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드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정보] 쉬바라의 집회 신화 전투보고서

아이콘 크레나이
댓글: 15 개
조회: 3808
추천: 69
2018-02-28 20:29:38

* 공대 내부자료로 만들었던 것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이 이후 네임드들도 시간이 되면 정리해서 올릴 예정입니다. 이 글이 작성된 지가 약 한 달이 넘었기 때문에, 지금의 스펙으로는 좀 더 수월할 것입니다.  




쉬바라의 집회 전투보고서
- 안토러스, 불타는 왕좌

* 기본적으로 메소드의 영상 및 가이드를 많이 참고하였습니다. 


1. 개요

쉬바라의 집회(4.08%, 1414공대)는 바리마트라스 다음 네임드로, 킨가로스(5.98%, 2074공대) 및 바리마트라스(4.94%, 1711공대)와 비교했을 때 약간의 난이도 상승이 있다.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급사 위험이 있으며, 현재 공격대의 조합으로 산출한 기대 RDPS(공대 DPS)가 그다지 높지 않다면 실질적 광폭(2아만툴)을 볼 가능성이 존재한다. 



2. 인원 구성

 2탱 4힐 14딜이 일반적(5힐도 있으나 소수). 아만툴의 고통을 빠르게 밀고, 네임드 딜을 더 해서 아만툴의 고통을 두 번 보지 않기 위해선 4힐이 안정적이다. 힐 요구량 자체가 아만툴의 고통을 제외하면 높지 않다. 
 


3. 스킬 변경점

1. 티탄의 고통이 영웅과 달리 [카즈고로스-노르간논-골가네스-아만툴] 순서로 고정되며, 젠 타임이 영웅에 비해 약 2배 정도 빠름
2. ‘우주의 어미 투라야’가 등장하여 다음과 같은 스킬을 사용함
 - 우주의 손길: 대상에게 675만의 피해를 주는 캐스팅 주문으로, 차단이 가능하다. 
 - 우주의 시선: 두 대상을 찍고 그 사이를 가로지르는 레이저를 발사하여 대상 사이의 모든 적에게 472만의 화염 피해를 입힌다(방어도 무시).
 


4. 택틱

 킨가로스와 달리 택틱 선택의 폭이 크지 않다. 타임 테이블이 항상 동일하기 때문이다. 다만, 공대의 RDPS에 따라 아만툴의 고통을 1번 혹은 2번 보게 된다(이론상 3번까지도 가능). 만약 2번을 보게 될 것 같다면 초반 블러드를 통해서 네임드 피를 미리 깎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단 이 경우, 아만툴의 고통을 처리할 만한 단일딜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쉬바라 RDPS 하위 30%가 3000만인데, 각자 공격대 조합을 기준으로 로그 75% 기준 기대 RDPS를 산출하여 2아만툴을 볼 것인지 아닌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멀티 타겟에 능하지 못한 직업들이 많은 경우에도 이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역으로 이런 직업들은 단일딜이 좋기 때문에 아만툴을 무리 없이 넘길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초블을 올려보되, 아만툴이 처리되지 않으면 아만툴 블러드로 선회하는 것이 좋아보인다. 만약 공대원의 스펙이 충분하다면 아만툴 블러드를 활용하여 페이즈를 안전하게 넘기는 것을 추천한다.  

 

5. 타임 테이블

* 실질적인 전투는 아만툴의 고통(2) 부근에서 끝

PHASE1 (-아샤라/-노우라)

06:14

서리의 구슬(5)

00:08

소용돌이 사브르(1)

06:18

골가네스의 고통(2)

00:12

어둠의 칼날(1)

06:20

차가워진 피(6)

00:20

폭발성 파동(1)

PHASE4 (우주-투라야/-노우라)

00:29

암흑 폭풍(1)

06:27

우주의 주시(1)

00:41

어둠의 칼날(2)

06:30

소용돌이 사브르(1)

00:46

소용돌이 사브르(2)

06:42

폭발성 파동(1)

01:01

폭발성 파동(2)

06:44

우주의 주시(2)

01:10

어둠의 칼날(3)

07:03

아만툴의 고통(2)

01:21

소용돌이 사브르(3)

PHASE1 (-노우라/-아샤라)

01:27

암흑 폭풍(2)

07:08

소용돌이 사브르(1)

01:37

카즈고로스의 고통(1)

07:21

어둠의 칼날(1)

