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 최근 논란중인 이야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사회] 병역의무 군 가산점

휘파람소뤼
댓글: 8 개
조회: 1065
2021-05-20 12:28:26
군 가산점은 김대중 정부 때인 1999년 헌법재판소 재판관 9명 
전원 일치로 위헌결정을 받았다. “실적주의에 입각한 공직제도와 
공무담임권을 침해하고, 여성,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의 
공직 취임기회를 제한하여 평등권을 위반한다”는 요지였다. 

폐지론을 주도한 건 한국여성단체협의회와 참여연대 등 
여성계,진보진영 중심이었다. 군 가산점은 결국 도입(1961년) 
40년만인 (2001년) 최종 폐지됐다.    
  
그렇게 사라진 군 가산점의 부활을 끊임없이 모색한 건 
보수 진영이었다. 폐지 4년만인 2005년 6월 주성영 한나라당 
의원이 처음 군 가산점 부활 법안을 냈고, 2007년 고조흥 
한나라당 의원이 낸 군 가산점 부활 법안은 2008년 초 
국회 상임위원회(국방위)를 통과하기도 했다. 

하지만 당시 대통령 이었던 노무현 정부는 
"이를 다시 도입하는 것에 반대 입장을 갖고 있다며" 
천호선 홍보수석 겸 대변인 을 통해 입장을 내고, 
민주노동당도 반대 의견을 내는 등의 반발로 무산됐다.   
  
2010년 이명박 정부에선 대통령 직속 국가안보총괄점검회의가 
이 대통령에게 군 가산점 재도입을 건의하기도 했는데, 
한국여성단체연합은 “군 가산점제는 이 대통령이 말하는 
출발과 과정에서 공평한 기회를 주는 공정한 사회 와 
배치되는 것”이라며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당시 한국여성단체연합의 공동대표가 현 남인순 민주당 의원이다.   

이후에도 한기호 새누리당 의원 등 보수 정당 의원의 군 가산점 
부활 법안은 계속 제출됐지만, 
번번이 진보 정당과 여성단체에 막혔다. 
2014년 박근혜 정부 국방부가 군 가산점제에서 후퇴한 
"군 복무 학점 인정 제도"를 도입하려고 하자, 

김광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대학을 다니고 있는 사람과 대학을 다니지 못한 사람의 
갈등이 예상된다”며 반대했다. 
  
지난 대선에선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가 군 가산점 부활을 
공약으로 들고 나왔다. 반대 입장이었던 문재인 후보를 향해 
“왜 5 18 가산점은 동의하고, 군 가산점은 동의 안 하느냐”고 
쏘아붙이기도 했다. 

지난해 1월에도 하태경 의원이 군 가산점 부활 법안을 
발의했지만, 국가인권위원회는 “헌법에서 명시한 평등권을 
침해한다”며 반대 입장을 냈다.   


Lv80 휘파람소뤼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