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레이드&소울 인벤 권사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정보] 정하도에서 멘붕중인 분들을 위한 공략.

오벨릭스
댓글: 3 개
조회: 951
2012-11-05 14:40:13
케릭터는 "강수와" 입니다. 이문권사 
무신에서 무기를 먹고 지금은 공이 조금 올라가긴 했지만 
친구들이 돌아준 퐈란+폭퐈란보패에 작하고 231 속마음으로 공략하고 팁 남겨봅니다.
무신탑 나온지 하루뒤에 231로 공략시작하고 이후 240대무기로 업글한후엔 패턴이 눈에 익숙해져서 깨네요.

해무진은 문파버스팟 한번껴서 다녀온게 전부.
230으로 원트에 깬 사람은 해무진 헤딩을 x나게 했다거나 해무진을 잡아본 경우, 해무진도 정하도처럼 다양한 패턴이
눈에 익숙해지지 않으면 어버버 합니다. 정하도 2일 헤딩하고 잡고나서 이후에도 원트에 못잡을 당시 해무진방사팟
놀러갔다가 멘탈소멸했습니다. 물론 못깨고 6시넘기고 파티쫑. 지금도 당연히가면 열나게 헤딩할듯...

정하도 공략성공당시 장비는 폭퐈란보패+4인퐈란보패 치작 / 231 속마음 3소켓/ 
폭퐈란 치피 귀걸이1 + 폭퐈란 공7 관통목걸이/
폭퐈란 치피반지2개/나류국은화치피목걸이 공6 치피12.6
========================================================================================================

제 공략은 고량주 2-3개가 필수,
             수련은 공중차기하면 기력채우는거 필수. 
            이문 폭권 붕권심화는 당연히 하고 박치기연마랑 평타출혈삭제 수련은 버림. 차라리 철산고흡혈을 찍는게남.

231 3소켓이면 저처럼 공격력 흡혈 기절홍옥으로 차셔도 되지만 3소켓미만이시면 취향대로 차세요.
다만 익숙하시기 전까지는 기절 홍옥이 엄청나게 도움이 됩니다. 폭퐈란 묵점왕4소켓이라면 이상적인 조합은
공금강+흡혈자수정+기절홍옥까진 고정이고 회피녹주석이나 다운시 추가피해황옥정도.
육각1+오각3이라면 육각을 공격력으로 차고 나머지는 오각
기절눈꼽만큼 더.....보다는 기본 공격력차이가 더 중요.

시간을 아끼기 위해 공중제압이나 제압이후 1초만 시간끌고 바로 묵사발
박치기연마나 박치기는 피없을때 물약쿨일때나 쓰긴하지만 무조건 봉인.
정하도 공격을 1대이상 연타로 맞는것이 (어깨치기후 일섬제외) 있으면 꼬인다고 보심 됩니다. 

단 횡이동기가 2개이상 쿨인데다가 ss까지 쿨이라면 시간을 최대한 끌어줍니다.

고량주는 권무대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ss로 저항할것이 바닥 장판하고 용의포효와 이후오는 4단베기정도인데 
셋다 맞으면 왕창 꼬이는 것이기 때문임, 일섬을 ss로 피하실정도면 그냥 [뒤로 가기] 눌러주세요.

중요한게 공딸릴때는 붕권쿨타임은 **항상** 돌고있어야 합니다. 막던 말던. 
익숙해지면 못막게 우겨넣으실수 있음.
폭권4심화면 기절시 2배데미지인데 공350,치피180%기준 최대 9천까지 뜬다고 생각하시면 됨. 
정하도공략이 4분30초라고 보면 폭권쿨이 45초니까 이론상 6번은 꼽아넣을 수있습니다. 
9000x6= 54000, 5만이하로 공략실패하시는분은 염두해두세요 무조건 붕권을 우겨넣어야합니다. 상황을 만들어서. 
그 상황을 만드는게 기절기, 철산고 그로기, 그리고 [기절홍옥].

기절홍옥이 발동되면 판단해야합니다 띄울건지, 꼽을건지.
왠만하면 꼽은후 띄우는게 최상이지만 취향대로 하세요. 
띄울거면 폭권1타후 바로 띄우고, 꼽을거면 걍 눈딱감고 2방안전하게 꼽으세요.
최상은 꼽고 띄우고, 중간은 걍 띄우고 공콤, 최악은 다리걸기, 근데 마음이 급하다보니 최악을 자주 하게 됨.
계속 해보시다보면 아 요때 이놈 허리에 폭권꼽아야겟구나 감이 오실겁니둥.

