로비와 비슷하게 라인에 도착합니다. 조금 굼뜨지만 못써먹을 기동은 아니라는 소리죠.
실 장갑 수치로 180~240미리의 방호력을 가집니다. 이는 이포가 만날 수 있는 거의 모든 탱크의 은탄으로 해치가 관통이 날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 해치가 크게 약점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이는 다음의 장갑 구조 설명에서 다시 다루겠습니다.
세번째 단점은 후면의 박스와 측후면 장갑입니다.
후면의 박스는 76미리로, 역티타임을 줄 경우 정말 치명적인 약점이 됩니다.
티각을 잘못 줬을 경우 박스가 보이는 각에서는 거의 무조건 관통이 날 정도로 약합니다. 이는 역티타임을 주는데 있어 큰 애로사항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미국의 특징인 약한 측후면 장갑은 이포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이 됩니다. 이는 자주포나 경전의 뺑뺑이에 취약함을 의미하며 또한 교전시 측후면을 드러내는 행위는 절대 금지임을 뜻합니다.
3.이포 장갑 구조 팁.
제가 여기서 다룰 내용은 이포의 장갑 구조를 알아보고 또한 활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입니다.
먼저 장갑 구조를 보고갑시다.
정면에서 보았을 때, 하단은 160~200미리, 포방패 옆의 포탑장갑은 240미리, 포방패는 뒤쪽 장갑이 없는 포신 바로 양옆부분은 250미리고 그 이외엔 400미리가 넘으므로, 포탑 공략법은 8티어 미국 프리미엄 헤비 T34와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물론 해치라는 거대한 약점이 있으므로 해치를 쏘기 힘들 때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T34 포탑 공략에 대한 공략글은 이전에 인벤닉 '파란올갱이'님이 쓰신적이 있으며, 이 글이 이포를 상대하는데 매우 도움이 된다고 생각되어 링크를 남길테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포와 34가 매우 비슷한 장갑구조를 가졌기에, 34공략법대로 이포를 쏘시면 거의 비슷하게 이포를 뚫어내실수 있습니다.
또한, 이포는 포탑의 모서리가 직각이 아닌 둥근 형태를 띄고 있으므로 포탑에 티타임을 줄 시 오히려 포탑 방호력이 더 줄어드는 기괴한 현상이 벌어집니다. 그러므로 이포를 타고 라인전을 하실 경우에는 포탑에 티타임을 주지 마시고, 정직하게 정면을 바라보고 라인전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해치에 대해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여러분들중 이포 해치를 쏘고 "왜 안뚫리지?" 라는 의문을 품으신 분들이 꽤 있을겁니다.
이는 이포 해치의 장갑 구조 때문입니다.
먼저 사진을 봅시다.
이것은 이포의 해치를 확대한 사진입니다.
실제로 이포를 보시면 해치가 상하부 부분이 나뉘어져 있는데, 이를 기점으로 아래쪽은 180~220미리의 방호력을 가지고 상부는 240미리의 방호력을 가집니다.
그러므로 여기에 티타임이 걸릴 시, 해치 상부의 실 방호력은 300미리가 넘게 증가하는 경우도 생길 정도로 튼튼해집니다.
이로 인해, 이포 해치에 쏘고 탄이 튕겼을 경우, 대부분은 해치 상부를 쏘셨기에 탄이 튕겨져 나온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