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두 절미하고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블소하면서 캐릭터의 스킬과 키입력이 원할하게 되지않아 스트레스 받으시는분 많으실겁니다.
본인이 검사로 플레이하면서 격은 랙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막기후 바로 전후좌우 이동할 시 캐릭터가 지형에 걸린것처럼 제자리에 박혀 움찔거린다.
2. 마우스를 꾸욱 누르고 있어도 평타 및 발도가 자주 끈겨 광클하는 습관을 들이게 된다.
3. 발도 혹은 찌르기시 물속에서 플레이하듯 뭔가 부드럽지 못한 모션을 보인다.
4. 보스처치 후 보상궤짝을 깨트릴시 순간랙이 걸린다.
분명 프레임은 50~60을 찍고 있는데 썩을 스킬이 뚝뚝끈켜 분명 회피기를 썻음에도 불구하고 전멸기를 쳐 맞고 누워 쪽도 많이 팔았고 나는 분명 랙이 있는데 파티원들은 잘된다고하니 환장할 노릇이더군요.
주말 혹은 평일 저녁시간대의 서버랙을 말하는건 아닙니다. 서버랙이라면 대부분의 파티원이 느끼더군요.
컴사양 / 회선 / 바이러스검사 / 레지최적화 / 악성코드제거 / 윈도우에어로끄기 / 절전기능끄기
/ 백신실시간검사끄기 / 그래픽드라이버 바꿔보기 등
기존 최적화방법은 많이 알려지고 아시는분도 많기에 언급하지 않습니다.
제가 찾아본 방법은 굉장히 간단한 방법입니다.
바로 윈도우7의 디펜더와 방화벽입니다(블소하면서 윈XP쓰시는분없죠?)
1. 윈도우디펜더
스파이웨어 검색과 실시간 감시기능을 하는 윈7기본 프로그램입니다. 게임상 랙유발은 덤이죠.
윈도우시작키 -> 검색란에 defender입력 -> 도구 -> 옵션 -> 관리자 -> 이프로그램사용 체크해제
2. 윈도우 방화벽
본글의 메인팁입니다.
최초 블소를 설치하고 실행 할 경우 방화벽에서 차단을 합니다. 그러면 보통은 차단을 해제하시겠습니까? 라는 질문에 차단을 해제하고 잊어버리게됩니다.
문제는 이때 차단 해제하는 것은 NCLauncher이고 정작 본게임이 실행되는 BnSClient는 여전히 방화벽의 감시를 받게됩니다. 즉 내컴퓨터와 엔씨서버간의 데이터 이동은 방화벽에 한번 걸러지게 되므로 일종의 랙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게됩니다. 그 예가 프레임은 잘나오는데 스킬이 잘 안나가게 되는 현상이죠.
해결책
1.윈도우 방화벽을 끈다.
제어판 ->시스템 및 보안 -> 윈도우즈 방화벽 -> 방화벽 해제
간단하죠? 하지만 일종의 안전보험인 방화벽을 무작정꺼버리기엔 또 찝찝합니다.
2. 방화벽은 놔두고 블소만 예외설정을 한다.
제어판 ->시스템 및 보안 -> 윈도우즈방화벽 -> 윈도우즈 방화벽에서프로그램허용 -> 다른프로그램허용 -> 찾아보기
-> BnS폴더로 이동 -> (블소 폴더내에서 예외로 설정할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lient (블소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입니다)
2. AwesomiumProcess (시장, 샌박, 경매창 등 게임내 브라우저 구현을 가능하게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3. npkcmsvc (망할 엔프로텍트)
4. NCTalk (엔톡)
위4가지 파일을 방화벽예외로 등록해두면 블소는 방화벽의 감시를 받지 않습니다.
저의 경우 방화벽해제 이후 피시방의 특정자리에서만 가능했던 랙없는 쾌적한 플레이가 집에서도 어느정도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앞서 언급한 랙 같은 현상들도 눈에 띄게 개선되었구요.
본 방법은 기본적인 컴 최적화와 병행되어야만 효과가 있으며 회선불량 혹은 저사양 하드웨어 같은 게임실행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을경우에는 효과가 없으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추가* 핑테스트하는법
윈도우시작키 ->검색란에 cmd입력 -> 도스창에 ping -t www.kornet.net 입력후 엔터
도스창에 kt백본망에 대한 핑값이 1초마다 갱신되어 올라옵니다 보통 피시방의 경우 1ms 로 고정이며 가정집 회선의 경우 5~40ms가 보통입니다 40정도면 fps겜의 경우 적을 보는순간 이미 적은 쏘고 있다수준이 됩니다. 즉 내화면상 적은 아직 벽뒤에서 나오지 않았지만 적은 이미 벽뒤에서나와 나한테 총을 갈기고 있는거죠.
1000ms는 1초입니다.
핑값은 평균값이 무척중요합니다. 물론 피방처럼 변동없이 1ms 찍어준다면 이보다 더 좋을 순없으나 가정집 회선은 전화국과의 거리 사용자수 등에 영향을 받기에 10ms 이하만 꾸준히 찍어줘도 양호하다할 수 있습니다.
핑테스트는 10분간 켜놓고 스크롤을올려 100ms~999ms까지 확 튀는 경우가 없는지 보는게 중요합니다. 200~300정도 구간이 생기면 순간멈춤 혹은 순간이동현상이 나타나고 400~999ms가 나올정도면 겜하다 팅기는 현상이 나오게 됩니다.
블소는 FPS만큼 핑에 민감한 게임은 아니지만 꾸준한 키입력과 반응성이 중요하므로 30ms이상 나오는 회선이라면 다른 회사로 갈아타시길권합니다. 개인적으로 KT FTTH 광랜추천(다운/업)속도뿐만 아니라 핑값이 아주양호
질문!
혹시 블소 게임서버의 IP를 알고 계신분 있다면 쪽지보내주실수 있나요?
린1 같은경우 각서버의 IP가 공공연하게 공개되어 있어 직접 핑값을 튀겨 볼 수 있는데 블소서버는 IP값을 몰라서 여쭤봅니다.
당연히 공개되어 있지 않을거라 봅니다만(디도스 혹은 악용문제로)
클라뜯어보시는분들이라면 어떻게 알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