-------------------------------------------------------------------------------------------------------
폭권 꼽는 좋은 타이밍은
1. 기절시키고나서

2. 철산고 그로기 
왠만하면 벽에 안부딫힐 거리 정도에 정하도가 서있구나 하면 철산고로 그로기, 벽에 부딫히면 그로기 시간 짧아서
붕권 우겨넣고 띄우기가 잘 안되거나 한대 맞음

3. 거북의 숨결 외칠때

4. 대지가르기때 옆이나 뒤에서, 앞에서 맞으면 살아도 산게 아니고 보통 4번 따다다다
경험상 대지가르기는 권무 막타에는 거의 맞고, 권무 중간에는 저항하지만 
중간에 저항했다는 건 권무를 낭비했다는 소리임, 물론 어쩔수 없는 경우도 있지만 ss로 저항 왠만해선 띄우기
부담되는 상황에서 권무를 대지가르기에 쓰는건 낭비, 걍 거리가 벌어져있다면 피해만 주시고 뛰어찍기로 치세요.
ss는 데미지를 더 주기위한 콤보필수과정으로 보심 됨.

인벤공략에 나온대로 [봉황의 날개]이후 패턴초기화라고 하지만 봉황 볼 시간이 없음, 최대한 시간을 아껴서
망할 용포를 작작 보는것이 이 공략의 목표. 봉황은 중간에 커트하지말고 다 날라가는동안 폭권우겨넣고 
정하도가 나를 돌아볼때 기절이나 다운이나 평타로 내력수급.

최상은 1번 3번의 경우. 2방까지 확정으로 우겨넣고 평타로 내력회복이 될 시간이 나옴.
출혈도 딜 야금야금 넣는것이니 평타 출혈삭제+내력추가회복 수련은 버립니다. 출혈유지는 버리고
그냥 가끔 평타3방이나 통배권톡정도로 만족하세요. 용포때문에 유지가 불가능.
------------------------------------------------------------------------------------------------------
공략  
첫타 시작은 날아차기(기절)후 폭권1회+띄우고 공콤. 이후 첫 용의포효를 22만전에는 안보기 위해
(첫 용의포효후 4단베기만 해도 7-8초 잡아먹음) 

산사태후 띄우고 공중제압->ss->어류겐으로 띄우고 공중제압-> 한대도 안맞았다면 용의포효를 쓰거나 
평타를 치거나 둘중의 하나인데 

용의포효를 쓰면 횡이동2개로 완벽히 피해주시고 
(1개로 저항다되되면 좋겟지만, 저는 꼭 막타맞고 공콤 꽥하는 경우가 잦았습니다.)이후 평타를 반격하고

찌르기는 사과를 깎으며 내력채울 기회. 첫 페이즈만 찌르기 쓰니까 그냥 사과깎으세요.
(내력없음 반격으로 채워도 하지만 그냥 사과깎고 출혈하나라도 우겨넣는게 좋음, 통배권은 무빙시에도 들어감) 

다시 공콤2회반복하면 첫 거북으로 넘어갑니다. 첫거북이 풍제국 어쩌구 외친후에 쓰니까,
정하도가 씨부렁거리면 거북이구나 하심 되겟음. 물론 용포안쓰고 다시 공콤2회된다면 떙큐베리감사.

이후 첫 거북, 정하도가 손을 올리면 바닥이 깔림, 고로 바닥못깔게 최대한 시간끌어주는게 포인트, 
산사태는 쿨일테니 손 못들게 제압 바 0초되면 그냥 승룡각후 쿨돌아왔을 폭권을 우겨넣고 쿨이라면 
그냥 띄우고 내려찍고 제압. 제압이 풀리자마자 다리를 걸어주고 통배나 폭권몇방 넣어줌

어차피 발도3타후 어깨치기 일섬은 고정패턴으로 뒤에 나오니까 가급적 바닥깔리고 어디로 갈지 보인후에
패턴이 나오게 하고싶은 분은 팔을 들고나서 2초후에 다운거심 됨. 막으면 바로 거리벌림.

딜이 된다면 용포를 쓰고 이후 3연베기후 어깨치기 일섬, 딜이 안되면 바닥깔고 용포를 쓰던지 평타3방을 쓰던지 함
용포를 쓴다면 칼을 집어넣으면 고량주를 빨아주고, 평타는 1대정도 맞고 맞아도 되니까 거리를 벌려줍니다.