01:39

어둠의 칼날(4)

07:23

폭발성 파동(1)

01:40

폭발성 파동(3)

07:37

암흑 폭풍(1)

01:56

소용돌이 사브르(4)

07:43

소용돌이 사브르(2)

02:08

어둠의 칼날(5)

07:50

어둠의 칼날(2)

02:21

노르간논의 고통(1)

07:54

카즈고로스의 고통(3)

02:21

폭발성 파동(4)

08:03

폭발성 파동(2)

02:25

암흑 폭풍(3)

08:18

어둠의 칼날(3)

02:32

소용돌이 사브르(5)

08:19

소용돌이 사브르(3)

02:38

어둠의 칼날(6)

08:34

암흑 폭풍(2)

03:01

폭발성 파동(5)

08:41

노르간논의 고통(3)

03:07

골가네스의 고통(1)

08:44

폭발성 파동(3)

03:07

소용돌이 사브르(6)

08:47

어둠의 칼날(4)

03:07

어둠의 칼날(7)

08:56

소용돌이 사브르(4)

PHASE2 (-아샤라/냉담-디마)

09:17

어둠의 칼날(5)

03:18

차가워진 피(1)

09:24

폭발성 파동(4)

03:24

암흑 폭풍(1)

09:26

골가네스의 고통(3)

03:36

어둠의 칼날(1)

PHASE2 (-아샤라/냉담-디마)

03:42

서리의 구슬(1)

09:33

암흑 폭풍(1)

03:46

차가워진 피(2)

09:35

차가워진 피(1)

PHASE3 (냉담-디마/우주-투라야)

09:44

어둠의 칼날(1)

03:55

아만툴의 고통(1)

09:59

서리의 구슬(1)

04:03

우주의 주시(1)

10:03

차가워진 피(2)

04:11

차가워진 피(1)

10:12

어둠의 칼날(2)

04:13

서리의 구슬(1)

PHASE3 (냉담-디마/우주-투라야)

04:19

우주의 주시(2)

10:14

아만툴의 고통(3)

04:35

우주의 주시(3)

10:25

우주의 주시(1)

04:37

차가워진 피(2)

10:29

차가워진 피(1)

04:43

서리의 구슬(2)

10:31

서리의 구슬(1)

04:45

카즈고로스의 고통(2)

10:41

우주의 주시(2)

04:51

우주의 주시(4)

10:54

차가워진 피(2)

05:03

차가워진 피(3)

10:58

우주의 주시(3)

05:07

우주의 주시(4)

11:01

서리의 구슬(3)

05:13

서리의 구슬(3)

11:01

카즈고로스의 고통(4)

05:22

우주의 주시(5)

11:13

우주의 주시(4)

05:28

차가워진 피(4)

11:19

차가워진 피(3)

05:30

노르간논의 고통(2)

11:29

우주의 주시(5)

05:39

우주의 주시(6)

11:31

서리의 구슬(4)

05:44

서리의 구슬(4)

11:45

우주의 주시(6)

05:54

차가워진 피(5)

11:45

차가워진 피(4)

05:54

우주의 주시(7)

11:46

노르간논의 고통(4)

06:11

우주의 주시(8)

12:00

광폭화


 

6. 세부 공략

* PHASE 1 (밤-아샤라/불-노우라)

PHASE1 (-아샤라/-노우라)

00:08

소용돌이 사브르(1)

00:12

어둠의 칼날(1)

00:20

폭발성 파동(1)

00:29

암흑 폭풍(1)

00:41

어둠의 칼날(2)

00:46

소용돌이 사브르(2)

01:01

폭발성 파동(2)

01:10

어둠의 칼날(3)

01:21

소용돌이 사브르(3)

01:27

암흑 폭풍(2)

01:37

카즈고로스의 고통(1)

01:39

어둠의 칼날(4)

01:40

폭발성 파동(3)

01:56

소용돌이 사브르(4)

02:08

어둠의 칼날(5)

02:21

노르간논의 고통(1)

02:21

폭발성 파동(4)

02:25

암흑 폭풍(3)

02:32

소용돌이 사브르(5)

02:38

어둠의 칼날(6)

03:01

폭발성 파동(5)

03:07

골가네스의 고통(1)

03:07

소용돌이 사브르(6)

03:07

어둠의 칼날(7)


 
① 아샤라와 노우라가 내려오므로 오프닝 딜 할 때 다른 어미를 대상으로 하지 말자. 또한, 아샤라는 평타가 없고 공대 피해 기술만 계속 사용하므로, 탱커가 탱을 하기 보다, 도발 기술이 있는 딜러(전사, 드루 등)가 탱커 역할을 하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 쉬바라가 붙어있는 경우(보통 양쪽 탱을 하면 교대하느라 뎀감 버프가 걸리므로)를 없애 DPS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어그로의 완만한 확보를 위해, 원거리들은 아샤라 대신 노우라를 딜하도록 한다.



