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딜 사이클
무법은 타 직업과 다르게 '정해진 딜사이클' 이 없습니다. 주사위라는 변수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주사위를 먼저 다루고 가겠습니다.
8.1 주사위
단일 집중 공격 = 무자비한 정밀함 > 해골 징표 >>> 진방위 > 대난투 = 숨겨진 보물
광 집중 공격 > 무자비한 정밀함 = 진방위 >> 해골 징표 >>>>> 숨겨진 보물 > 대난투
단일과 광에서 큰 차이는 진방위의 값어치입니다. 특히 죽음의 그림자를 사용하고 있다면 진방위의 값어치는 매우 올라갑니다. 특히, 6타겟 이상일 때 진방위가 있어야 1폭칼 2질칼이 안정적으로 돌아가므로 반드시 챙겨가는게 좋습니다. 다만, 6타겟 이상이더라도 아드레날린이 없다면 기력이 부족하므로, 이 때는 다른 주사위를 우선시 해서 찾아주시면 됩니다.
단일에서는 1주사위의 경우 해골까지, 광의 경우 케바케긴 하지만, 집공/상어 제외하면 거의 거르고 다시 굴립니다. 2주사위는 보물+대난투 같은 개구린 조합이 아니라면 웬만하면 들고갑니다.
8.2 광 상황에서 딜 사이클
핵심을 기억하시고 이걸 그대로 하실 수 있어야합니다.
1. 메인 타겟에 미간 적중을 박습니다. (4-5버블로)
미간 적중은 뎀지기보다는 버프기로 인식하시면 편합니다. 크리 20% 증가라는 어마어마한 버프기죠. 상어까지 합쳐지면 크리율이 40%가 오릅니다. 어마어마하죠. 반드시 메인타겟에 미간적중을 박고 타겟을 유지하셔야 합니다. 불가피하게 타겟을 바꾸는 상황을 제외하면 미간을 박은 몹에 대상을 유지하셔야 합니다. 폭칼 데미지는 크리가 안터지고 주타겟에 크리가 터진게 적용되서 들어가는데, 미간을 엉뚱한적에 박으면 크리가 덜 터지므로 폭칼뎀도 떨어지겠죠.
2. 질풍 칼날은 마무리 일격 사용전에 사용합니다.
몹이 아직 다 모이지 않았다면 조금 뒤에 모이고 사용하고, 진방위가 있어서 쿨을 줄일 수 있으면 바로바로 써줍니다. 이게 매우 중요한데, 만약 질풍 칼날 쿨이 1-2초정도남았는데 마격을 사용한다면 (특히 진방위가 있다면) 어마어마한 쿨 손해를 봅니다. 항상 이 질풀 칼날의 쿨을 의식하셔야 합니다. 많은 도적 유저분들이 실수하시는게 이 질칼 사용 전 마무리 일격 사용이므로 이 부분을 신경쓰셔야 합니다.
3. 그러면서 죽표는 가장 먼저 죽는 대상에게 박는다.
이 부분때문에 여러분은 마우스 오버 매크로를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주 타겟은 항상 미간적중에 박은 적에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대상을 바꾸고 죽표를 쓰는게 아니라, 간편하게 손 올리고 죽표를 쓰는것이 익숙해지셔야 합니다.
예를 들자면, 티르너 사이드 후반부 애벌레 무리에서 죽표는 작은 애벌레에 박아넣고, 타겟은 큰 애벌레를 잡아야하죠. 이 때 작은 애벌레들의 체력을 잘보고, 죽표-속결-죽표-속결-죽표-속결-죽표-속결 이렇게 빠르게 죽표 속결을 반복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죽표 실수가 나기 쉬운데, 이는 애드온의 도움등으로 (이름표를 키운다던지) 최대한 실수를 줄이셔야 합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죽표 매크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showtooltip 죽음의 표적
/시전 [@mouseover,harm][harm] 죽음의 표적
4. 뼈가시는 버블 수급용
뼈 가시를 제일 나중에 죽을 적에게 박아도 되지만, 이는 아드레날린이 있거나 아니면 주사위 상황이 좋아서 (집공+해골 같이) 기력의 여유가 있을때 하고, 보통 죽표와 비슷하게 저는 사용합니다. 마치 유사죽표처럼 쓰는거죠.