발도평타막는 포인트는 근접에서 맞지말고 3-5m 떨어져서 막는것입니다. 
이문특성상 막고 반격하는 순간 발도1방이 톡 들어오기에 막으면서 무빙탱한다는 기분으로 거리를 두면서 이문버튼
눌러주면 됩니다. 첨엔 버버벅대서 이문버튼 막 누르다가 내력이 안남을 때가있는데 
그럴땐 그냥 권무, 용포도 그냥 권무하면서 평타한대라도 쳐서 내력1회복한다는 기분으로 하심 됩니다.
발이 얼었다면 권무대신 고량주먹고 이후 용포는 권무로 대신함.

이후 횡이동 어깨치기나 ss->오연->횡이동후 어깨치기나 동일. 삼연각으로 지 삿갓 만지면서 개폼잡을때 빠바박
날려주는게 유쾌상쾌통쾌하지만 첨엔 그게 잘 안보이니 그냥 정하도가 횡이동하면 마우스로 시선돌려서 횡이동좌우로
일섬까지 완벽히 피한후 기절 붕권 띄우고 반복하시던지 평타몇대치고 다운하던지 입맛대로 골라잡으심 되고,

--------------------------------------------------------------------------------------------------------
이후에 산사태와 승룡각은 이렇게 생각하심 됨. 산사태=폭권이 될 때 폭권넣고 띄우기 
승룡각은 저항으로 피하는게 아니고 산사태가 삑낫을때 기절넣고 띄우는 용도 내지는 위급할때 포션으로 씁니다. 
승룡각 저항으로 피할 정도의 감각이면 애초에 승룡각을 저항으로 피할 거지같은 상황이 안나옴. 

승룡각쓰고 띄우고 공콤넣고 내려찍고 [포션먹고] 제압 또는 
승룡각쓰고 [포션먹고] 띄우고 공콤넣고 내려찍고 폭권치고 제압
지금 위에 두 문장 [포션먹고] 앞뒤에 폭권한대 끼워넣으면 정하도 기절풀리거나 일어남.
마찬가지로 폭권을 우겨넣을 타이밍이 되면 승룡각을 쓸 기회가 안나옴. 그건 기절홍옥로또가 터져줬거나
집 인터넷속도가 렉 0%에 수렴할때나 가능.

산사태= 폭권2방 100%의 찬스 / 승룡각= 산사태가 빗나갔을 때 폭권2방 100%의 찬스.
--------------------------------------------------------------------------------------------------------
 
시간을 끌어야 할때는
횡이동qe가 둘다 쿨인데 권무도 없고 ss도 없고 물약도 없고 기절기 1개만 있네? 하는 경우에 봉황을 보고 
검 다 날라가면 기절치고 저 하늘로 보내고 시간을 질질 끌어주어야 하고, 이런 경우가 나오지않도록 해주는게
위의 공략. 

후반부에 용의포효가 3연타 나올때까지 포기하지 마시고 딜을 우겨넣어보세요. 2연타나오고 잡아봤음.

저는 정하도가 밀린 숙제를 한다고 표현하는데, 중간에 나와야 할 용포를 안쓰고 바로 거북으로 넘어가면 종종
용포를 연속으로 쓸 경우가 잦았습니다. 2회까진 버티면서 딜 계속 해보시면 클리어 하실수 있습니다.

문 근처인데 용포 연속으로 쓴다면 고량주를 먹던지 ss로 문밖으로 나가서 잽싸게 계단아래로 내려가면
화조가 리셋됨. 근데 이거 할 센스가 되시면 못 깰리가 없음.

물약쿨인데 일섬을 맞았다던지, 쓰러지고 용포를 맞았다던지, 어깨치고 일섬을 쳤다던지, 
4회때 하늘나라공콤을 맞았다던지 이런 개같은 경우인데 위 공략대로 해보시면 무난함.

아 장난까냐. 따라했는데 안되잖아 하시는 손님은 승룡각 산사태를 잘못 쓰신거. 두 스킬은 다시 정정하자면
위급상황 반전용및 시간끌어서 쿨기+포션쿨 버는 용도로 쓰셔야 맞음. 물론 붕권확정용으로 쓰는건 백번 잘하신
경우고 이 글 따라하셧는데도 안되시면 보패작이 안됫거나 (최소 폭퐈란5개이상 주옵부옵 치명에 치명작)
장비가 딸리신 경우, 그도 아니라면 저도 GG.

다만 6층에서 팔독모를 띄운후 잡을때까지 넉백기를 한번도 안맞을 정도의 실력이 되시는데 이거 보고 못잡으신다면
그런 댓글을 다실리가 없을듯. 깨실수 있을테니까욤.

초 인벤인

Lv86 오벨릭스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