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마다 플레이 방식이 약간씩 다를 수 있고, 캐릭에 대한 관점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글의 주요 목적은 고통 감내의 중요성입니다. 다른 부분은 거의 적지 않았습니다.
뭔가 글의 내용이 쐐기돌 게시판보다는 전사 게시판에 맞을수도 있다고 생각이 되는데, 불편하면 죄송합니다.
후에 내릴게요.
쐐기에서 전탱의 생존 관련으로 종종 얘기가 나오고는 하는데, 가장 중요한 베이스중 하나는 방패 올리기가 맞습니다.
아래에 고감과 관련된 글은 복수 스킬에 분노를 소모해서 딜을 크게 뽑아주는게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려는 목적으로
다른 부분이 조금 과장된 것이라고 생각해도 되겠죠.
개인적으로 더욱 더 중요시 되는 단수는 높은 단수라 생각합니다. 16단 이하 에서는 방올만 켜놔도 데미지가 거의 안들어와서 대충대충 쓰면서 뛰어당깁니다.
21단 3~5개 이상 클리어 기록을 보유중인 월드권 기준 팀들을 높은 단수 진행중인 선두급 팀들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글에 첨부해 사용하는 기록은 최소 20단 내지 21단으로 로그 사이트에서 가져오겠습니다. 21~22단 단수는 당연히 경화 기준이며, 금주 폭군 20~21단과 동일한 난이도입니다.
1. 전탱의 사용 이유
-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전탱을 왜 쓰는지로부터 시작을 해야합니다. 단단함과 강력함(버프 포함) 이 기본 베이스입니다.
2. 단단하고 강력하기 위해서는
- 드리블을 최소로 하며 몹들에게 맞으며 버텨주는 단단함으로 딜러들이 딜을 잘 몰아 박을 수 있게 해줘야하고
- 탱커 또한 최대한 딜을 쎄게 넣어야 합니다.
--> 그러기 위해서 투신, 방패 올리기, 방패의 벽, 최후의 저항, 사기의 외침을 잘 사용해서 최대한 오래 버티며 탱 또한 딜을 강하게 박아주어야 합니다.
3. 특성 (분노 제어)
- 분노를 소모하면 투신, 최저, 방벽, 사기의 외침 재사용 대기시간이 줄어드는 전탱에게 매우 중요한 특성입니다.
- 4가지 쿨이 빨리 돌아서 많이 사용하면, 당연히 단단함과 강력함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 이 특성으로 인해, 분노 소모를 많이 잘 해주어야 전탱의 기본 베이스인 단단함과 강력함이 제대로 나타납니다.3. 고통 감내의 중요성
- 고감을 생존에 도움이 되게도 당연히 사용하지만, 그럴 때 사용하는 경우는 마뎀 맞을때를 주로 생각하시면 되고, 쫄이나 넴드구간에 생존에 도움을 위해 고감 감는 타이밍이나 경우가 여러가지가 있어서 자세한 부분은 생략하겠습니다.
1) 고통 감내는 40의 분노 소모
- 분노 소모량이 40이기에 분노 제어로 인한 재사용 대기시간이 4초씩 줄어듭니다.
2) 빅풀 구간에는 분노가 남아도는 경우가 매우 많음
- 복수 : 회피나 무막시에 공짜 복수 사용이 가능합니다.
- 빅풀때는 몹들이 많아서 공짜 복수가 매우 잘 터집니다. ( 제 기준 무막 16프로인데 몹 6마리한테 한대씩 맞으면..? )
--> 쫄구간 빅풀때에는 공짜 복수가 거의 항시 터지기에 분노가 남아돕니다.
3) 고통 감내는 글쿨을 먹지 않는다.
- 딜 스킬 때려 박으면서 같이 사용할 수 있다는게 어마어마한 메리트입니다.
-
분노는 남아도는데, 고감이 글쿨을 안먹기에 마구 써주면서 분노 제어 특성으로 인한 이득을 크게 보는게 매우 매우
중요합니다. * 월드권 로그상 썩굴 21 전탱의 고감 사용 횟수

* 세스 21 전탱 고감

*보랄 22

* 폭군 자유 20
* 높은 기록의 전탱들의 고통 감내 횟수가 매우 많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개인적으로 이번주 폭군 기준 20+에서 전탱이 도움되려면 특수한 던전 빼고는 50k전후 이상 뽑아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딜 관련 타락도 매우 중요하고 없을시 dp는 떨어집니다.
* 요약
1. 전탱 사용 이유의 기본은 단단함과 강력함
2. 분노 제어 특성으로 인한 재사용 대기시간 줄여주는것으로 주요 스킬을 많이 사용하고, 길게 유지하는 것이 관건
3. 고통 감내는 분노 제어 특성의 효율을 올려주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스킬
- 모두 쐐기에서 생존도 잘 되고 딜도 잘 나와서 5인 모두 행복하게 시클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