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DT
!fwvYUTnmq0VNEZCtlh7cqr6b1aiJEKaEHYvTksbwsjo)9DwiPiDcqrcSnjN59M59gkzf2922Z9DD9NwhwEZ2if22xDU)ABGFC485PXF5Uo3pnABmLkB7A)zBBr9TF(9xF(t)(h3STVCyy1HWCA96v34YJRddq264gTRhhCV4giiDJUNE7ZZZ9xgFcoBgsCjg53whV4MgF48niwHX2o7gCNwq23JzJOcr)mWWmVZ2hncju9WxkBd8FneiSKpsrCmnmD1221PCDDya8zAklfcmWzaly1w((9kPiLscF5oov4adCgrxresyrLVZywroRDuG7jMksykwl1mTkCziGsCNsoRk)EgcIDjqK2DQapXqR3KiIaDAFP8kaRBkzQWzYAHAs4kskwQWsemtkWAdbSMKdP4dR2UJq1gKo5wh1WMjxtAsJnyu5kk2P(EXNqbLqfLJITgAtnwQ4YkVIAYste4jMwrQH6TEH3FkZ6sLhHez7EhPo1rySQiIkYCNAgj(ifxqEHTktF0Pddy8HIlvCqVYe9rmKsV4K2zCYaYlHszRWRrZbh4Z8yEUZeNciY3LcQueUPSKu0H(oTkPRIXlEB(pbNq5xMMZbbB7IGVtZ0XYj8qarw9O9vo1jXDzrrwKXfLOix3U3orLDJ)GaGAlZR4UBfm4XURoJqwwQZOLBcT9dE(HoocGHy8tr8sFlZCQZ6v2MKK3ldyuy3UM9)VY8UhXOTVFGMFSRkR)X)AxC3GpX3UqW84Hb3YI7HXUjCK7W6Y0xX97hVy)YDXGVnG0IPJ)bEBWSVfT)7p
NEC를 돌려서 성기사의 ‘신성한 종’에 한 방에 죽으면 트라이 불가능
https://not-even-close.com/ 참고
회드가 신성한 종마다 곰 변신을 해야 하면 난이도가 높아짐
아라시 기사의 ‘꿰뚫기’는 전탱이 ‘가로막기’를 찍으면 막아 줄 수 있음
1번 블러드
쐐기 시작 전에 카운트를 하고, 1초에 투물을 먹고 시작 + 쇄포를 받으면 첫 번째 보병 4마리를 패스할 수 있습니다.
경비대장 슐레이만의 ‘천둥벼락’, 아라시 기사의 ‘훼방의 외침’, ‘꿰뚫기’는 모두 시야 플레이하는 게 좋음.
처음 광역 딜에 블러드 + 쿨을 써야 하니 힐러 비단 받고 그냥 맞으면서 딜.
슐레이만에 냥꾼이 쿨을 2번 써야 함.
2번째 쿨이 올 때 ‘천둥벼락’, ‘훼방의 외침’이 겹침 → 무껍 받고 적자생존 먹고 쿨기 키면 좋음.
2번째 쿨기 때 보통 슐레이만 피통이 작지만, 쿨을 돌리기 위해 사용하는 거라 분광경 사용하지 않고 3번 풀에 사용.
무조건 슐레이만을 점사해서 셰인메일을 팝업해 놓고 기사를 마무리하는 그림이 좋음 (화살통 쌓을 수 있음)
죽기는 절멸을 적당히 섞으며 딜 조절.
보병이 쓰는 ‘방어’는 체력 50%가 되면 시전, 내부 쿨 30초.
2번
풀링 끝날 때 4분이 넘어가면 3번으로 가는 길에 로머가 있어서 30초 기다려야함.
셰인메일 다 죽어 가면 회드가 미리 가는 길 로머를 뿌묵으로 묶어 두면 좋음.
3번
스라소니 대처 + 바닥 피하기 + 차단 + 생존기 로테 해야 함. 데미안을 빠르게 잡아야 해서 난이도 높음.
