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팩 팁과 노하우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컴퓨터] 느려진 컴퓨터 최적화와 간단한 관리법 2

죽지않는놈
댓글: 23 개
조회: 9666
추천: 94
2011-10-14 15:25:36

그 다음 중요한 디스크 조각 모음 입니다.

디스크 조각 모음을 하면 일반적으로 빨라진다고 합니다.

 

사실입니다.

 

하드는 파일을 계속 저장하고 삭제하고 다시 저장할수록 연속된 공간에 저장이 되지 않습니다.

 

즉 여기저기 산재된 공간에 찾아가서 저장이 되죠.

 

이는 삭제및 저장이 반복될수록 파일이 한곳에 있지않고 흩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당연히 파일을 읽고 불러오는 속도는 떨어지게 됩니다.

 

디스크 조각 모음은 이런 산재된 파일들을 연속된 공간에 저장되도록 파일을 구성하는 블럭들을 한곳에 모으는 역할을 합니다

.

하시기전에 분석을 통해서 디스크조각모음이 필요하다고 프로그램이 전달을 해줍니다.

 

한달에 한번씩은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

 

자 다음은 시작 - 실행 - msconfig을 치시거나 윈도우7은 시작-msconfig 치시면 실행이 되실 겁니다.

 

msconfig은 말그대로 윈도우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다른것까진 하실건 없고 시작프로그램만 봅니다.

 

시작프로그램에 나와있는 저 프로그램들은 컴퓨터가 부팅시 시작 되는 프로그램들 입니다.

 

한마디로 시작하자마자 체크되어있는 프로그램이 프로세스를 잡아먹고 시작한다는 겁니다.

 

당연히 필요한 부분만 체크해주시고 나머지는 체크를 해제해주시길 바랍니다.

 

어지간하면 백신프로그램을 제외하고 전부 해제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이 작업을 하시면 부팅속도와 실행속도등 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

그다음 그리드 스위치라는 프로그램입니다.

 

아실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P2P사이트 즉 공유사이트에서 설치하신 프로그램들을 제거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대부분의 공유사이트들은 컴퓨터의 성능을 갉아먹는 Quickdownservice 라는 그리드를 전적으로 설치를 하게 되는데

이는 컴퓨터의 성능과 인터넷 속도를 크게 저하 시킵니다.

 

이유는 분산 컴퓨팅(?) 이었나 아무튼 이를 설명하려면 굉장히 길어지므로 일단 그리드같은 경우엔 무조껀 제거를 해주셔야합니다.

거의 악성코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드 스위치라는 프로그램으로 해주시는게 제일 좋습니다. 이유는

 

짜증나게 저 악성코드가 시스템이나 레지스트리등 곳곳에 심어져서 찾아내서 직접 손수 삭제하기 상당히 귀찮다는 겁니다.

 

그리드 스위치는 쉽고 한방에 다 해줍니다.

 

네이년에 검색하시면 다 나옵니다.

 

소프트웨어 부분은 이정도로만 해줘도 충분 합니다.

 

또한 어지간하면 용량을 많이 쓰지않는게 좋습니다.

 

1TB를 쓰신다면 700GB이상 쓰시는건 안좋습니다. 용량을 많이 잡아먹으면 먹을수록 불러오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체감상으로도 컴퓨터가 많이 느려지는게 느껴집니다.

 

쓸데없는 파일들은 삭제 해주세요

 

------------------------------------------------------------------------------------------------

 

이제 하드웨어 부분입니다.

 

컴퓨터 본체 청소하신지 얼마나 되셨나요?

 

안에 먼지가 가득하시다면 당장 청소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하드웨어에 먼지가 많다면 온도부분에서도 많이 취약 합니다.

 

실제로 제 그래픽카드가 원래는 라데온 4850이었는데 온도가 120도까지 치솟는 바람에 코어가 손상되서 운지된 사태가 벌어진적이 있습니다.

코어가 손상이 되면 부팅부터 그래픽이 깨져서 나오게 되고 블루스크린까지 동원하게 됩니다.

 

하드웨어 같은경우 신기하게 냉각이 잘안되면 스스로 컴퓨터가 멈춰버립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안심할것이 못되는게 온도가 말도안되는 고온이 유지될수록 컴퓨터 수명과 성능에 크게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또한 약간의 오류로 컴퓨터가 멈추지않고 계속 가동이 된다면 CPU나 GPU는 그대로 타버려 메인보드를 포함해 아예 컴퓨터가 운지 되는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 온도를 잡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일단 온도를 알아볼수있는 프로그램을 설치 합니다.

 

저는 HW hardware monitor Pro 를 쓰고 있습니다.

 

흔히들 CPUID 라고 합니다.

 

 

온도를 봅시다. 검은색으로 표시해둔 것이 위에서부터 CPU쿨러의 RPM 즉 현재 쿨러가 1분당 돌아가는 회전수 입니다.

