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레이드&소울 인벤 기공사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정보] 초보기공사님들을위한 포화란 탱 글.

하노니
댓글: 9 개
조회: 1473
추천: 8
2012-09-12 01:56:57

안녕하세요

 

이글을 다름이아니라

 

포화란탱을 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는분.

 

헤딩팟을 준비하고 계시는분.

 

그런분들을 위한 글이에요.

 

-----------------------------------------------------------------------------------------

 

 

목차

 

1. 포화란 기공탱의  방법

 

2. 각 패턴시 유의해야할점

 

 

 


1. 포화란 기공탱의 방법.

 

먼저 최소스펙.


( 4대인던  181 이상 최상급 무기 or 바다뱀 1~3넴  기공패 (신출귀몰) 200이상) 총 공격력 285이상. (헤딩기준)

영린 치명작 ( 명중 94 , 치명 40 이상)

거미여왕 치명보패 ( 명중 , 치명작 섞어서  명중 94이상  치명 40이상 )


둘중 어느보패를 써도 상관없지만.   영린의 경우 피통옵션  짜잘한 관통능력  .   으로 인해서  영린을 더추천해요.

 

하지만  4대인던에 사람이 별로 없는만큼  시간을 줄이고자 거미여왕 치명작을 해도 클리어에는 문제가없어요 .

 

다만 피통이 적을테니  주의해야죠.

 

 

 

포화란의 원거리패턴은 9미터 이상의  적에게 유탄을 4발날리고 >>  오호호호  난사 >> 몰아서 4발 >> 전방 그로기 난사 >> 오호호 인데

 

만약   중간 패턴에  9미터이상이 아닌 8미터 이하로 들어오면 

키스라고 불리우는 패턴을 써요 .


자기 손에 키스하고 무릎을 구부린후  점프하여  어글자의 대갈통에 난사를 하죠


이걸 잘보시고  포인트는  포화란이 무릎을 구부릴때에요

 

잘보셨다가 "무릎을 구부렸다 폈을때" ss를 눌러서 빼시고  다시 유탄 4발 패턴으로 다시 돌아가는거에요.


혹시라도  실수해서  그로기 난사를 맞았을경우  재빠르게 F 뒤구르기를 눌러주신뒤  

 

 

돌진을 하는 모션 포인트는  "포화란이 발을 뒤로 쭉뺄때"  그때 화폭을 눌러주세요  (튕겨내라는소리에요.)

 

그것마저도  실패했다면

아군 파티원이 " 끊 어 줘야 " 하는게 맞아요.

 

위패턴을 다보면서할지 .   유탄 4발 >> 오호호 >> 키스 뺴기   혹은   몰아서 4발이후  전방그로기난사  오호호 이후 뺄지

그건 본인선택이에요.


저같은 경우  그냥 유탄 4발이후 오호호  키스뺴기를 선호해요 .

 

좀더 자주빼면서  장악 ,제압 쿨타임을 낭비하지 않는 스타일이거든요

 

 

그리고 중요한건 유탄 4발을 피하면서

 

10M 를 유지하면서 돌으셔야하는거에요

 

주력딜기인 충격파와 폭열신장은 10미터안에서만 들어가니까요

 

 주력딜기를 잘 사용해야 어글을 잘먹는건 설명안해도 아시겠죠

 

 


2. 각패턴시 유의할점

 

ㄱ. 90~80만 화염지뢰.


기공사는 타클래스에 비해서 화염지뢰를 피하기가 어려워요 ( 결빙공 제외.)

왜냐? 하면

돌진기 x

ss 저항 x


하지만 충분히 피하실수있어요

자신이 없는경우

첫 화염지뢰는 결빙공으로 씹으셔도되요. (쿨 충분히 돌아옴.)


두번쨰 화염지뢰의 경우


포화란이 화염지뢰쓰러 가운데로 갔을때.


걸어서 15미터를 맞추시고.


하나.  둘 . 셋  불이 3번째 왔을때

전신보 누르시고.  반박자 쉬었다가 ss 누르시면


완벽하게 피해없이 피하실수있어요.

 

 


ㄴ.  어이없는,  나잡아봐라.


어이없는 경우가 떳을경우

기공사의 위치는   파티원 1   2   3  4


가 있을경우


2 나 3 에 있어야해요 .


어이없는은  가장 가까운 사람 혹은 가장 먼사람에게  난사이후 돌진을 합니다.


이걸 맞으면 어글이 초기화 되기때문에


탱하는 사람은 "절때로" 맞으시면 안되요.