LittleWigs 사용 시 스라소니 암습 기본 이름표 내부 쿨 설정이 꺼져 있어서 켜줘야 함.
냥꾼 제외 본진이 스라소니에 붙고, 냥꾼이 혼자 떨어지면 스라소니가 냥꾼에게 뜀.
1번 얼덫 → 2번 우르솔 → 3번 구사 → 4번 얼덫 으로 대처하면 스라소니 사망
이게 어렵다면 최사 잡고 무빙으로 피해야 함 (단, 애드 안 나게 조심)
얼덫 던졌는데 화염 바닥이 깔려서 못 쓰는 경우 있음. 내부 쿨 보면서 최대한 늦게 던져야 함.
다른 방법: 회드가 본진 밖에 나무정령을 깔고 5명이 스라소니에 다 붙는 방법
나무정령 지속 시간 보며 힐업 다 해야 해서 난이도 높음. 장점은 스라소니가 뛰지 않아서 빨리 죽음.
냥꾼이나 회드 중 한 명은 꼭 해야 함
데미안이 ‘화염의 문장’을 시전하면 공격력 50% 증가 버프 → 2번째 ‘열기의 파도’가 가장 아픔.
2번 타이밍에 거북상 or 힐러 비단 쓰면 좋음. 대마보 1번 4번 사용 가능.
4번
아라시 기사 ‘꿰뚫기’, ‘훼방의 외침’ 시야 플레이.
동시에 풀링했으면 두 번째 엠버랜즈 광역 딜 시전 중에 ‘훼방의 외침’이 겹쳐서 옴.
5번
네임드 차단: 냥꾼 / 듀얼말 차단: 나머지 로테이션.
로머 보병 메즈하고 나머지 3마리 멀리 갔을 때 땡기면 보병만 땡길 수 있음.
듀얼말에 ‘사냥꾼의 징표’ 박고 듀얼말 80% 될 때까지 듀얼말 타겟.
오프닝에 분광경 쓰고, 다음 풀링을 위해 분광경 아껴야 함.
6번 블러드
사제 한 마리 얼덫이나 사술 → 사제 차단 로테이션 → 사제 체인 풀
‘신성한 종’은 동시에 시전하지 않고 3초 간격으로 들어오며, 5마리가 모두 시전하면 6초 정도 쉬는 시간 존재.
웨이브 개념으로 보면 쉬움:
1웨이브: 블러드 + 힐업
2웨이브: 대마지 + 개인 생존기
3웨이브: 재집 + 개인 생존기
4웨이브: 남은 것 전부
생존기로 '신성한 종' 2개 이상 뎀감 받기 위해 시전 직전에 생존기 사용.
3웨이브 시작 전에 성기사 2마리를 잡지 않으면 힐러가 살리지 못할 확률 높음.
네임드 끝나고 바로 앞 2마리에 징을 찍고, 죽기·냥꾼이 나눠 때리고 정술은 그 두 마리에 피뢰침 무한 유지.
정술이 차단하면 뎀감을 받을 수 있어서 적극적으로 차단하면 좋음.
7번
동선이 비효율적이지만, 8번에도 신성한 종을 사용하는 성기사 3마리가 있어서 힐 쿨기를 기다리기 위해 가는 것.
스라소니 대처: 냥꾼이 최사 잡고 무빙딜 or 회드가 나무정령 밖에 두고 5명 다 붙기
아라시 기사 점사 (가로막기 지원)
8번
정술은 짤 뎀감을 위해 사제 차단 배정, 냥꾼·회드는 같은 걸 차단 봄.
냥꾼 혼자서 차단 못 봄 + 힐업도 해야 하고 바닥 때문에 회드도 매번 못 끊음.
CC 순서 바꿔도 무방. 단 2번째 CC 타이밍이 신성한 종 1웨이브 끝 직후라 힐러가 CC 가능.