(드루가 도발을 하여 위치를 조정하는 모습)

② 암흑 폭풍의 안전지대는 랜덤으로 생성되는 것 같지만, 아래 표시된 지점 근처에 있으면 안전지대로 빠르게 갈 수 있다. 암흑 폭풍이 시전되기 전 미리 아래의 지점으로 이동하여 생존하도록 한다.



③ 폭발성 파동이 걸렸을 때 자신의 피통을 항상 확인하고 개인 생존기를 활용해야 한다. 더불어 파동 대상자(특히 (1)과 (4))는 암흑 폭풍 안전 지대에서 너무 떨어지지 말아야 한다. 자칫 그 뒤에 바로 오는 암흑 폭풍에 사망할 수 있다.





(폭발성 파동이 터지고 바로 안전지대로 복귀하는 모습)

④ 또한 원거리도 특별한 일이 없으면 노우라에 붙어서 딜하는 것이 좋은데, 왜냐하면 그 경우 소용돌이 사브르가 보스 바로 앞에 떨어지기 때문에 바로 회수되어 사브르를 없앨 수 있기 때문이다. 사브르는 그 자체의 데미지보다 그 이후의 틱뎀 + 공대 진형 방해가 더 부담이 되기 때문에 빠르게 없애주는 것이 좋다. 



(사브르가 나오자마자 사라진 모습이다)

⑤ 아샤라의 어둠의 칼날을 피하는 것은 정말 중요한데, 한 가지 팁은 어둠의 칼날의 타이머가 가까워졌을 때 아샤라의 발을 주시하는 것이다. 어둠의 손길을 시전하고 난 뒤, 갑자기 휙 방향을 돌며 약 1초뒤 어둠의 칼날이 발사된다. 늘 어둠의 칼날 타이머를 보고 이에 대비하는 것이 좋다. 





● 카즈고로스의 고통 (1)

ⓐ 암흑 폭풍을 시전하고 곧이어 카즈고로스의 고통이 오는데, 안전 지대로 찾아갈 충분한 시간이 있으므로 카즈고로스의 화염이 닿지 않는 안전 지대를 찾아가자. 

ⓑ 카즈고로스의 고통을 위해 쿨기를 아낄 필요는 없다. 그 뒤에 오는 스킬들이 위협적이지 않기 때문에 한 두 타겟을 점사해서 빠르게 잡는 것보다 멀티 도트 클래스는 멀티 도트를 바르고 최대한 dps를 올리는 쪽으로 딜하는 것이 좋다. 만약 공대에 멀티 도트 클래스가 충분하다면, 도트 클래스들이 카즈고로스의 고통을 전담하고, 나머지는 네임드에 dps를 집중해 이후 2아만툴을 안보게 할 수 있다. 

ⓒ 단, 카즈고로스의 고통 직후에 오는 어둠의 칼날은 꼭 피해주어야 한다. 맞아서 넉백 당하면 카즈고로스의 화염에 죽게 된다. 

ⓓ 카즈고로스의 고통이 실제 피해를 입히는 지점은 그 그래픽보다 더 작다. 6개의 영혼이 중앙 지점까지 선분의 형태로 피해를 입힌다. 이 점을 유의해서 중앙 지점을 넘어가지 않는 한 자유로이 무빙이 가능하다. 


(화염에 맞고 있는 것 같지만 사실은 피해를 전혀 입지 않고 있다)

● 노르간논의 고통(1)

ⓐ 정상적인 DPS라면, 카즈고로스의 고통이 죽은지 얼마 안 돼서 노르간논의 고통이 등장한다. 간혹 카즈고로스의 고통을 도트 클래스들이 전담하는 경우, 2~3개 정도가 남아있어 노르간논의 고통(1) 때 가용할 수 있는 공대 진형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도 아래와 같이 대처할 수 있다. 