폭칼 - 뼈가시 - 꽁권 - 속결 - 뼈가시 - 사악 - 속결 - 뼈가시 - 속결 이렇게 말이죠. 최대한 한 대상에 쓰지 않고 여러대상에 흩뿌려 두는 것만 신경쓰시면 됩니다. 실패했을 때 받는 불이익이 죽표 (60초쿨)에 비하면 크지 않기 때문에 뼈가시를 너무 집중을 해서 쓰실것 까지는 없습니다.
뼈가시 매크로
#showtooltip 톱니 뼈 가시
/시전 [@mouseover,harm][harm] 톱니 뼈 가시
5. 쐐기 광역 기본 딜사이클 (죽그 기준)
유지되는 난도질이 없다면, 주사위 - 죽표 - 난도로 시작합니다.
매복 - 아드 - 폭칼 - 질풍 칼날 - 소멸 - 속결 - 뼈가시 - 미간 적중 - 뼈가시 - (이때 3버블이면 사악) - 속결 - 이후 상황따라 대처
다만, 이번 무리가 내가 질칼을 2번 돌리지 못하고 순식간에 끝나 1회 사용으로 끝나는 전투면 소멸을 질칼보다 먼저 사용합니다. (ex: 역병 첫 슬라임 무리 등) 다만, 진방위가 있으면 웬만하면 질칼을 먼저 씁니다. 질칼의 공격력 강화를 위해서인데, 전투가 이렇게 너무 빨리 끝나는 상황을 제외하면 그냥 질칼의 쿨을 줄이는 방향이 더 좋으므로 그냥 질칼을 소멸보다 먼저 씁니다.
6. 쿨기는 아끼지 않는다.
진짜 하찮은 몹을 잡고 있고 10초 후 빅풀인 것이 아니라면, 웬만하면 아드와 소멸은 쿨마다 씁니다. 어차피 진방위가 높은 확률로 뜨고 최대한 쿨을 줄여서 자주 쓰는게 좋습니다. 보통 제가 쐐기를 돌면 아드의 업타임이 33%~36% 가까이 나옵니다. 아드를 아끼지 말고 최대한 자주 써주세요.
특히 원한이 있는 이번주는 죽표를 정말 숨도 안쉬고 박으셔야 합니다. 그리고 긴 사거리를 이용해 최대한 속결을 치면서 잠칼 효과를 최대로 이용하세요.
10. 기타 팁
무법 도적은 유독 글쿨이 밀린다는 느낌이 드실건데 (사악 추가타 시스템 때문에) 이 글쿨 예약 시스템 수치를 낮추면 어느정도 괜찮아집니다.
현재 설정값 확인
/dump GetCVar("SpellQueueWindow")
새로운 값 설정 (뒤에 숫자로 조정)
/console SpellQueueWindow 숫자
저는 200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어떨 땐 승산파악으로 띄운 주사위가 굴려도 유지되고 어떨땐 사라진다.
주사위 사용해서 얻은 주사위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주사위를 더 굴리면 승산파악으로 만든 주사위도 같이 굴려집니다. 하지만, 기존에 굴린 주사위가 사라진 상태에서 승산파악으로 띄운 주사위만 남아있는 상태에서 굴리면 주사위가 사라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집중 공격(승산파악으로 띄움) 12초 + 대난투 (주사위를 굴려서 얻음) 3초 이렇게 남아있는 상태에서 뼈주사위를 쓰면, 두 주사위가 모두 사라지고 새로 굴립니다.
하지만, 집중 공격 (승산파악으로 띄움) 9초 이 상태에서 굴리면 이 주사위가 남아있고, 다른 주사위가 뜹니다.
이 부분을 의식해서 주사위를 굴리면 좋습니다. 기존 좋은 주사위는 남기면서 굴려볼 수 있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