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잡담] 3시즌 간단 악딜 가이드 (중급자용)

아이콘 Hustlin
댓글: 27 개
조회: 5186
추천: 27
2025-09-09 03:31:45
안녕하세요 아즈샤라섭 악사를 하고 있는 hustlin입니다

특성에는 변화가 없지만 티어셋 효과로 디테일도 좀 생겼고,
가끔 질문 주시는 분들도 계셔서 지난 시즌에 이어 간단히 작성해보겠습니다.

중급자용으로 기본적인 로테이션이나 스킬설명, 템세팅 등은 생략하겠습니다.

먼저 지옥상흔입니다.

쌩단일 특성 혹은 신화 룸이타르 수준으로 쫄딜이 미미한 경우에 선택합니다.

[특성]
시즌 초에는 탄력(갈무리한 기운)을 찍지 않는 빌드가 정배였으나,
여전히 Pre-stack(증오의 순환 미리 쌓기)이 가능하고, 티어셋이 탈태 이후 안광에서 구슬을 주지 않는 문제로
혼돈의 변신 특성의 가치가 매우 낮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pre-stack이 가능한 넴드전에서는 특성이 살짝 바뀌었으니새 특성을 찍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새 특성을 타시더라도 탈태 이후 돌아온 안광은 탈태폼 안에 소모하여 고중첩 악마쇄도 딜을 넣습니다.

[세팅]
치특가유 동일하나 알드라치보다 조금 더 가속의 ep값이 높고, 탈태몰아치기의 비중이 큰 편으로 2분 장신구 (아라즈)의 가치가 높습니다.

[운영]
기본적으로 안광 이후 최대혼격 - 마지막 악마성 글쿨에 칼춤으로 탈태폼 연장으로 가이드가 제시합니다만,
적정 가속이 안되면 파멸 5회 후 죽휩까지 넣는게 불가능합니다.
(수치는 정확하지 않지만 노도핑 14,000정도로 예상됩니다)
수치를 맞춰서 5파멸-죽휩-파멸을 하셔도 되지만, 맘편히 죽휩-4파멸 등을 죽휩을 먼저 소비해도 큰 차이가 없습니다. 
*지옥상흔 영웅 특성의 [감내하는 고통]과 [괴물의 각성] 으로 인해, 파멸과 혼격의 데미지 차이가 거의 미미하기 때문입니다.
*쌩단일에서는 이런 디테일보다 늘 그랬듯 꾸준히 칼을 붙이고 계속 스킬을 누르는 것이 훨씬 중요합니다.

안광과 파쇄, 복퇴를 정렬해하는가? 이에 대해서는 커뮤니티 안에서도 의견이 갈립니다. 알드라치처럼 탈태안광을 바로 소모하지 않기 때문에, 파쇄를 안광에 맞추려면 꽤 쿨을 놀려야하는 경우가 생기는데다, 상술했듯 지옥상흔 특성에서는 파멸과 혼격의 데미지 차이가 미미하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파쇄를 좀 킵하더라도, 탈태폼 가속 + [격노의 응시] 특성으로 파쇄 디버프 안에 파멸 한 방을 더 넣는게 좋다고 생각해서 얼라인 시키는 편입니다. 
*심크 apl은 와우헤드 등 가이드와 달리 파쇄를 비탈태 상태로 사용합니다. 

[디테일]
쌩단일에서 챙길 디테일이 많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1. 전투 전 프리스택을 할 때, 떨어진 티어 구슬은 약 32초정도 유지됩니다.
이를 이용하면 전투를 시작할 때 프리스택으로 뽑은 구슬을 먹어서 8~9초 정도 활용하는게 가능합니다.

2. 안광 직후 파쇄나 혼격을 누르면서 바로 떨어진 구슬을 픽업하는게 좋습니다. 가속이 높은 악마성 폼 안에서 최대한 티어구슬효과를 받는게 좋으니까요. 

3. 지옥상흔은 최대격노가 상당히 큰데다, 제물 리셋이 조금만 된다면 격노가 모자랄 일이 거의 없습니다. 격노수급기인 불꽃의 인장이나 지옥칼은 가급적 제물의 오라가 비활성화 상태일 때 위주로 누르면 되겠습니다.


다음은 알드라치 입니다.

