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다시피 1차 클베에선 생산, 무역은 기본적인것만 선보인 것이라고 합니다.
클베 인원 5000명, 운송에 대한 정보, 무역품 무제한, 교역세 없음등으로 일단 무역에서는 돈벌기가 쉬웠습니다.
1일차, 2일차에서는 저도 퀘스트와 렙업, 탐험등으로 검은사막의 재미를 느끼고 아키에이지에서도 무역에 관심이 많은 터라 검은사막에서도 무역을 해보자 생각했습니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판다는 철칙이 고대로 묻어나 있는 이번 무역은 유저 매입 매각이 없는 경우 최고가를 찍고 최저점을 찍는데 보통 30분?정도를 소모합니다.
여기서 유저의 매입 매각이 이루어지면 그래프가 주춤 거리면서 최고가나 최저점을 찍기 전에 변동이 생길 경우가 생기는데 언제 매입 매각을 하느냐 같은 상품을 지닌 유저가 많은가 안 많은가가 시간을 투자해서 시세를 확인해야합니다.
- 80%에 팔아야지 하는데 누가 자꾸 팔기 시작해서 하한가 최저점 타이밍 놓치면 헛탕, 최고점에 파는 것도 마찬가지이며 현재 마을이 세곳인데다 5천명인데도 경쟁률이 불기 시작했으며 어제 저녁 와인타임때는 80%로 6개밖에 사지 못하고 오른 경우가 생겼습니다.
- 6일차 초반에는 무역시스템이 주제라서 그런지 하한가를 치고도 100개를 창고에 쌓을때까지 안올라가는 기이한 현상도 발생
운송시스템
제가 왜 1일차에 기를 쓰고 운송시스템을 알아내려고 했냐면 마을마다 창고가 다르다는 점때문입니다.
쉽게 무역로만 연결하면 되는 것이라 당황스러웠지만 그때는 무역로를 어찌 이어야 하는지도 난감했습니다.
그리고 지금 무역에서 젤 꿀빤건 사람들이 모를때 운송이라는 걸 썻기때문입니다. 무역품 40개를 다른 마을로 보낼 수 있는데 이건 대기열이 존재합니다.
운송마차는 고정루트가 정해져있습니다.
벨리아 - 하이델 - 글로시를 정기적으로 순환하며 지도상으로 볼땐 2대정도가 보이죠.
아무도 운송을 하지 않는다면 내물품 40개가 빠른시간에 당도하지만 누군가 1순위 2순위로 먼저 정해놓았다면 이번 운송에는 안실리고 다음 운송에도 안실리고 그다음엔 12개만 운송되고 그런 현상이 벌어집니다.
무제한 무역품
마을마다 공방이 있지만 공방의 무역품은 아이템제작 일꾼으로 제작 가능합니다.
하지만 단가가 낮고 개당 10분에서 5분이라는 일꾼차이가 생깁니다.
무제한 무역품 덕분에 하이델 와인은 현재 최고인기를 구가하고 있지만 다음 클베에는 아마도 게임상에 밤낮이 존재하니 낮이되면 물량에 재고가 쌓이는 방식이 아닐까 합니다.
교역세?
듣기로는 공성전 성공한 길드가 집세,상인세말고도 교역세또한 얻는 것으로 알려져있었는데 세금에 대한것 없었습니다.
다만 생산노드 말고 <> 노드가 있습니다. 투자하면 빈노드라고 적혀있습니다.
탐험길드가 거점을 확보한다고 했는데 아마도 운송으로 지나가는 길에 세금을 거둘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