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팩 팁과 노하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컴퓨터] LSFG 2.12 업데이트

malraux
댓글: 23 개
조회: 7869
추천: 3
2024-11-21 21:40:47
- 선요약 -

윈11 24H2 에서 DXGI 사용에 문제가 있으면 WGC 를 쓰시라는

MPO 지원유무에 달려있는데 dxdiag에서 디스플레이 탭 Direct3d ddi: 12 이상이면 지원된다고..(DXGI 사용가능)



WGC를 써봤는데 부드럽지가 않고 하위옵션에 2중버퍼링(지연증가)까지 써도 DXGI보다는 훨씬 못한듯. 도저히 못쓰겠으면 24H2  롤백하던가 하셔야 할 듯.

(원문)
  • Introduced a new "Resolution Scale" option for LSFG. This feature allows input frames to be processed at a reduced resolution while generating output at the original resolution. For example, when playing at 1440p, setting the scale to 50% enables LSFG to generate 1440p output from a 720p input. This provides a performance boost with only a minor quality trade-off (depending on the game). Note that this is not related to image scaling; rather, it reduces the amount of information available to LSFG for motion estimation.

  • LSFG 1.1 has been fully replaced by LSFG 2.3 and is no longer available. For instance, at a resolution scale of 90%, LSFG 2.3 Performance is both faster and of higher quality.
    If you still wish to use LSFG 1.1, LS 2.11 remains available in the Betas section on Steam.

  • Introduced SGSR v1, a highly lightweight spatial upscaler. For more details, visit the official page: https://github.com/SnapdragonStudios/snapdragon-gsr.

  • With the latest Windows 11 24H2 update, Microsoft changed how the Desktop Duplication API (DXGI) functions, making it heavily reliant on MPO (Multiplane Overlay) support. Without MPO, DXGI cannot reliably distinguish between updates from game window and the LS window when both are displayed on the same monitor. This prevents it from capturing only new frames, thereby breaking the existing framepacing algorithm.

    MPO support varies between systems, and there is no definitive way to determine why it is supported on some setups and not on others. You can use dxdiag to check if your system has MPO support. In some cases, you might be able to work around the issue. For instance, if you have two monitors connected, disconnecting one may force the remaining monitor to support MPO.

    As of the 24H2 update, DXGI is no longer a reliable capture method unless Microsoft changes its approach or Nvidia and AMD improve MPO support in their drivers.

    On the other hand, Microsoft has addressed a five-year-old bug in the Windows Graphics Capture (WGC) API, which previously prevented it from capturing only new frame updates. Starting with version 24H2, WGC now works as expected for the most part. Essentially, DXGI and WGC have switched roles in this update. WGC capture in LS has been updated with a new framepacing algorithm to replace DXGI on newer systems while maintaining the same behavior as before on older systems. DXGI continues to function normally up to version 23H2, but beyond that, it depends on MPO support.

    While WGC generally offers some advantages over DXGI, such as allowing LS to be recordable by most tools, it also has drawbacks without MPO support. Specifically, in games where a hardware cursor is displayed and VRR is enabled, WGC disables independent flip mode globally. This can lead to issues with LS and VRR functionality.

    Starting with Windows 11 24H2, MPO support becomes highly desirable. We can hope that future updates from Microsoft, Nvidia, and AMD will address these challenges. Notably, there have been reports that DXGI is functioning correctly again on the Windows 11 Dev branch.

(구글번역)
LSFG에 대한 새로운 "해상도 배율" 옵션을 도입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원래 해상도로 출력을 생성하는 동시에 감소된 해상도로 입력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440p로 재생할 때 배율을 50%로 설정하면 LSFG가 720p 입력에서 1440p 출력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게임에 따라 약간의 품질 저하만으로 성능 향상을 제공합니다. 이는 이미지 크기 조정과 관련이 없습니다. 오히려 모션 추정을 위해 LSFG에 사용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줄어듭니다.

LSFG 1.1은 LSFG 2.3으로 완전히 대체되었으며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90%의 해상도 스케일에서 LSFG 2.3 Performance는 더 빠르고 품질도 더 좋습니다.
LSFG 1.1을 계속 사용하고 싶다면 Steam의 베타 섹션에서 LS 2.11을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초경량 공간 업스케일러인 SGSR v1을 출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페이지(https://github.com/SnapdragonStudios/snapdragon-gsr)를 참조하세요.

최신 Windows 11 24H2 업데이트를 통해 Microsoft는 DXGI(Desktop Duplication API)의 작동 방식을 변경하여 MPO(Multiplane Overlay) 지원에 크게 의존하게 만들었습니다. MPO가 없으면 DXGI는 게임 창의 업데이트와 LS 창의 업데이트가 동일한 모니터에 표시될 때 이를 확실하게 구분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하면 새 프레임만 캡처하지 못하게 되어 기존 프레임 페이싱 알고리즘이 중단됩니다.