 

 

나잡아봐라의 경우
 

보통 암살님들이 빼주실테지만 ,   60만 얼음지뢰때  본인파티의 딜 ( 평균 300이하 ) 

일경우   90만 화염지뢰 결빙공 ,  60만 얼음지뢰 결빙공 ,  40만 얼지뢰 결빙공

쿨이 충분히 돌아오지만 .


평균공 315정도만 넘어가도  중간 60만때 결빙공을 사용했을경우  40만에  쿨이 안돌아오는경우가 생겨요

고로 그냥 60만때는 암살이 레버당기고  수증기 켜졌을때 들어가신후  나한테 오는지 안오는지 확인하시는게 중요해요

 

 

ㄷ. 40만 얼음지뢰


어? 왜 맞지   아까 돌때는 안 맞았는데.


유탄 4발 말하는거에요 .


분명히  100만에서 40만까지 오는동안 유탄은  10미터를 유지하면 잘맞지도 않았을뿐더러 피하기도 쉬우셨을거에요


하지만 여기서 쏘는 유탄은


범위가 큰건지, 쏘는 속도가 빠른건지 모르겠지만.


10미터 유지하면서 그자리서 빙빙돌면 .


망해요.

 

절때로 그자리서 돌지마시고.


크게 돌으세요

 

이렇게

 

 

 

 

 

 

 

그래야 맞을 위험이 줄어들고.

 

정확히 4발이후 결빙공을 사용하신뒤  이어지는 화염지뢰를 다피하는걸 확인하고  포화란을 딜하러가시면되요.


4발을 소리로 듣던지 ,  그냥딜만하는인원 1명 ( 레버 ,호탱 ,탱 , 딜하는인원.으로 구성되어있죠 보통)  에게  몇발인지 말해달라고 하시던지 , 직접보고 하시는방법


총3가지가있어요


입맛대로 사용하시면되요.

 


그리고 호랑이.

 


다음그림을 보세요.

 

 

 

포화란 미니맵이에요

 

동그라미친  붉은 동그래미 보이시죠.


저기에 호랑이가 나와요.


가장많이 당하는 실수가

호랑이에게 넉백당해서  포탄 4발을 피하지못하고 죽는 사람들이에요 .


애꿏은 호탱을 탓하는사람도 있을거에요.


정확히말하자면,  위치 잘못잡은 기공잘못 반,    기공위치 못보고 반대편꺼부터 뛰어간 경우라면 호탱잘못 반이에요.


우리 호탱하시는분 ( 검사나 역사님 )


검사의경우 어검으로 끌어오기 때문에  이런경우가 별로없지만.


역사의 경우는 달라요


지진을사용하기위해 어느정도 다가가야 하니까요.


중요한건


역사가 어느쪽으로 뛰었는지 빠르게 확인하는거에요


호랑이는 나오면 제 1어글자를 향해 달려와요.


최대한 역사가 바로 뛰어가서 한마리는 무조건 어글을 잡을거에요


그럼 그방향으로 살짝 걸어가면서  포탄을 피할자리까지 머리속으로 그려 놓으셔야되요.


호랑이한테 넉백당했다고  포기하지마시고.


바로 뒤구르기 누르신뒤  날아오는거 보고 ss 로 거리벌리고 다시 피하는 방법도 있어요.


그러니까 중요한건,


호탱이 어느쪽으로 뛰었는지 보시고  아직 어글 안먹은 나머지호랑이가 그쪽으로 올수있도록 유도해주는 게 중요하다는거죠.

 

 

이후는 패턴 반복이에요 .

-------------------------------------------------------------------------------------------------------------------------------------------------------------

요즘 기공게시판이나 다른곳이나 


포화란 숙련 기공에 대해서 논란이 많은것 같아요.


저같은경우 친구들이랑 해왔기때문에 1~4넴 탱을 기공혼자하든, 나눠하든, 상관은 없어요. (헤딩할땐 기공이 다했지만 .. )


하지만 가끔 혼자공팟을 구해보면  기공탱 되시는분이 별로 없다고들 하셔요.

 

오늘도 부캐암살로 돌면서 기공탱 권탱 둘다 안되는 숙련팟도 봤어요.

 

결국 기공으로  하나하나 가르쳐주면서 자선사업하고왔어요 .. 

 

기공탱 어렵지 않아요.  귀찮다고 , 못하겠다고 , 사람없다고,  안하면  이것보다 더어려운 몹이 나오면 어떻게 하시려구요 ..


그래서 미숙한 글솜씨지만  최대한 이해하실수있게 써봤어요.


궁금하거나 모르는게 있으면  경국지색  "물거나해치지" 로 귓말을 주시면 최대한 친절하게 답변해드릴께요.

 

이만 글줄일게요 .


즐거운 블소되세여.

 

Lv69 하노니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