나머지 타이밍은 신성한 종과 겹칠 가능성 높음.
킬타임 빠를 때:
짤(드루) → 충파 → 훼방 → 짤(냥꾼) → 진눈 → 행불 → 우르솔+태풍 → 짤(드루) → 내파 → 천폭 → 축전
킬타임 느릴 때:
짤(드루) → 천폭 → 축전 → 진눈 → 짤(냥꾼) → 내파 → 행불 → 우르솔+태풍 → 짤(드루) → 충파 → 훼방 → 짤(냥꾼) → 천폭 → 축전 → 방출
충파·훼방을 먼저 쓰면 쿨기 타이밍과 겹치지 않아 딜러가 편함.
CC를 거의 끝에 쓰지 않으면 짤이 오지 않아서 연습 필요.
목표는 냥꾼 쿨 1번으로 킬. 딜 사이즈 안 나오면 사제에 쿨 써서 난이도 낮추고 2번 사용.
9번
‘희생의 장작더미’ 밟는 횟수: 3 → 5 → 3 → 5 → 3 → 5 반복
죽기가 대마보로 밟을 때 죽진 + 생존기 or 외생기(무껍, 비단, 가막) 받아야 3개 가능
처음 3개: 죽기 3
다음 5개: 탱커 1 + 죽기 3 + 탱 중첩 풀리면 1
다음 3개: 탱커 1 + 회드 1 + 탱 중첩 풀리면 1 회드 나껍
다음 5개: 탱커 1 + 죽기 3 + 탱 중첩 풀리면 1
넴드 죽어 갈 때 3개 나오면 대마보 기다렸다가 죽기로 처리 가능.
‘징벌자의 방패’에 한 방이라서 생존기 필수.
10번
차단 2로테 + CC 적당히, 성기사 하나 점사.
12번 풀에 분광경 들고 가야 해서 여기서 쓰는 게 좋음.
11번
성기사 하나 점사.
‘신성한 종+정화’ 때문에 힐업 힘듦 → 개인 생존기 없으면 그숨 물약까지 고려.
12번 블러드
짤 → 충파 → 훼방 → 짤 → 진눈 → 행불 → 우르솔+태풍 → 짤 → 내파 → 천폭 → 축전 → 짤
블러드 + 물약 + 분광경 + 쿨 브라운파이크 경 점사
캐스터가 빨리 죽어서 8번보다 쉬움.
브라운파이크 경 목표 킬타임 1분.
늘어지면 되살아난 보병 ‘빛 배출’ 때문에 누군가 죽을 수 있음.
13번
사제 얼덫, 마법사 차단 → 2로테 + CC 적당히.
빛의 정령이 2마리라서 피 맞춰 잡는 게 중요.
죽기·냥꾼이 쿨 나눠서 쓰고, 냥꾼이 야부 끝나고 다른 거 치면 보통 피 맞음.
14번
사제 덫 해 두고 한 마리씩 붙임.
네임드 차단: 탱커 / 사제 차단: 나머지 로테이션.
50% 사이페에 술사가 구속 토템 → 토템 귀환 → 구속 토템 해두고 가면 쫄 안 올라옴.
해당 루트는 냉죽 야냥 정술에 어울리는 루트이며 악딜이 있다면 못할건 아니지만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록 갱신을 위한 더 빠른 루트도 존재하지만, 위험한 풀링이 너무 많아 갱신에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처음 21단을 클리어했던 루트를 기준으로, 풀링마다 필요한 공략과 디테일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수도원은 팀으로 한 번 연습해 두면 생각보다 20단과 21단의 차이가 크게 느껴지지 않는 던전이라고 생각합니다.
반대로 글로벌 기준으로는 많이 힘들어 보입니다.
수도원 시점별 시클 영상
치지직 방송 합니다 https://chzzk.naver.com/b1874fe6c6b5b22bbefe643b1177662d
원하시는 던전 댓글로 말씀 주시면 다음 공략 써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