ⓑ 영혼이 시작점에서 이동하기도 전에 빠르게 메즈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 직후 암흑 폭풍이 오기 때문이다. 뿌묶, 서리 고리, 고어핀드 등을 활용하여 빠르게 안전 지대를 확보하자. 이를 위해 메즈 클래스를 사분면에 고르게 분포시킨다. 또한 이는 후술할 골가네스의 고통 진형을 미리 갖추는 효과를 가져온다. 만약 자신이 지정된 방향에 카즈고로스 고통이 죽지 않았다면, 본진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노르간논이 자신의 메즈 사거리에 들어오면 메즈하자. 괜히 메즈하러 멀리 갔다가 죽는 경우가 발생한다. 



(메소드는 드루를 사방에 배치하여 뿌묶으로 간단하게 노르간논을 넘긴다)

골가네스의 고통(1)은 사실상 PHASE 2에 일어나므로 PHASE 2에서 서술한다. 

 

* PHASE 2 (밤-아샤라/불-노우라)


PHASE2 (-아샤라/냉담-디마)

03:18

차가워진 피(1)

03:24

암흑 폭풍(1)

03:36

어둠의 칼날(1)

03:42

서리의 구슬(1)

03:46

차가워진 피(2)


● 골가네스의 고통(1)

ⓐ 노르간논의 고통 이후 얼마 안되어 골가네스의 고통이 등장한다. 골가네스의 고통 중 페이즈가 전환된다. 

ⓑ 카즈고로스와 마찬가지로 쿨기를 쏟을 필요는 없으며, 멀티 도트를 바르며 DPS를 극대화 하는 쪽이 좋다. 그렇지만 카즈고로스와 달리, 일반 딜러들도 골가네스의 고통을 우선적으로 공격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골가네스의 고통이 살아있는 상태에서 아만툴의 고통이 온다면 근거리 딜러들이 대처하기 매우 까다롭기 때문이다. 

ⓒ 점멸, 야탈 등의 이동기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타인이 자신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없으며, 그로 인해 방향이 겹쳐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

ⓓ 이때 암흑 폭풍이 같이 오는데(2페이즈로 전환 후), 자신이 안전지대에 있더라도 다른 공대원의 무빙을 유심히 관찰해야 한다. 안전지대 바깥에서 안전지대로 들어오려는 공대원이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가장자리에 있는 사람은 이동하여 자리를 만들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지 않는 경우, 바깥에 있는 사람이 들어오지 못해 암흑 폭풍에 죽게 된다. 



 

* PHASE 3 (냉담-디마/우주-투라야)


PHASE3 (냉담-디마/우주-투라야)

03:55

아만툴의 고통(1)

04:03

우주의 주시(1)

04:11

차가워진 피(1)

04:13

서리의 구슬(1)

04:19

우주의 주시(2)

04:35

우주의 주시(3)

04:37

차가워진 피(2)

04:43

서리의 구슬(2)

04:45

카즈고로스의 고통(2)

04:51

우주의 주시(4)

05:03

차가워진 피(3)

05:07

우주의 주시(4)

05:13

서리의 구슬(3)

05:22

우주의 주시(5)

05:28

차가워진 피(4)

05:30

노르간논의 고통(2)

05:39

우주의 주시(6)

05:44

서리의 구슬(4)

05:54

차가워진 피(5)

05:54

우주의 주시(7)

06:11

우주의 주시(8)

06:14

서리의 구슬(5)

06:18

골가네스의 고통(2)

06:20

차가워진 피(6)


① 우주의 어미 투라야가 등장한다. 지속적으로 우주의 손길을 차단해주어야 하므로, 차단조를 운용한다. 세푸즈를 우선적으로 배치하되, 예비조도 꼭 지정해주어 새는 일이 없도록 하자. 차단이 새면 공대원이 여러 명씩 죽게 된다. 기본적으로 근거리 딜러들이 투라야 근처에 붙어 지속적으로 차단을 반복하며, 위험한 경우 원거리가 주시 차단을 할 수 있다. 

② 우주의 주시를 대처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두 대상자가 가까이 붙고(딱 겹치지는 않게), 다른 공대원이 그 주변을 피하는 것이다. 



이 때, 차가워진 피 대상자를 힐러는 주의 깊게 보고, 혹여나 주시에 맞았을 때 빠르게 힐업하면 좋다. 



