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0트 정도 한거 같습니다.
너프전 막페를 가던 공대라면 1~2탐내로 잡으실 것입니다.
리셋 :
냥꾼법사 가능하며 대부분 냥꾼이 합니다. 그훈에 평타or스킬 한방 시전후 화살이 닿기전에 죽척하면됩니다.
1페 :
밀리와 법사 냥꾼정도만 짤순서를 정해줬습니다.
쿨기를 거래받고 쓰지말고 첫 눈깔잡는데 바로 쓰라고 했습니다. 어차피 딜은 남습니다
공대의 진행방향이 반시계이기때문에 가능하면 타락을 외곽이나 시계방향으로 깔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트라이중에는 잘 지켜지지않으며, 최소한 1시초때 그훈쫄을 드리블할수있는 자리를 정해놓고
그곳은 가지 않도록 인지시켜주는게 드리블때 편합니다.(영상:역삼징)
잔사고는 그훈쫄한테 따라 잡힙으로써 감염에 걸리는건데 1시방향쫄을 잡을때는 사고가 나지 않고
부산물을 바로 7시쪽으로 이동했을때 10시쪽 눈깔이 잡히지 않거나 잡히더라도 그훈쫄을 마무리하지않아
사고가 발생합니다. 원거리는 본인이 걸릴수 있기때문에 10시쪽 2마리 눈깔을 먼저 마무리하며 마무리되갈떄쯤
7시로 이동해야합니다.
7시쪽으로 부산물을 옮기면 대충 70~100만정도 일텐데 딜이좋아도 30~40만에 딜컷을 하고 3번째 거래를 받고
잡도록 합니다. 이때쯤 뱀다가리가 나오는데 선짤은 탱이보고 격수로 밀리가 짤을 합니다. 7시쪽 눈깔이 총 3개가
나오는데 언덕쪽 한마리를 원거리 짤만 보면서 부산물+뱀다가리+눈깔2마리를 광칩니다.
동떨어져있는 눈깔 하나 딜하는건 딜로스라 판단되고 타르덫과 어격을 쓰며 그훈쫄을 마무리합니다.
1페의 가장큰사고는 1번째 부산물 거래때 타락대상자인데 빠지질 않아 전이를 시키는것이고
2번째 뱀대가리 차단을 놓쳐 광뎀에 사망자가 발생하는것입니다.
3번째는 공배달의 실패인데 이것은 특성을 조정하시거나 저같은경우 자유행동물약을 먹었습니다.
신화에서는 럴커가 추가되는데 덩굴자체는 이불과 상관이 없고 자세히 보시면 럴커머리부분에 보라색 원이 있습니다.
그것만 피하면됩니다. 관문과 관문 사이에 생긴 럴커를 밟아도 도착했을시 이불이 걸리기때문에
자유행동을 드시지 않으실거면 리트가야하니 조심해야합니다. 자행물약은 지속시간이 3초로 짧기때문에
관문을 타고나서 드셔야합니다.
이번주부터 그훈트라이를 하시는거면 주둔지 교역소물품이 저렴할때 물고기2종을 사셔서 연금되시는분에게
3초짜리 자유행동물약을 제작해달라고 하시면 트라이시간과 스트레스를 줄일수 있습니다.
1시초가 시작되면 고핀 스턴 평고등을 이용하여 몰린쫄부터 감염없이 처리하며 4조를 따라가는 쫄이 있다면
땡기거나 먼저 잡습니다.
저의 경우 2조를 갔는데 딱히 이유는 없고 제가 그때 가고싶어서 갔습니다.
2페
종기폭발이 피잔대상자보다 최소한 5초정도 늦게 오도록 하는게 중요한데 이것은 매트릭스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게 문제가 되는게 트라이 공대의 경우 2피잔대상자와 종기폭발이 시간차없이 오게될경우 약속된 오더가 없는이상
사고가 나기 마련입니다.
영상에선 4조가 일부러 늦게 올라갔고 좀더 대기하다가 2물결 2~3초전에 꼽았고 5조는 2종기 터지고 나서
꼽았습니다. 이렇게 하면 2피잔과 겹치는 종기가 굉장히 여유롭게 나와 대응하기 쉽습니다.
매트릭스 딜레이가 뭐가다른데? 약간 의아해 하실수도 있는데 종기가 터지는 시간을 최대한 늦추는 이유는 피잔대상자가
지정된(엑스징)위치에 올수있게 하기위함입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2피잔대상자가 종기터지는 시간보다 최소한
5초정도만 빠르면됩니다. 각도로 조절가능하면 피잔내에서 이동하면되고 같은위치에 종기가 겹쳐나오면 약속된
2명만 나가서 종기를 맞아주면됩니다.
탱커의 경우 쫄을 빼는 경우에만 외생기를 받거나 생존기를 켜면됩니다. 또한 웅얼괴물 바닥위에선 도발이
안되기 때문에 그전에 중첩을 줄여놓을 필요가 있습니다.
보통 시초에 맞춰 넴드에 쿨기를 박지만
3피잔쫄에 왠만하면 세미쿨기를 켜서 이후오는 광뎀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7~9조는 영웅처럼 시간맞춰 가시면되고 9조만 조금 빨리 가셔서 피잔대상자가 나오자마자 매트릭스를
꼽으면 됩니다. 탱커는 4피잔 대상자가 오기직전(3시초)전에 막페 시작지점으로 넴드를 빼는게 막페 오프닝 딜에
좋긴하지만 밀리가 적을경우 전사가 많을경우는 딱히 추천하지않습니다.
또한 타락물결만 맞지 않으면 중첩이 쌓이지 않기 때문에
그훈이 나온 그자리에서 탱을 할경우 양 언덕(매트릭스 꼽은위치)에서 원거리들이 딜이 가능합니다.
막페
마지막 시초폭팔틱 5초전 25%를 만들었다면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하여 붕괴를 유도해야합니다.
운이좋아 19.9%가 되었다면 아주좋고 막페 넘어가기직전에 약0.x초 그훈이 경직하는데 이때 딜이 들어간다
고는 하는데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관문을 이용하며 되돌아와 방벽을 깔고 힐업한뒤 가운데 떨어지는 마지막 붕괴를 보고나서 산개합니다.
4중부터 파티힐이 급격히 밀리기때문에 생존기를 잘 분배해야하며, 무적기류는 종기+바닥 타이밍이 1번은
올텐데 제크보즈라 생각하시고 써주시면 좋습니다.
생석과 치유물약은 따로 드실수있으시니 위험할때 꼭 드세요.
막페는 딱히 택틱이랄게 없고 정배당하지 않는선에서 종기 받아주고 바닥피하면서 산개하다가 공포때만
머리 돌려주시면 됩니다. 원거리들이 무빙최소화 할려고 밀리쪽에 붙는경우 까주시면되고
무빙힐이 자유로운 힐러 1명정도만 12시쪽에 배치하면 좋습니다. 힐러의 경우 무빙을 최소화 시켜줘야 하기
때문에 밀리쪽에 붙어도 괜찮습니다. 너무 붙지는 마시구요.
막페가 딜이 중요한건 맞는데 그 딜할려다가 물결겹쳐맞고 피말리기 시작하니 미리 산개된 진형을 정해놓고
거기서 왔다갔다 할 수 있게 습관을 들이는게 좋습니다. 3중첩까지 모두가 살아있다면 5중부터는 말라죽는
인원이 있을텐데 신경쓰지말고 잔사고만 안나게 산개해서 침착하게 대처하신다면 결국엔 그훈이 먼저
잡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