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 노하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일반] 개인적인 그레픽 설정 이야기

아이콘 RoyalGuard
댓글: 37 개
조회: 19949
추천: 23
2023-07-02 01:55:50




예전 WOW 그레픽 설정 참조
https://www.inven.co.kr/board/wow/17/32269

세월이 많이 지나면서 시스템과 그레픽의 설정이 많이 진보한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팀덱 같은 초 저사양 시스템을 위한 설정과 최신 CPU와 4000번대 급의 최신 그레픽카드의 설정도 있어서세팅의 상하 폭은 더 커졌습니다.

디아블로 4의 그레픽 엔진은 나름 잘만들었다고 생각됩니다.
스팀덱 같은 내장 그레픽으로도 굴러는 가고 최상급 시스템에서는 전력 소모를 줄이거나 할 수 있는 세팅이 있습니다.


1. 이미지 선명도
 - 소프트웨어적인 샤픈필터 입니다. 샤픈의 수준은 취향이라 키오바사드 북쪽 예배당 같은곳 들어가서 
   붉은 바닥 보면서 조절 하면 되는데. 그냥 기본으로 놔도 됩니다. 10이상 올리는건 권장하지 않습니다.
   DLSS나 DLAA를 걸게 되면 조금은 샤픈이 걸립니다.
   
2. HDR
 - 재대로된 세팅이라면 HDR을 켜는게 게임에서는 더 좋습니다. 색 영역이 넓어지고 밝기도 좋아집니다만
   모니터나 시스템 세팅에 따라서 데스크탑 색감이 이상해질수 있고 (HDMI 2.0 문제등)
   HDR색감 자체도 호불호가 있어서 이건 개인이 보고 이상하면 끄거나 켜면 됩니다.
   HDR을 켰다면 자신의 모니터 수준에 맞게 HDR 밝기도 설정 해야 합니다. 
   
3. 수직 동기화
 - 엄청 옜날 기술입니다. 
   게임에서 수직동기화를 켜는건 그다지 추천하지 않습니다.
   DLSS와 FPS 제한을 걸어두는걸 권장합니다. 아니면 그레픽카드 S/W 에서 제한을 거는게 좋습니다.
   
4. 동영상 FPS 제한
  - 인게임 시네마틱은 일반 상황보다 많은 이펙트를 넣으며 GPU 를 많이 사용합니다.
    제한을 풀어버리면 GPU사용량이 대폭 늘어서 프레임 드랍이 있거나 전력 사용량이 늘어납니다.
    그냥 체크 해두는걸 권장합니다.

5. 해상도 비율
 - 옜날 기술입니다.  - 권장은 100 유지
   게임 내부에서 업스케일링, 다운스케일링 후 자체적으로 보정해서 화면에 뿌려줍니다.
   100은 현재 해상도로 처리하라는 기본값이고 
   100보다 낮을경우 낮은 해상도로 처리해서 보여주는 업스케일링 이라  GPU의 부하가 줄어듭니다.
    스팀덱 급의 저사양이면 고려해볼만 하지만 NVIDIA그레픽 카드 사용자라면 상위 호환인 DLSS쓰는게 좋습니다.
100이상이면 내부적으로는 더 높은 해상도로 랜더링 해서 모니터해상도로 다운스케일 해서 보여줘서 잇점이 있는건데
대부분 그레픽카드 성능이 해상도 보다 나쁘기 때문에 FHD에 4090쓰는거 아닌 이상 할 필요 없습니다.

6. NVIDIA DLSS
 - NVIDIA 그레픽 카드만 설정 가능, 정확히는 DLSS 2의 설정을 조절 한다.
 - 딥러닝슈퍼샘플링 입니다. 위의 해상도 비율의 상위 호환이죠
   FHD는 200만 화소, QHD는 368만 화소, 4K는 800만 화소 입니다. 
   화소가 많을수록 그레픽카드에 부하가 커져서  4K급이라면 백만원 이상의 그레픽카드를 써야 재대로 게임이 됩니다. 
   그레픽 성능을 적게 쓰면서 해상도가 높은 모니터에 대응하기 위해서 낮은 해상도로 게임을 그리고 
   고도의 보정을 통해서 뻥튀기 해서 네이티브와 거의 동일한 화면을 보이도록 하는게 목적입니다.
   
   즉 DLSS를 켜면 그레픽카드의 부하가 작아져서 전기를 적게 먹거나 그레픽카드 대비 높은 해상도를 돌릴수 있게 됩니다.
   
   고성능 - 가장 낮은 해상도로 게임 랜더링. 거의 50% 정도로 낮아짐, 당연히 화질이 눈에 띄게 떨어집니다.
   성능 - 고성능보다 높은 화질로 랜더링. 무념 무상 파밍할 때, 화질 상관 없을 때 씁니다.
   균형 - 적당한 수준의 화질로 랜더링
   품질 - 약간 낮은 해상도로 랜더링. 끄는것보다 나은 경우가 있어서 끄기보다는 품질로 설정 하는것도 좋음
   DLAA - 해상도 변경후 보정이 아닌 딥러닝 안티알리아싱으로 이것을 켜면 프레임이 떨어진다.
              - 딥러닝으로 AA 보정을 해서 더 좋은 화질을 보여주며 약 8%의 프레임 하락이 있을 수 있다.
  - 최고의 화질을 보려고 할 때 켜는것, 기본적인 화면의 AA와 시간적 AA인 TAA까지 포함한다. 

