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널판타지14 소환사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공략] 4.4 소환사의 기본과 FAQ

아이콘 샬님
댓글: 15 개
조회: 17325
추천: 34
2019-03-22 03:34:44

목차 (최종수정 2019-03-22)

1. 소환사 스킬
1.1. 에테르 순환
1.2. 트라이디재스터
1.3. 바하무트 빙의
1.4. 데스플레어
1.5. 바하무트 소환
1.6. 비룡파/아크몬

2. 에기 스킬
2.1. 각성
2.2. 에기의 가호

3. 오프닝 후에는 어떻게?

4. 추천 매크로

5. FAQ 




안녕하세요, 글로벌 서버에서 활동하고 있는 Lou Sharl 루샬입니다.
이전의 알파 영식 팁글에 이어 대략적인 스킬 설명과 질문들을 모아 와봤습니다.
아래 가이드는 70레벨 소환사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최대한 풀어쓰려고 했습니다만, 이해 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1. 소환사 스킬


1.1. 에테르 순환

 (최대한 쿨타임이 놀지 않도록 주의!)

에테르 순환을 쓰면 소환사에게 에테르 3스택이 쌓입니다. 스택을 이용해 다음 스킬 4가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통의 불길 
위력 180의 광역기입니다. 단일대상으로는 오프닝 외에 쓸일이 없지만, 타겟이 2개 이상일때 미아즈마 버스트 데미지를 능가합니다. 몰이사냥에서 주로 쓰입니다.

-미아즈마 버스트 
시전 대상에 도트 2개를 바른 후, 사용해야 되는 스킬입니다. 도트 1개만 남아있을시 사용하게 되면 데미지가 반토막 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몰이 사냥이 아니라면 대부분의 에테르 스택은 버스트로 사용됩니다.

-생명력 흡수 
HP, MP를 회복하는 스킬입니다. 안씁니다. 쓰지마세요. 그나마 쓰는 경우라면 보스가 죽기직전 빠르게 빙의를 해야 할때 빼곤 쓰지 않습니다.

-전염 
시전 대상에게 도트 2개를 바른 후, 약 1.5초뒤에 누르면 주위 개체들에게 도트가 전염됩니다. 바로 누르면 적용이 안됩니다. 몰이 사냥에서 주로 쓰입니다.




1.2. 트라이디재스터



논글쿨기로 바이오가, 미아즈가 도트를 한번에 바릅니다. 바하무트 빙의시 쿨타임이 초기화 됩니다.


1.3. 바하무트 빙의



에테르 스택 3개를 다 쓰면 사용할수 있는 기술입니다. 빙의 중에는 루인가가 즉발로 사용됩니다. 또한 빙의 중 소환사의 데미지가 10% 증가합니다. 데스플레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4. 데스플레어



빙의를 마무리하는 기술입니다. 위력 400의 광역기이며, 2번째 대상부터는 위력이 줄어듭니다. 바하무트 빙의가 끊기기 전에 무조건 써주시면 됩니다. 데스플레어 사용시 바하무트 빙의가 강제로 종료됩니다.

1.5. 데미바하무트 소환



바하무트 빙의 2번(에테르스택 6개)를 사용하고 나면 소환할 수 있습니다. 소환사가 이동하면 바하무트도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최대한 말뚝딜 하는것이 좋습니다.

1.6. 비룡파

비룡파는 데미바하무트의 평타로 따로 스킬아이콘이 있지 않습니다. 바하무트의 평타 스윙은 소환사의 스윙 수에 비례합니다. 내가 한대치면 바하무트도 평타 한대치는 식. 따라서 바하 소환 중에 최대한 많이 스킬을 욱여 넣어 보다 많은 비룡파를 쏘게 해야합니다.




2. 에기 스킬


2.1. 각성



에기가 시전하는 딜이 40% 증가합니다. 에기의 점화와 함께 쓰면 좋습니다.

2.2. 점화



에기의 궁극기 입니다. 각성과 함께 쓰되, 최대한 바로바로 쿨을 돌리는 것이 좋습니다. 쿨을 빨리 순환시키면서 루인쟈로 인한 프록 쿨타임 감소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각성이 15초 정도 쿨이면 이때는 점화를 아꼈다가 함께 쓰는 것이 좋습니다.

2.3. 에기의 가호



에기 제외 주변 파티원들에게 딜 2%증가 힐 5%증가 버프를 부여합니다. 에기와 멀리 떨어져 있다면 버프를 받지 못합니다. 따라서 가루다 에기를 쓴다면 가호를 쓰기 전 주차에 신경써야 합니다.



3. 오프닝 후에는 어떻게?

간단하게 이것만 반복하면 됩니다.