MPO 지원은 시스템마다 다르며, 일부 설정에서는 지원되고 다른 설정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이유를 확인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은 없습니다. dxdiag를 사용하여 시스템에 MPO가 지원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모니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모니터를 분리하면 나머지 모니터가 MPO를 지원하게 될 수 있습니다.

24H2 업데이트부터 DXGI는 Microsoft가 접근 방식을 변경하거나 Nvidia 및 AMD가 드라이버에서 MPO 지원을 개선하지 않는 한 더 이상 안정적인 캡처 방법이 아닙니다.

반면, Microsoft는 이전에 새로운 프레임 업데이트만 캡처하지 못하게 했던 Windows 그래픽 캡처(WGC) API의 5년 된 버그를 해결했습니다. 버전 24H2부터 WGC는 이제 대부분 예상대로 작동합니다. 기본적으로 DXGI와 WGC는 이번 업데이트에서 역할을 바꿨습니다. LS의 WGC 캡처는 이전 시스템에서 이전과 동일한 동작을 유지하면서 최신 시스템에서 DXGI를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프레임 속도 알고리즘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DXGI는 버전 23H2까지 계속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만 그 이후에는 MPO 지원에 따라 달라집니다.

WGC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도구에서 LS를 기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등 DXGI에 비해 몇 가지 장점을 제공하지만 MPO를 지원하지 않는 단점도 있습니다. 특히 하드웨어 커서가 표시되고 VRR이 활성화된 게임에서 WGC는 독립적인 플립 모드를 전역적으로 비활성화합니다. 이로 인해 LS 및 VRR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Windows 11 24H2부터 MPO 지원이 매우 바람직해졌습니다. Microsoft, Nvidia 및 AMD의 향후 업데이트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특히 Windows 11 Dev 분기에서 DXGI가 다시 올바르게 작동한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Lv77 malraux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23)

