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귀챦아서 9연차 뽑는게 나을수도 있지만, "조금이라도 금카 확률을 높여보겠다!"고 한다면 이론적으로는 개별뽑기가 낫습니다.
9연뽑기라는 것은, 9번 뽑기 중에 최소 하나의 금카가 나오는 것이고,
스토퍼는, 앞의 8번 뽑기가 3성이었을 때 9번째에서는 반드시 금카가 나오는 것입니다.
이는 비슷한 것 같지만 크게 다릅니다.
o를 금카, x를 3성 카드라고 보고 18회의 뽑기를 순서대로 나열하였을 때,
예를들어 oxxxxxxxxxxxxxxxxo 와 같은 형태가, 9연뽑기 2회에서는 가능하지만 단일뽑기 18회에서는 나올 수 없습니다.(x가 연속으로 9회가 나올 수 없으므로)
계산을 편하게 하기 위해 금카가 나올 확률을 0.3(30%)라고 하겠습니다.
이 경우 단일뽑기, 9연뽑기, 스토퍼를 이용한 연속 단일 뽑기에서 금카의 기대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단일뽑기
그대로 0.3
2) 9연뽑기
0.7^9 = 0.04의 확률로 9회 모두 3성카드가 나올 확률이 무효화(금카 0장 => 1장)되므로,
0.3 + (0.04/9) = 약 0.3045
3) 스토퍼를 이용한 단일뽑기
앞의 8장이 모두 3성 카드일때, 100%의 확률로 금카가 나옮.
즉 9회차부터의 계산식은,
(앞서 8회의 뽑기가 모두 3성일 확률)+(1-(앞서 8회의 뽑기가 모두 3성일 확률))*0.3
이 됩니다.
표로 나타내면
뽑기회차 | 4~5성확률 | 3성 확률 |
1 | 0.3 | 0.7 |
2 | 0.3 | 0.7 |
3 | 0.3 | 0.7 |
4 | 0.3 | 0.7 |
5 | 0.3 | 0.7 |
6 | 0.3 | 0.7 |
7 | 0.3 | 0.7 |
8 | 0.3 | 0.7 |
9 | 0.3404 | 0.6596 |
10 | 0.3380 | 0.6620 |
11 | 0.3360 | 0.6640 |
12 | 0.3341 | 0.6659 |
13 | 0.3325 | 0.6675 |
14 | 0.3309 | 0.6691 |
15 | 0.3296 | 0.6704 |
16 | 0.3283 | 0.6717 |
17 | 0.3272 | 0.6728 |
18 | 0.3277 | 0.6723 |
19 | 0.3282 | 0.6718 |
20 | 0.3285 | 0.6715 |
21 | 0.3287 | 0.6713 |
22 | 0.3289 | 0.6711 |
23 | 0.3290 | 0.6710 |
24 | 0.3290 | 0.6710 |
25 | 0.3290 | 0.6710 |
26 | 0.3289 | 0.6711 |
27 | 0.3288 | 0.6712 |
28 | 0.3288 | 0.6712 |
이와 같이 점차 0.329에 수렴합니다.
즉,
단일뽑기 연속 시행 금카 확률(0.3288) > 9연속뽑기 금카 확률(0.3045) > 단일뽑기 개별 시행 금카 확률(0.3)
이므로,
뽑기 횟수가 많은 경우 단일뽑기를 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개별적으로 확률 조작해놓았으면 방법이 없네요.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