바하무트 소환→바하무트 빙의#1→에테르 순환+에테르3스택 소모→바하무트 빙의#2

끝나면 처음으로 돌아가 바하무트 소환을 하면됩니다. 이걸 보스가 죽을 때 까지 무한 반복!


① 바하무트 소환


최대한 많은 스킬을 넣어야 합니다. 11번의 비룡파와 2번의 아크몬이 들어가는게 제일 이상적입니다.


② 루인가 타임


바하무트 후에, 트라이디재스터로 도트리필을 이미 했기 때문에, 도트리필을 더 하지 않습니다. 루인라와 함께 논글쿨기를 섞어줍니다. 그 후에 남는 구간은 루인가로 떼워줍니다.


③ 바하무트 빙의#1


에테르 순환이 17초가 될때까지 루인가로 떼우다가 바하무트 빙의를 시전합니다. 기믹에 따라 더 일찍 빙의 할 수도 있지만 에테르 스택이 돌아 왔을때, 버스트 3번을 위한 도트 2개의 충분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④ 에테르순환+바하무트 빙의#2



⑤ 루인가 타임



4. 추천 매크로

도움이 되는 매크로 몇 개 없을까요? 여기 있습니다. 제일 많이 쓰이는 3가지 입니다.

4.1. 음유 마나이동
/micon "마나 이동"
/ac "마나 이동" <8>
/macroerror off

딜 증가 버프인 마인을 조금이라도 더 늘리기 위해, 마나를 음유시인에게 던져주는 매크로입니다. <8>은 파티원 목록상 8번째 파티원을 의미합니다. 음유시인이 6번째 파티원이라면 <6>으로 고쳐 쓰면 됩니다.


4.2. 구원
/micon "구원"
/ac "구원" <mo>
/macroerror off

마우스 오버 매크로입니다. 굳이 파티원을 클릭하지 않고 파티원 목록의 대상자 닉네임에 커서만 올려두고, 시전하면 구원이 들어갑니다.


4.3. 섀도우 플레어
/micon "섀도우 플레어"
/ac "섀도우 플레어" <t>
/ac "섀도우 플레어" <t>
/ac "섀도우 플레어" <t>
/ac "섀도우 플레어" <t>
/ac "섀도우 플레어" <t>
/ac "섀도우 플레어" <t>
/macroerror off 

마우스로 장판 지정을 하지 않아도 대상자 바로 밑에 깔리는 매크로입니다.
왜 같은 줄을 여러번 쓰나요? -이렇게 써도 매크로가 씹혀서요ㅠㅠ


5. FAQ

Q1. 이프리트vs가루다
A. rdps를 생각한다면, 가루다입니다.

• 가루다 
- 장점: 악화 (마법데미지 10%증가)
- 단점: 이프리트에 비해 스킬 위력이 낮음, 주차를 신경써야 됨-가호 때문

• 이프리트
- 장점: 광휘의 방패 (물리데미지 2%증가), 스킬 위력이 높음, 주차 신경 안써도 됨
- 단점: 악화에 비해 rdps 기댓값이 낮음.

글로벌 서버 fflogs 10위권내 사람들을 보면 간간히 이프리트도 있습니다. 극직망겜.
저는 트라이 동안은 이프리트를 썼고, 기믹에 익숙해진 뒤에는 가루다를 썼습니다.


Q2. 데미 바하무트가 영향 받는 버프는 무엇인가요? 각성이나 용눈 영향을 받나요?
A.
-영향 받는 것: 음유시인의 극대화율 증가 버프, 점성술사의 카드, 영약
-영향 받지 않는 것: 각성, 용의 눈, 전투 기도, 전장의 함성

속임수 공격이나 악화 같은 보스에게 적용되는 기술은 당연히 시너지를 받습니다.


Q3. 바하무트 소환 전 각성을 써야할까요?
A. 빠른 바하소환 사이클을 쓸 경우 각성을 전부 다 쓰지 못하는게 일반적입니다. 소환전 각성을 써서 쿨타임을 빠르게 돌리는 것, 아꼈다가 바하소환 사이클을 다 끝내고 사용하는 것. 둘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됩니다. 느린 바하소환 사이클도 있지만, 시너지 타이밍 상 비추천합니다.


Q4. 에기가 말을 안들어요 or 마음대로 악화를 시전해요
A. 학자처럼 에기 먹는 기술이 생긴다면 좀 말을 잘 들으려나요.
단축바에 지시전투, 자동전투, 추종을 꺼내 놓으세요. 에기가 공격했으면 하는 대상에 지시전투or자유전투를 누르면 됩니다. 지시전투로 해놓으면 직접 기술을 누르기 전까지 평타 외의 스킬들을 쓰지 않습니다.


