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적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잠행] 잠행으로 굳이 굳이 쐐기를 돌고 싶은 사람들에게

곽뿡식
댓글: 18 개
조회: 6100
추천: 8
2024-06-01 03:57:45
안녕하세요, 아즈샤라 서버에서 곽뿡식 혹은 식뿡곽 아이디로 플레이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많은분들이 3시즌부터 귓으로든, 여러 방식으로 질문들이 꽤 많이 왔었어요.
잠행 쐐기 딜 싸이클 혹은 가이드라던지.. 

저 역시도 가이드/공략을 써본다고 약속을  했지만서도 고민이 되게 많았습니다.
딜러의 본분상 미터기 신경을 안 쓸 수 없게 되더라구요.
캐스터분들은 규격외의 딜을 뽑아내고 있는 상황에 잠행은 그렇지 않았으니까요.

쐐기를 계속 돌아보면서 데이터를 수집하면 할수록 내가 등반을 해도 되나 싶은 느낌은 많이 들고있어요.
몇번이고 이 글을 썼다 지웠다 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처럼 잠행으로 굳이 쐐기를 돌고싶다 하시는분들께
제가 알고있는 팁이라던지, 딜 싸이클이라던지, 잡기술이라도 공유해볼까 합니다.


먼저 말씀드릴건 제 글이 무조건적인 정답이 아니라는 겁니다.
이렇게 하는 사람도 있구나 라는 느낌으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우선 글 작성시점(6월1일)의 제 레이더 기록 및 등수입니다.


절대로 자랑스럽게 올릴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많은 분들이 등반하는데 거의 잠행을 쓰고 있지 않다보니 한국1등, 월드4등을 달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더욱이 조심스럽게 공략을 작성하고 있음을 감안해주시기 바랍니다.

제 쐐기 기준 필요(선택) 장신구는 

1.잿불혼의 재(필수)
잿불혼은 많이들 주괴로 사셨을거라고 생각합니다.

3시즌부터 잠행은 극단적 쿨기 버스트 딜러가 되었기 때문에 스탯뻥을 해줄수 있는 사효 장신구가 필요합니다.
광딜에서도, 단일에서도 1순위로 챙겨야 할 장신구라고 생각합니다.

잿불혼은 쿨기 사이클도중에 쓰는 장신구가 아닙니다.
쿨기진행중 첫 은기를 때리기 직전에 잿불혼을 키고 강화된 은기를 먹이는게 옳게 된 사이클입니다.


2. 이리데우스의 파편(선택)
1과 같습니다. 쿨기 버스트딜러의 스탯뻥 장신구는 무조건적으로 필요한 장신구지만.
사효의 쿨타임이 3분입니다. 
잠행 쐐기 운용은 1분/1분30초/2분쿨을 기본으로 하기에 3분쿨기 사효장신구는 애매할수도 있다는 의견입니다.


3. 다테아 장신구 (폭풍포식자의 은혜/선택)
쐐기 광딜에선 잠행의 쿨기를 제외하고 깡딜의 다테아 장신구도 고려해볼만 합니다.
다른 근딜들이 말하는 자살장신구도 도적한테는 그밟, 회피, 그망이 있습니다.
그밟2회와 생존기 두개 그리고 교란까지 사용하며 써볼만한 가치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4. 넬타 장신구 혹은 상시 2차스탯뻥 장신구(선택)
앞서 말씀드렸든 극단적 쿨기 버스트 딜러인 잠행에게 그리 추천하고 있진 않습니다.
하지만 잠행은 쿨기의 조절이 그나마 자유로운 편입니다.
넬타장신구 발동시에 쿨기를 땡겨 맞출수 있다면 고려해볼만 한 상황이 충분히 나오고 있긴 합니다.

저 역시 넬타장신구/ 다테아 장신구/이리데우스를 같이 운용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세팅에 대해서 말씀 드려보겠습니다.

최근 보조무기도 바꾸고, 세팅들을 계속 바꿔가면서 시도하고 있다보니 특화가 지금은 좀 낮다고 생각합니다.
고단 등반 특성상 빅풀을 많이 가져가다보니 특화를 더 올려야 하는 상황입니다.
장신구는 다테아장신구(주괴 풀업), 이리데우스 영웅을 스왑하면서 가져가고 있습니다.


다음은 특성입니다.