(현재 좌하단에 차가워진 피로 기절 걸린 공대원이 있다. 우주의 주시에 맞는 경로이므로 힐을 빠르게 챙겨주자)


● 아만툴의 고통(1)

ⓐ 이때 모든 딜 및 힐 쿨기를 다 털어야 한다. 가장 아픈 지점이며, 지정된 두 타겟을 아만툴의 고통 시전이 끝나기 전에 처리해야 한다. 탱커는 네임드와 아만툴 쫄을 붙여 묻딜이 들어가게 한다. 보통 우주의 어미 투라야 + 아만툴의 고통은 근거리 딜러들이, 냉담의 어미 디마 + 아만툴의 고통은 원거리 딜러들이 전담한다. 그렇지만 원거리 딜러들은 이 경우에도 투라야를 주시 대상으로 잡아 언제든지 차단을 할 수 있어야 하며, 만약 한쪽이 먼저 처리됐다면 다른쪽을 재빨리 도와 2개가 동시에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 아만툴의 고통 도중 오는 차가워진 피는 공대원을 급사시킬 수 있으므로, 차가워진 피 대상은 꼭 개인 생존기 (특히 무적기) 및 생명석을 먹도록 하며, 힐러도 뎀감기 등을 지원해주어야 한다. 탱커는 그렇게 아프지 않으므로 공대원들을 살리자. 




(가운데 서리구슬 + 차가워진 피 대상자 + 우주의 주시 + 아만툴의 계략 = 가장 위험한 급사 구간)

ⓑ 공대 생존기는 아만툴의 계략이 6중첩이 되었을 때(즉 아만툴의 고통 2개가 죽은 다음) 사용하도록 한다. 전투 중 피해가 가장 많이 들어오는 지점이며, 앞서 말한 차가워진 피 및 우주의 주시와 겹쳐 공대의 급사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물론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 카즈고로스의 고통(2)

ⓐ 아만툴의 고통이 있은 다음, 얼마 안되어 카즈고로스의 고통이 나타난다. 

ⓑ 앞선 카즈고로스의 고통(1)보단 쫄의 점사 중요도가 높아지는데, 이는 우주의 주시 때문이다. 불길 속에서 우주의 주시를 보는 것은 굉장히 어렵기 때문에, 이때 공대원이 주시에 많이 맞게 된다. 빠르게 잡고 안전 지역을 확보하여 피해 입는 공대원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 



(여유 공간이 얼마 없다)



('우주의 주시'가 어디있는지 한 눈에 보이질 않는다. 표시하지 않으면 찾기가 무척 힘들다)



● 노르간논의 고통(2)

ⓐ 마찬가지로 카즈고로스의 고통(2) 이후 곧이어 노르간논의 고통(2)가 온다. 

ⓑ 노르간논의 고통(1)보다는 덜 어려운데, 암흑 폭풍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차가워진 피로 기절이 걸린 대상자들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주의해야 한다. 이때 차가워진 피 대상자는 미리 중앙 및 고어핀드 예상 지역으로 이동하여 스턴이 걸려도 노르간논을 맞지 않게 한다. 


 


* PHASE 4 (우주-투라야/불-노우라)

PHASE4 (우주-투라야/-노우라)

06:27

우주의 주시(1)

06:30

소용돌이 사브르(1)

06:42

폭발성 파동(1)

06:44

우주의 주시(2)

07:03

아만툴의 고통(2)



① 차가워진 피와 서리의 구슬 대신, 폭발성 파동과 소용돌이 사브르가 등장한다. 그리고 그와 거의 동시에 골가네스의 고통(2)가 온다. 아만툴의 고통(2)를 시전하고 바로 PHASE 5 = PHASE 1로 넘어간다.  


● 골가네스의 고통(2) 

ⓐ 앞선 골가네스의 고통(1)과 거의 같지만, 이때 소용돌이 사브르 및 우주의 주시가 오기 때문에 대처하기가 까다롭다. 우주의 주시의 경우, 대상자들은 이동하기보다 몇 명 맞춰도 되니 계속 제자리에 서있는 것이 좋다. 자칫 골가네스의 고통 때문에 공대원이 연쇄적으로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스펙이 올라 최대 체력이 올라간 현재는 더더욱 그러하다. 별 다른 데미지가 들어올 일이 없으면 우주의 주시를 맞고 죽지는 않는다. 



(좌상단에 우주의 주시에 걸린 공대원이 있다. 안전 지대를 만들려 하지 않고 그냥 자리에서 대기하는 모습이다.)