Q5. HUD랑 키셋팅 알려주세요
A. 잘 안쓰는 기술(에기 것)은 오른쪽에 두고 마우스로 클릭하는 편입니다. 지시전투 shift+space 자동전투 ctrl+space 이거 정말 편합니다. 강추!




Q6. 바하무트 빙의 중에 점화를 쓰는게 좋지 않나요?
A. 아뇨. 빙의는 에기의 딜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가호도 마찬가지 입니다.


Lv14 샬님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15)

새로고침
  • 웜로커스트19-03-22 14:26
    신고|공감 확인
    소환사를 누구에게 배웠냐 물으면 츄롤이는 거르고 루샬으루보았다고 하여라...
    답글
    비공감0공감0
  • 샬님19-03-22 18:49
    신고|공감 확인
     
    답글
    비공감0공감0
  • 샬님19-03-22 14:51
    신고|공감 확인
    오프너는 따로 서술 하지 않았습니다. 츄롤스^^님께서 자세히 정리해주신 글이 있습니다. http://www.inven.co.kr/board/ff14/4477/2610
    제가 추천하는 가루다 오프너는 이프리트->가루다 스왑을 의미합니다. 글의 가루다 항목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라일랏19-03-22 18:33
    신고|공감 확인
    츄롤스님과 샬님 덕분에 애기 솬사는 매우 행복한 것이에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뚱쿠뽀19-03-25 06:46
    신고|공감 확인
    상추
    답글
    비공감0공감0
  • 인간타이머19-03-29 01:57
    신고|공감 확인
    안녕하세요 지금까지 소환사 하면서 이 글을 보고 새삼 아주 잘못 운용했다 싶은 부분이 있어 덧글 남깁니다. 지금까지 오프너 이후 에테르 순환 쿨이 돌아오면 바로 미아즈마 버스트로 에테르를 털고, 바하에테가 3칸이 차면 바로 빙의해 루인가6데플을 쓰고, 두번째 순환을 기다리고...하는 방식으로 운용했는데 3번4번을 참고하면 이런방식이 아니라 바하 에테르를 3칸 채워둔채 다음 에테르 순환이 17초까지 기다린려 오프너처럼 운용한다. 이게 맞는 기본 운용 방식이다 인데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솔트카라멜19-03-29 08:38
    신고|공감 확인
    글쓴이는 아니지만 상황에 따라 조금 유동적일 것 같습니다. 도트 시간이 넉넉하다면 에테르 쿨이 17초까지 기다렸다가 빙의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고, 도트가 거의 끝나가는데 에테르가 있다면 에테르를 빨리 털고 빙의해서 트디로 도트 리필 / 에테르 3스택을 쌓았는데 도트가 끝나간다면 에테르 쿨이 17초보다 조금 더 남았어도 빙의해서 트디로 리필하는 식으로 운용하는 편입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인간타이머19-03-29 14:49
    신고|공감 확인
    굳이 고수하기보다는 도트가 충분하다면 한번에 몰아쓰는게 더 딜기대치가 높단 뜻이군요. 기억해두고 한번 다음 운용때 신경써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샬님19-03-31 11:45
    신고|공감 확인
    추가적으로 답변을 남깁니다. 바하 에테르를 3칸 채워둔채 17초까지 기다리는 것은 1빙의 전 구간. 도트 갱신을 하러 바로 빙의를 하는 것은 2빙의 전 구간입니다. 둘을 혼동하신 것 같습니다.

    본문에서도 나와있지만 기믹에 따라 더 빠르게 빙의해도 되지만, 버스트를 욱여 넣을 도트시간만 유지하면 됩니다. '적어도 에테르 쿨이 17초가 남았을 때는 빙의해야 된다'는 흐름으로 받아들이면 될 것 같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 솔트카라멜19-03-29 08:41
    신고|공감 확인
    팁글은추천
    답글
    비공감0공감0
  • 여신소연19-03-30 22:19
    신고|공감 확인
    역시 샬님! 최고!
    답글
    비공감0공감0
  • S6oo19-05-10 13:53
    신고|공감 확인
    회딱시절부터 두달가까이 수십번 보면서 음미하고 이제 막 보딱 되었네요. 볼때마다 깨닫는게 있어 공부하듯이 계속 따라하고 여전히 궁금한것들이 있어 드디어 질문을 남깁니다.
    1 바하빙의를 굳이 에테르 17초 남기고 할 이유가 있는건가요? 앞에쓰고 루인가 한참 박으나 뒤에쓰고 루인가 한참 박으나 어떤 차이인지 궁금합니다. 루인가 박다가 기믹따라 무빙이 필요하면 빙의해서 활용하는게 베스트이고 그 다음 차선이 17초 남기고 진입하는건지요?