저는 3시즌 시작때부터 쐐기에 곡예의 일격을 안 찍고 가고 있습니다.(사거리증가 특성)
많이들 잠행 쐐기에선 기력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계시는데, 전 그냥 사거리를 빼고 엉겅퀴차를 찍어 가고 있으나,
추천하진 않습니다.
결국 몹 풀링의 한가운데로 들어가서 표폭 검화를 치고 광딜을 쳐야하고, 
모든 풀링 전방기를 신경쓰고,
바닥스킬에 칼을 떼어야 하는 상황이 생기고, 딜로스가 생기고..

하지만 그 모든걸 차치하고라도 기력, 특화뻥에 대한 메리트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잠행에 대한 숙련도/ 쐐기에 대한 숙련도/ 생존기나 몹 스킬에 대한 이해도가 있을때
"이렇게 해보는것도 추천해본다" 정도 라고 생각합니다.
무조건적인 정답이 아닙니다.


저번주 피웅 주간때는 이 특성으로 진행했었습니다.


우선 광딜 사이클부터 시작하겠습니다.

*탱커의 풀링이 시작될때 이미 속거가 들어가 있어야 합니다.

*티어세트 및 그림자기술의 버블리턴은 항상 유동적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위의 버블리턴의 내용으로 절대적인 사이클은 없습니다.

*은기는 무조건 어춤과 함께합니다.

*후술할 광딜 사이클은 쐐기 특성상 풀링이 진행됨에 따라 그림자 기술 스택이 쌓여 버블리턴을 많이 가져갈 경우,
언제든 바뀔 수 있습니다.


쐐기에서 잠행의 가장 큰 딜 지분을 가져가는 스킬은 검은화약이지만,
풀링에서의 지분이 큰 스킬은 은기입니다.
은기는 1타 스킬이 아닌, 1타(물리피해) 이후 2,3타(1글쿨이후 암흑피해)가 따라오는 스킬입니다.
ㄴ어춤 8초의 버프중, 6글쿨 타이밍에 은기를 넣으시면 됩니다.
(주차단수에서 잠행 딜이 안나오는 큰 이유중 하나입니다. 이미 다른 딜러가 딜파이를 가져가 있습니다.)


한 풀링에서 어춤(그외 쿨기) 8초의 시간동안 죽무로 강화된 은기를 먹이는게 중요하고,
소멸/어춤으로 강화된 은기를 두번이상 먹이는게 가장 큰 딜을 가져갈수 있습니다.

우선 돌 꽂고 첫 풀링에 대한 제 사이클을 공유드리겠습니다.

풀링시작(탱커 속거)
표폭(1 또는 2회 풀버블)-난도질
몹이 모였을때 표폭- 채찍질-검화- 표회(어춤/어칼/죽상,오프닝 기준 매크로로 묶으셔도 됩니다)
-검화-검화-검화-검화-표폭-(잿불혼)은기-표폭-검화
소멸)
어춤죽상-표폭-절개-표폭-검화-표폭-은기 이후 ~~

위의 사이클 역시 그림자기술/세트효과의 버블리턴에 따라 유동적으로 바뀔 수 있고,
풀링된 몹들의 피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형화 되어 있지만 정형화 되어있지 않은 사이클을 가져가는게 잠행이라고 볼 수 있고, 
유동적으로 쿨기 및 사이클을 가져가는 직업입니다.
강한 풀링에선 남부럽지 않은 딜량을 뽑아낼수도 있구요.
반대로 쿨기가 없을땐 탱커에 웃도는 딜량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용군단 4시즌 쐐기던전에서 
캐스터 및 다른 클래스에 비해 이렇다 할 장점이 뚜렷히 보이지 않습니다.
도비 패스할 구간도 거의 없다시피 하구요.

잠행으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면서 이렇게 안좋은 말만 쓰는게 맘이 편치 않으나,
이렇게 하는사람도 있다 라는 느낌으로 받아들여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쓰다보니 유동적인 사이클에 대해 정답이 없다고 생각하여 짧게 마무리 지어보려고 합니다.
차라리 조만간 던전별 팁 및 미터기를 올려보겠습니다.


혹시라도 제 다음 글 작성이 늦어진다면 인게임에서든, 인벤 쪽지로든 문의 주세요. 
개인적으로라도 알려드릴 수 있는건 최대한 알려드리겠습니다:)

Lv24 곽뿡식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와우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