7. 프레임 생성
 - 가장 최신 기술 DLSS 3의 설정 입니다.
 - NVIDIA 4000번대 그레픽 카드만 설정 가능합니다.
 - 이것을 켤 경우 프레임 제어권이 넘어가서 수직동기화 설정을 할 수 없습니다.
 - 프레임 보간 기술로서 그레픽 카드는 30프레임을 그리고 DLSS 3기술로 중간 프레임을 끼워 넣어서 60프레임으로 뻥튀기 하는 기술이다. (설명상 적어둔것으로 정확한 수치는 다를 수 있음)
 - 물론 프레임 제한에 따라서 더 높은 프레임도 가능하다.
 - 일반적으로는 낮은 사양의 그레픽카드가 높은 프레임을 내도록 할 때 쓰며 그레픽 카드가 충분히 좋을 경우 
   이걸 켜면 그레픽카드의 전력 소비가 줄어든다. 
 - 단점은 레이턴시가 늘어나며 그레픽에서 약간의 위화감을 느낄 수 있다. 뭔가 날아온다던가, 움직임이 어색 할 수 있다.
 - 본인의 경우 무념 무상 사냥 할 때는 켜두는 편이고 그레픽을 중시 할 때에는 꺼둔다. 
 
8. 포어그라운드 FPS
 - 게임이 생성하는 프레임을 제한하는 기능, 모니터가 240Hz를 지원해도 60으로 설정 하면 60프레임으로 게임이 돌아간다.

 - 무조건 모니터에 맞게 설정하는것을 권장한다. 또한 그레픽 카드가 처리가능한 수치보다 낮게 설정한다. 
 - 프레임 제한을 해야 그레픽카드가 쓸대 없이 높은 프레임을 그리다가 전기를 너무 많이 소모하는것을 막는다.
 - 또한 프레임이 출렁거리는것을 피하기 위해 시스템의 평균 프레임 보다 낮게 세팅해서 프레임이 출렁거리지 않도록 세팅하는하는 경우도 있다.
 
 
9. 백그라운드 FPS
 - 게임을 내려두거나 밖으로 나가서 웹서핑 할 때의 프레임을 설정한다.
 - 높게 하거나 8번과 같게 할 경우 전기는 많이 먹지만 게임 밖으로 나갔다 들어왔다 해도 전혀 전환 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 평소에는 1프레임으로 해서 전기를 적게 먹도록 세팅하고 자주 웹사이트를 들락날락 한다면 8번과 동일하게 세팅한다.
 
10. NVIDIA Reflex 짧은 지연시간
 - NVIDIA 그레픽카드만 설정 가능한 최신 기술입니다.
 - 프레임 생성 (DLSS 3)가 설정되어 있으면 조절 불가능합니다.
 - 위의 수직동기화의 상위 기술입니다.
 - 가능하면 8번으로 FPS 제한을 걸고 사용하는것을 추천합니다. (그레픽 카드가 여유가 있도록 FPS 세팅)
 - 이기술은 CPU와 GPU가 게임프레임을 그리는데 넉넉한 여유가 있을 때 설정해야 합니다. 
   그레픽 세팅은 60프레임으로 해두고 인게임에서는 50~70프레임으로 널뛸경우 오히려 역효과가 나서 드랍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 권장은 활성화됨 + 부스트 입니다. 게임의 지연시간을 줄여줍니다. 단. 시스템의 자원이 넉넉하지 않다면 켜지 마세요. 잘 모르겠으면 꺼놔도 상관 없습니다.
  
  
11. 게임 품질
 - 적당히 자신의 수준에 맞춰서 설정 하면 됩니다.
 - 가능하면 텍스처 퀄리티는 낮추지 않는게 좋습니다.
 - 부하가 큰건 그림자, 안개, SSAO 등이 있습니다.
 
 
- 본인의 세팅
 - 수직 동기화 끔
 - DLSS 균형 OR DLAA
 - 프레임 제한 60 OR 120
 - 프레임 생성 ON / OFF
 - 짧은 지연은 항상 ON
 
 -  무념 무상 파밍 할때에는 전기 적게 먹는 세팅으로, 재대로 할 때는 프레임 생성끄고 화질/품질 위주로 세팅 합니다.

 - 스트림덱으로 램과 CPU, GPU의 전력소모, 사용량을 체크 하고 있습니다.
 - 풀옵에 DLAA를 켜면 165W 정도, DLSS 균형으로 바꾸면 110W 정도, DLSS 3를 켜면 85W 정도 소모합니다. 
   (60프레임 기준)
 

- 전반적인 시스템 세팅

 - 고해상도 텍스쳐 기준으로 권장하는 메모리 사양은 컴퓨터 + 그레픽카드의 램이 45기가는 되어야 한다는겁니다.
   본인 기준 디아 4 하다보면 최대 PC는 23기가 GPU메모리는 22기가 정도 먹는게 확인 됩니다.
   던전 솔플 하면 18/18 정도 먹고. 필드에서 여러사람과 어울리면 최대 22+22 정도는 쓰는게 확인 되었습니다.
 - PC의 메모리는 32기가를 권장합니다. 더 높아도 좋고요. 그레픽카드의 램을 늘이는건 안되니까 PC라도 좋아야죠
 - 가상메모리 끄는 트윅 같은거 했다면 풀고 가상메모리는 자동으로 두세요.  쌍팔년도 트윅을 23년에 적용하면 안됩니다.
 - 당연히 빠른 스토리지가 있으면 좋습니다. 로딩이 매우 자주 발생하는 게임입니다.
 
 
 

Lv86 RoyalGuard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디아4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