    2. 소환시에 루인라 이후 글쿨을 두개 넣으면 안되는건가요?
    두번째 아크몬을 빠르게(씹힐까봐) 쓰고 도트가 끝나는경우에 루인라-아크몬-트디 이렇게 박을때가 자주 나오는데 비효율적인지요.

    3. 3에서 4로 이어지는 빙의-소환 사이클에서
    빙의직후에 트디를 털면 에테르 순환 이후에 소모 없이 그대로 3과 4 사이에서 3스택 유지하다가 트디 20초가 남으면 소환해서 4번 소환 사이클로 가는건가요?

    4. 악화 직후에 소환이 이루어지면
    2버스트 1아크몬은 안정적으로 들어가는데 정교전에 악화가 끝나는게 아쉬워서 악화 전에 정교를 넣고있어요. 정교를 1번의 사이클처럼 소환 후반부쪽에 넣는 이유가 있나요? 루인라-루인라 타임 사이에 정교를 넣지 않는 이유가 궁금해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샬님19-05-20 00:11
    신고|공감 확인
    헉 그렇게나 열심히 봐주셨다니 정말 뿌듯합니다 :) 제가 다 감사하네요!

    1. 네 맞습니다. 굳이굳이 17초인 이유는 바하무트 빙의가 16초 지속이라 에테르 쿨 17초에 빙의라는 결과물이 나온것 입니다. 

    2. 바하소환에서 아크몬을 사용하면, 아크몬 애니메이션이라는 시간이 비게 됩니다. 바하무트가 아크몬을 시전하기 위해 꾸물딱 거리는 모션인데요, 이 애니메이션 시간동안 사용한 논글쿨기는 판정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두번째 아크몬도 마찬가지입니다. 루인라-아크몬-트디 이렇게 쓰면 트디는 판정에 들어가지 않아요.

    3. 네 정확합니다

    4. 2번의 답변과 동일합니다. 아크몬 애니메이션이라는 동작때문에 아크몬을 사용한 후 2글쿨 동안은 논글쿨기가 판정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크몬 애니메이션 제외한 시간에 버스트, 트디를 넣고 정신교란을 후반부에 쓰는 것입니다. 도트 시간이 넉넉하다면 정교와 트디 순서를 바꿔도 괜찮아요.
    답글
    비공감0공감0
  • S6oo19-06-02 13:55
    신고|공감 확인
    감사합니다. 이제는 전층은 아니지만 400무기들고 주딱을 간간히 찍고있어요! 또 보완할게 있나 싶어 글을 보러 왔습니다 ㅎㅎ

    요새 고민인게 죽거나 기믹에따라서 트디 타임이 에매해질 때 인데요, 예를들면 트디가 15초정도 남았는데 도트가 다 끝나버리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런경우 도트리필을 안하자니 에테르를 미아즈마 버스트로 못털어서 에테르 순환 쿨이 밀리는 경우도 있고, 또 리필을 하자니 리필하고 에테르 스택 다 털고나면 트디가 5초정도 남아서 기다렸다가 트디쓰고 빙의하면 또 트디 쿨이 그대로 남고...그런데 트디쓰기전에 걸어둔 도트는 15~ 20초가량이나 남아있어 바로 트디걸자니 도트낭비인데 안걸면 에테르스택이...으억

    글로적자니 복잡한데 분명 소환사분들이라면 다 겪어봤을 상황인 것 같아요 ㅋㅋㅋ 이런 경우에도 연구된 바가 있을까요?? 기억나는걸론 2층/4층 전반 남녀나뉘고부터 사이클 약간 꼬임/극주작 정도였던 것 같아요. 후반처럼 내내 팰 수 없는 보스들인 경우에 저런 일이 발생하더라구요!

    츄롤님과 샬님 두 분 덕분에 재밌고 자신있게 소환사 꺼내서 플레이 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답글
    비공감0공감0
  • 샬님19-06-03 01:07
    신고|공감 확인
    뭔가 너무 공감가는 상황이라 웃기네요ㅋㅋㅋ 연구된 건 잘 모르겠고... 개인적인 의견이라면, 어쩔수 없는 상황에서는 도트리필을 하고 에테르쿨을 관리하는게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쿨이 놀고있는 트디는 시너지에 맞춰서 도트를 덮어 갱신할 수도 있습니다. 빙의와 트디를 무조건 함께 써야한다는 압박감을 버리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알파 파밍을 마친게 작년 12월이라 잘 기억은 나지 않는데, 기억나는게 4층 후반 2 아카이브올 때 비슷한 상황이 생겼던거 같네요. 전체적인 트디 사이클을 한번 체크해보는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답글
    비공감0공감0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파판14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