 

높으면 높을 수록 굉장한 소음이 발생 됩니다.

 

개인적으로 만약 고사양 게임이나 작업을 하시는 경우에는 CPU사면 딸려오는 정품쿨러가 아닌 사제쿨러를 새로 다시는걸 추천합니다.

 

정품쿨러를 계속 사용하실 경우 나중에는 전투기 날아다니는 소리를 방안에서 듣게 되실겁니다.

 

그 밑은 CPU의 온도

 

그리고 마지막은 그래픽카드의 온도입니다.

 

저희집은 와우를 할시

 

CPU는 45도까지 그리고 그래픽카드는 65도까지 올라갑니다

.

더큰 고작업을 할시엔 저기에서 5도이상은 더 올라갑니다.

 

대략 제컴은 온도가 약간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걱정할 수준은 아닙니다.

 

참고로 각 CPU난 그래픽카드는 제품부분에서 온도 차이가 심합니다. 그러나 대략적으로

CPU는 60도이상 넘어가면 높은수준이고 대략 75~80도 넘어가면 위험수준이 됩니다.

 

그래픽카드는 120도까지 버틴다지만 100도이상 되면 굉장히 높은 것이고 120도이상넘어가면 위험합니다.

 

또한 온도가 낮으면 낮을수록 하드웨어들은 성능을 100% 발휘하게 됩니다.

 

자신의 컴퓨터 온도를 알아보세요. 그리고 필요이상으로 높다면 온도를 잡아주셔야 합니다.

 

컴퓨터 먼지제거와 청소는 필수 입니다.

 

그리고 사용하신지 1년 반에서 2년이상 되셨고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다 하시는 분들은 서멀구리스를 CPU와 그래픽카드 코어에 새로 발라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서멀구리스는 CPU와 쿨러 방열판 사이에 온도를 직접적으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해주므로(끈적거립니다..껌같은 느낌 나중에 시멘트처럼 굳어버립니다.) 오랫동안 새로 안바르신 경우에는 완전히 말라비틀어버려져서 제역할을 재대로 못합니다.

 

그럼 당연히 온도가 내려가지 않고 고온을 유지하게 됩니다.

 

CPU같은 경우는 쿨러가 알아서 감지하고 미친듯이 돌아가서 제트기소리 내고 있을 겁니다.

 

그래픽카드 같은 경우는 고온을 유지하다가 컴퓨터가 멈춰버리거나 심한경우에는 코어가 손상되서 그래픽카드가 운지 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합니다.

 

서멀구리스는 대략 시중가로 몇천원부터 만얼마까지 다양 한 제품들이 있습니다만 아무거나 쓰셔도 무방합니다. 크게 온도차이는 없으니까요.

 

바르는 방법은 검색하면 다나옵니다.

 

대략 서멀구리스의 교체로 비정상적인 온도를 유지하셧다면 엄청난 온도 절감 효과를 보실수 있을 겁니다.

 

다음은 쿨러 부분입니다.

 

쿨러 같은경우 오래 사용할 경우 먼지가 쌓이거나 제역할을 하기엔 많이 노후화가 될겁니다.

 

이는 RPM에 영향이 가게 되고 결국엔 굉음이 나게 되죠.

 

rpm이 3500만 넘어가도 소음이 심해지고 5000rpm만 넘으면 환장합니다.

 

또한 당연히 냉각능력도 저하되겠구요.

 

특히 고사양작업이나 고사양게임을 하시는 경우에는 더욱더 심해지는데 고사양 게임 작업을 하시는 분들은 가급적이면

사제쿨러를 장만하시는게 좋습니다.

 

정품쿨러보다 시중가로 만원대 제품들만 달아줘도 충분히 제역할을 해줍니다.

요즘은 방열판도 죄다 히트파이프 방식이라 열절감능력은 확실하더군요......

 

원래는 하드디스크 까지 쓰려고 했지만 하드디스크부분은 따로 설명드릴게 없습니다.

 

따로 쿨러가 존재하긴 하지만 그정도까진 필요가 없고

본체 케이스에 통풍만 잘되기만한다면 하드부분에서는 크게 열이 발생할일이 없습니다.

 

--------------------------------------------------------------------------------

 

제가 드리는 팁은 여기까지 입니다.

 

간단한 노하우라고 했지만 막상 글을 보면 복잡하다고 느끼실겁니다.

 

하지만 막상 만지면 잠깐이면 될일이고 자주해주는것도 아닙니다.

 

그저 한달에 한두번 정도 이고 마구잡이로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은 컴퓨터가 쉽게 느려지지 않을 겁니다.

 

조금만 신경 써주셔도 앞으로 컴퓨터를 포맷을 하는 일이 없 게 할수 있습니다.

 

 

그나저나 조만간 컴퓨터를 바꾸고 해야할텐데 아직까지 쌩쌩하니 바꿀엄두가 안나네요...

 

 

Lv58 죽지않는놈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와우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