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 최근 논란중인 이야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경제] 식량생산이 남아돌아서 발전한 산업

밤의전설
댓글: 3 개
조회: 1328
2021-07-17 22:21:47


공기 중 질소 포착기술로 질소비료가 생산 가능해지면서
인류의 식량생산은 비약적으로 늘었다
그런데. 이렇게 생산된 식량을 전부 인간이 소비하지 않는다?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곡물은? 옥수수다
전체 곡물생산량의 40%가량이 옥수수다

그 다음은 밀과 쌀, 대두의 순서(이건 틀릴 수도 있다. 내 기억이 정확하지 않아서)
옥수수 생산을 가장 많이 하는 나라는? 미국이지

왜 하필 옥수수일까? 옥수수는 사료용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곡물이기 때문이다.
식량생산이 남아돌아서 축산업이 발전한 것이다.
그 덕에 미국인들이 얼마나 소고기를 먹어대는지 전세계 소고기의 20% 정도를
처먹는다고 한다. 1인당 소비량으로 치면 아르헨티나도
팜파스 초원 덕에 만만치 않게 먹는다.

그런데, 고등학교 때 과학공부 좀 해봤으면 알거야
먹이사슬에서 위로 갈 수록 중량 대비 칼로리 섭취량은 훅 낮아진다
고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칼로리 효율이 식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율에 
비해 극단적으로 낮아진다는 거지.
곡물을 통해 1000kcal를 얻기 위해서는 밥 몇그릇이면 되지만
고기를 통해 얻으려면 그 고기를 얻기 위한 곡물로 환산하면
엄청 비효율적이 되는 거지

즉, 칼로리 기준 식량생산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인류가 전부 육식하는 경우 부양가능한 인구는
인류가 전부 초식하는 경우 부양가능한 인구에 비해 아주 적다는 거지

최근에 인터넷에서 채식주의자들의 x같은 논리와 행동때문에 채식이 비웃음거리가 되지만
사실 에너지 효율과 환경 면에서도 육식은 채식보다 바람직하지 않은 건 맞다
다만, 여러가지 이유로 육식을 완전히 포기하기는 어렵고
우리나라의 경우 육류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꽤 낮은 편이라
별 문제는 안되는 수준이라 생각됨. 미국 같은 곳이 너무 처먹어서 문제지.

아래는 2014년 기사네.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648776.html

괜히 저 아래 식량문제 글 나와서 삘받아 써봄


Lv36 밤의전설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