알드라치는 쫄이 나오는 넴드 / 대부분의 쐐기에서 사용하실텐데,
이번 시즌의 알드라치의 격노(혼격-칼춤의 12회베기)가 알파이자 오메가입니다.

[세팅]
쌩단일에서는 잊힌 하늘의 비명이나 우주적 사냥의 인장 같은 착효 장신구가 안정적이겠지만,
쐐기나 몰아치기 넴드에서는 사효 장신구가 충분한 경쟁력이 있습니다. 분광경이 버그픽스가 되면서 아라즈, 돌우상 등도 고려해볼만한 선택지가 된 것 같네요.

[운영]
지난 시즌은 기본적으로 구슬이 넘치지 않는 레이드 상황에서는, (구슬이 낭비되지 않도록) 15% 전율 버프가 겹치지 않게 이어가는게 일반적인 운영이었습니다. 

반대로 이번 시즌은 알드라치의 격노를 얼마나 세게 잘 쓰느냐가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되었습니다.

1. 알드라치의 격노는 정수파쇄나 타성 18% 뎀증을 받지 않지만, 자주성 크리 증가 버프는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가급적 복퇴는 강화 칼춤 전에 써준다.

2. 알드라치의 격노는 이미 적용받고 있는 15% 전율 버프를 받을 수 있다. 

3. 전율 버프를 이어가기 위해 구슬을 배분하는 것보다, 쫄이나올 때 자주성/전율버프까지 받은 강화칼춤을 몇번 우겨넣느냐가 전체 딜에도 / 주타겟(넴드) 딜에도 훨씬 더 강력하다. 강화칼춤 한방 >> 안광파쇄죽휩파멸 콤보 

쫄 나오는 넴드에서 유독 내 딜이 낮다면, 강화칼춤 사용 시기를 중점으로 상위 로그를 분석해보시기 바랍니다.

[디테일]
연장선에서, 알드라치의 AtoZ는 구슬관리입니다.

1. 쐐기에서는 혼격을 거의 쿨마다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고단 쐐기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필수적으로 스턴이 박혀야하는 (수문 2번풀 태엽감기 등) 구간이 아니라면, 팀에 양해를 구하고 혼회를 최대한 많은 타겟에게 박아줘야 합니다. 스턴이 박히지 않는 엘리트몹이나, 스턴 점감으로 면역이 된 몹에서는 구슬이 나오지 않습니다. 쌍축전/탈태스턴 등으로 면역이 된 팩에서는 구슬 수급의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신경써야 합니다.

2. 구슬은 몹의 막타를 쳐서도 먹을 수 있습니다. 아라카라 새끼거미, 속죄 깨물이들, 소레아 앞마당, 알다니1넴쫄 등 구슬을 제공하는 쫄들에게 강력한 광역기를 아끼지 마세요. 이건 딜딸이 아니라 공략딜입니다. 

3. 인장류는 공포의인장까지 포함해서, 꾸준히 사용해주는게 좋습니다. 공포인장으로 얻는 1구슬이 혼격 1글쿨보다 훨씬 값집니다. 

4. 쐐기 이동 구간에서 구슬이 끊기지 않도록 신경써야 합니다. 탱커가 전투를 이어주지 않는다면 따로 있는 몹에 불꽃/공포 인장을 사용 직후 그숨을 써서 구슬을 이어가세요. 수문 2넴 같이 동선이 긴 경우, 보스전 마지막 즈음 뽑힌 구슬을 의도적으로 먹지 않은 채로 착마 후 기다리다가, 오브젝트 클릭 후 팀원들이 이동할 때 구슬을 챙겨서 버프를 이어갈 수도 있습니다.

--- 마무리

아라카라 18단 1데스 미터기 
 

개인적으로 현재 악딜은 쐐기 기준 최상급 딜러라고 생각합니다.
타겟수가 많을수록 비법을 상회하는 미친 찍딜 / 그럼에도 S급 클래스에 뒤쳐지지 않는 종합딜 / 강력한 시너지
그리고 무엇보다 원하는 시점에 폭딜을 몰아칠 수 있는 능력이 너무 마음에 드네요..

이 미친 수준의 티어셋 효과를 누릴 수 있을 때 많은 분들이 누리시길 바라며
부족한 가이드글 마치겠습니다.

Lv74 Hustlin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와우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