새로고침
  • 아이언거너24-11-22 09:36
    신고|공감 확인
    이게 왜 블라인드? 엄청 잘쓰고있어서 좋은데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 1
  • malraux24-11-22 09:59
    신고|공감 확인
    퀘존이나 다른 겜 커뮤에는 올라오던데 와벤에는 공유하는 사람이 없어서 제가 걍 올렸어영.
    답글
    비공감0공감0
  • 꿀꿀이소녀24-11-22 12:01
    신고|공감 확인
    베타버전으로 해상도 스케일 조절해서 써봤는데 프레임은 이전보다 좀더 나오는데 글자 (상대방 닉네임 등)가 흔들리고 어지러워서 조절 안하고 그냥쓰네용 :(
    답글
    비공감0공감 1
  • malraux24-11-22 17:21
    신고|공감 확인
    LSFG 해상도 업스케일은 와우와는 잘 맞지 않는것 같아요. 게임내 문자도 업스케일을 하기 때문에 가독성이 너무 떨어지더라고요. 와우 인게임 랜더링 스케일 조절이 제일 좋긴 해요. 게임 화면만 업스케일하고 글자들은 그대로 두니까요. 그런데 지금 인게임 랜더링 스케일은 버그가 있어서 다들 못쓰는중.
    답글
    비공감0공감0
  • 개강아지24-11-22 23:21
    신고|공감 확인
    윈도우10은 설정 안바꿔도되는거죠?
    답글
    비공감0공감0
  • malraux24-11-22 23:54
    신고|공감 확인
    네. 그냥쓰시면 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플레마24-11-23 13:06
    신고|공감 확인
    궁금한게 있습니다 이번에 98x3d로 바꾸면서 프레임이 올랐는데요 4k 풀옵 쐐기 180-230 레이드도 100이상씩 뽑히는데 드르노갈 80‐120 루스레스 틀면 강제로 실제 프레임이 크면 반토막 에서 30-90가까이 내려가고 90-120/240 으로 모니터 왼쪽위에뜹니다 240/240 나와야할 구간도 120 130으로 강제로 프레임이 떨어지는데 이유가 뭔가요
    답글
    비공감0공감 1
  • malraux24-11-23 13:47
    신고|공감 확인
    lsfg쓰시려면 배수에 맞게 인게임 프레임 제한을 꼭 거셔야 해요. x3 면 80 , x4 면 60 (240hz 모니터인경우)  이런식으로요.  그렇지 않으면 깡프레임 생성하는 부하+ 프레임제너레이션 부하 겹쳐서 풀로드 찍고요, 결과적으로 프레임제너레이션 프레임도 떨어뜨립니다. lsfg 켯을때 기존 프레임이 내려가는 현상도 lsfg가 gpu 자원을 뺏어가기 때문에 당연히 (프레임제한 걸지않은) 기본프레임이 내려가는 거에요. 
    240/240 이렇게 계속 쓰신거면 잘못쓰신거에요. 60/240 (x4)  80/240 (x3) 120/240 (x2) 평소 이렇게 나와야 정상입니다. 프레임제한 걸지 않고 lsfg 쓰면 전기는 전기대로 낭비되고, 항상 gpu 로드율 peak를 찍게 되기 때문에 lsfg를 거친 최종 프레임도 더 떨어집니다. 한마디로 와우에서 gpu 병목에 의한 프레임 드랍을 경험하시게 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malraux24-11-23 13:57
    신고|공감 확인
    4k 240 모니터 쓰신다면 4090이라도 로드율 매우 높게 (아마도 80~90% 정도?) 나올때가 많을 거에요. lsfg 안쓰고 120프레임 이상 나온다면 굳이 lsfg 안쓰셔도 될 듯 하고요. 이때도 lsfg를 쓰면 이점은 있는데 같은 프레임이라도 lsfg를 쓰면 전체 gpu로드율은 훨씬 낮게 나옵니다. cpu점유율도 떨어지고요(깡프레임 그리느라 cpu도 일을 엄청 하거든요) 그리고 최저 1%는 lsfg가 배수만큼 높게 나오죠. 그리고 쓰실때는 꼭 프레임 제한거시고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malraux24-11-23 14:45
    신고|공감 확인
    구팔삼디 정도면 레이드갈때만 X2나 X3 정도 쓰시면 하위 1%를 높게 보실 수 있을 듯 하고요. 나머지는 그냥 LSFG 끄고 다니셔도 될 것 같아요. 뭐 항상 200프레임 이상 보고 싶으시면 켜고 하셔도 되고요 ㅎㅎ
    답글
    비공감0공감0
  • 플레마24-11-23 13:10
    신고|공감 확인
    실시간으꺼보면 220 켜보면 110 이런식 입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섹시웅웅24-11-23 13:48
    신고|공감 확인
    윈도우11 쓰면 lsfg 적용이 됐다가 풀렸다가 무한반복하는 증상이 있어서 윈도우10으로 다시 내렸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로 윈도우11에서 안정화되었을까요? 아직 안정화가 아니라면 윈도우10으로 쭉 사용하려구요..
    답글
    비공감0공감 1
  • malraux24-11-23 13:58
    신고|공감 확인
    다음 윈도 업데이트 나오기 전까지 그냥 10으로 쓰시는 것도 좋아보이네요. 윈 11 쓰려면 23h2 를 써야 하고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허링224-11-24 08:58
    신고|공감 확인
    엔비디아 최신 드라이버올리니까 와우 프레임 쭊쭉 뽑내요 병목없이 와우하면서 이런 로드율은 첨봄
    답글
    비공감0공감0
  • 허링224-11-24 09:02
    신고|공감 확인
    lsfg 안써도 될수준임
    답글
    비공감0공감0
  • malraux24-11-24 13:14
    신고|공감 확인
    네 시즌초보다는 랙이 많이 줄어서 1% 최저가 많이 올라간 느낌이긴 해요.애초에 cpu병목이나 서버랙이 문제였어서 엔비디아 드라이버 문제가 또 있었는지는 저는 잘 모르겠네요. 그런데 3840x1600 은 3k(4k의 3/4) 수준인데 3080 이면 옵션 몇 정도 두고 하시나요? 너무 올리면 필드에서 gpu병목 프레임 드랍도 가끔 보실 것 같은데.
    답글
    비공감0공감0
  • malraux24-11-24 13:23
    신고|공감 확인
    뭐 레이드야 필드보다 gpu로드율 자체가 낮고 cpu 병목이 먼저 오는지라 3080 풀옵줘도 별문제는 없어보이긴 하네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허링224-11-24 13:56
    신고|공감 확인
     
    답글
    비공감0공감0
  • 허링224-11-24 13:56
    신고|공감 확인
     
    답글
    비공감0공감0
  • 허링224-11-24 14:01
    신고|공감 확인
    확실히 이번 드라이버 566.14 올리고나서 프레임 더 잘나오긴함 와우 자체적으로도 최적화가 끝난건지 20인30인 레이드도 그렇고 기본적으로 레이드로드율 40~50이던거 70~80정도 뽑고 프레임이 최저100이상은 뽑혀서 이번에 그냥 24h2 도 올려버렸어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malraux24-12-07 02:13
    신고|공감 확인
    @허링2 인텔이시구나.. 지금 최신엔비디아드라이버와 24h2 같이 쓰려다가 lsfg 엉망되서 롤백하는 사람들 많거든요. 둘다 롤백하거나 둘중에 하나 롤백하거나 이러고들 있습니다. 인텔은 별 문제 없나보네요. 저는 오팔삼디인데 엔비디아 9월버전+24h2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최신버전깔아봤는데 스터터링이 장난 아니더라구요. 윈도 싹밀고 다 새로 설치함.
    답글
    비공감0공감0
  • 삭제된 코멘트
    삭제된 코멘트입니다.
  • malraux24-12-09 13:30
    신고|공감 확인
    애드온 깔고 풀옵 놓으면 구팔도 1%최저는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냥 써도 되기는 하지만 구팔가서도 lsfg 쓰는 사람도 많아요. 풀옵,풀프레임 원하는 사람도 있어서.
    답글
    비공감0공감0
  • malraux24-12-09 13:37
    신고|공감 확인
    레이드의 경우 입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와우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