* PHASE 5 = PHASE 1(우주-투라야/불-노우라)


PHASE5 (-노우라/-아샤라)

07:08

소용돌이 사브르(1)

07:21

어둠의 칼날(1)

07:23

폭발성 파동(1)

07:32

암흑 폭풍(1)

07:43

소용돌이 사브르(2)

07:50

어둠의 칼날(2)

07:54

카즈고로스의 고통(3)



① 아만툴의 고통(2) 직후 페이즈가 전환된다. 사실 상 세미 광폭화이며, 이 때 네임드 피를 보고 아만툴을 점사할지, 네임드를 점사할지를 정해야 한다. 메소드는 이 당시 9%였으나, 다른 킬 공대들을 보면 15%인 공대들도 있기 때문에, 네임드 딜 상태를 보고 유동적으로 판단하도록 하자. 



(아만툴 등장 당시 넴드 피 9%)



(아만툴 등장 당시 넴드 피 15%)

만약 아만툴을 죽이기로 했다면, 그 이후의 공략은 PHASE 1을 참조한다. 이후 페이즈도 역시 반복된다. 




7. 주요 전멸 지점 및 주의사항

① 사실상 모든 부분에서 급사 지점이 존재하지만(이는 앞선 세부 공략에 있음), 가장 위험한 타이밍은 아만툴의 고통(1)때 우주의 주시 + 차가워진 피 + 아만툴의 계략이 겹칠 때이다. 단순 실수를 제외한다면 이 때 공대원이 가장 많이 급사하게 된다. 



특히 근딜이 우주의 주시에 걸린 경우, 이를 깜빡하고 네임드 및 아만툴을 딜하다 근딜 전원이 쓸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가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② 그 다음으로 위험한 타이밍은 카즈고로스의 고통(2)이다. 앞서 언급했지만 이 때 안전한 길을 찾는 것이 정말 어렵다. 이는 주시 대상자 및 공대원이 개인 센스로 피해야 하는 부분이다. 



(카즈고로스 때 공간을 확보하지 못했거나 혹은 우왕좌왕하다가 밀리가 주시에 쓸린다)

③ 또 중요한 지점은 카즈고로스의 고통(1)과 암흑 폭풍, 그리고 날아오는 어둠의 칼날로 공대원이 사망하는 경우이다. 다만 이는 조금만 주의하면 예방이 가능하다. 

④ 골가네스의 고통(2)부터 네임드를 밀 것인지, 아만툴의 고통(2)부터 네임드를 밀 것인지, 아만툴의 고통(2)까지 다 잡을 것인지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 골가네스의 고통(2)를 무시하고 네임드를 쳤을 경우, 무빙의 제약이 있어 평소보다 딜이 덜 들어간다는 것을 꼭 염두해야 한다.  




8. 공생기 타임테이블


수사, 신기, 운무, 회드 조합 기준 공생기 테이블 (4개 참조)




● 여러 공대의 공생기를 한 번에 모아놨기 때문에, 선택해서 활용하도록 한다.

01:40 지휘의 외침 및 흡선 (암흑폭풍(2) 때 급사자 방지)
02:28 평온or재활 (폭발성 파동 및 그 이후 암흑폭풍(3) 대비 힐업)
03:30 평온 (차가워진 피 및 그 이후 암흑폭풍(1)대처)
03:49 흡선 (차가워진 피 및 아만툴의 고통 힐업)
04:07~04:30 남아있는 모든 공생기 활용 (아만툴의 고통 힐업)
05:12 흡선 (우주의 주시 및 차가워진 피 대상자 힐 지원)
06:17~06:21 재활 or 평온 (골가네스(2)때 차가워진 피 대상자 지원)
07:03~ 남아있는 모든 공생기 활용 (아만툴의 고통 힐업)



9. 관련 위크 오라

① 차가워진 피 대상자 힐 흡수량 위크오라: https://wago.io/SJPF47Lzz
② 폭발성 파동 카운트다운: https://wago.io/SkLhcAcfM
③ 티탄의 고통 알리미: https://wago.io/BJvvcPIbz
   티탄의 고통 알리미2: https://wago.io/BkvdQv1Zf
④ 종합 알리미: https://wago.io/rJx3Z_yxM
   종합 알리미2: https://wago.io/Sk0YC6bgG  


Lv38 크레나이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와우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