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기타] 총카이가 불만인건 회피가 아니다

아이콘 으아아아으앙
댓글: 17 개
조회: 2211
추천: 67
2016-08-24 20:42:00

2016년 8월 말, 총카이의 구르기 평캔이 패치되었다.

[해당 패치내용]

- '크로스건 카이'가 일반 공격을 이용하여 회피를 비정상적으로 빨리 사용하는 현상을 수정합니다.

- '크로스건 카이'가 회피 후 다시 회피를 사용할 수 있는 타이밍이 약간 빨라졌습니다. (참고로 안빨라짐)


이 글은 현재 총카이가 이런 패치로 발목이 잘렸다니, 고인이 됬다느니, 개 쓰레기 똥캐가 됬다느니 
어쩌니 저쩌니 이야기가 참 많은 가운데 이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풀기위한 글이다.


1. 카이가 어떤 캐릭인데?

총카이의 캐릭특성에 대해 상당히 잘못된 인식이 생각보다 많이 있다. 이는 회피 하향 패치 이전의 내용이다.

컨트롤이 더럽게 쉬운 캐릭이다 / 노기용 캐릭이다 / 개꿀 캐릭이다 / 딜 최강자다 / 개 씹날먹 캐릭터다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몇가지는 카이 유저 내부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며, 
몇가지는 전혀 근거없는 낭설이기도, 또한 몇가지는 전혀 반박할 여지가 없는 사실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컨트롤이 더럽게 쉬운 캐릭이다' 의 경우 여러 반발이 있는데
근거리 캐릭터가 보스의 패턴을 대응하고 회피/가드 및 무빙으로 회피 하는 반면 
총카이는 그런거 신경 안쓰고 멀리서 총이나 쏴갈긴다는 인식을 가진 유저들이 많다.

그러나 몇몇 고급 컨트롤 실력을 가진 총카이 유저들의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모든스킬을 사용하되, 쿨타임의 낭비가 없어야 하고, SP를 최대한 많이 모으고 많이 소모해서 스킬을 쏟아붓는 것이 
최적의 딜방식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항상 SP 보유량과 쿨타임 진행현황을 확인해야 해서 (당연히 회피도 한다;;)
다른 캐릭터 유저 만큼이나 눈과 손이 많이 가는 캐릭터이기도 하다.


'노기용 캐릭이다' 라는 의견의 경우 구르기 하향 전 기준으로 부정할 수 없는 의견이기도 한데.
패치 전에는 구르기와 평타캔슬을 이용한 무한 콩구르기(?) 로 인해 기동성은 전캐릭 통틀어 최상위권에 올랐으며,
이때문에 발걸음 어빌리티가 필요없이 맵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이야기가 많이 나왔기 때문이다.
(물론 초장거리로 봤을때는 스태미너 필요없는 허크나, 초단거리를 봤을때 방패질주의 피오나가 더 빠르기도 하다.)


'개 씹날먹 캐릭이다' 라는 의견 또한 총카이의 무한 콩구르기로 인해 선/후딜이 거의 없는 회피로 
보스 몬스터의 다단히트를 피할수 있다는 이유, 그리고 원거리 캐릭이라는 이유로 많이 나왔던 의견이다.


여러가지로 오밸논란이 있었던 총카이지만, 현재 구르기 하향으로 인해 많은 유저가 등을 돌리고 있는데
롤백 혹은 보완패치를 주장 할 시 '원캐 주제에 뭘 또 날로 쳐먹을려고 그러냐' 라는 의견을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해 이 글을 작성한다.


2. 카이 재미도 없잖아?




이 그림은 카이를 플레이하는 유저라면 누구든지 이해할 수 있는 그림이다.
모른다면 당신은 카이를 덜 파본 유저이거나 혹은 노기로만 카이를 대충 키워보려는 유저다.

이 그림은 활카이, 그리고 총카이의 일부 딜방식인 피어싱/거스팅 볼트에 해당하는 그림으로써,
카이 캐릭터의 딜 최우선 순위 '헤드샷' 을 위해서는 너무 원거리도, 너무 근거리도 좋지 않다는 뜻을 담고있다.

너무 멀리가면 사거리가 닿지 않음은 물론이요, 원거리 패턴발생으로 민폐를 끼칠 수 있으며,
너무 근거리의 경우 헤드샷 각이 나오지도 않고, 밑의 그림처럼 가려서 제대로 보이지도 않고 근거리 공격에 취약해진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위 그림의 초록색 부분, 즉 카이의 컨트롤 요소 '거리유지'의 중요성은 꽤 중요한 사안이다.

활카이를 생각한다면 대부분의 유저들이 공감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활카이 헤드샷의 중요성은 두말하면 잔소리, 세말하면 개소리인지라 헤드샷을 위해 적절히 떨어져 있어야 하며
회피 또한 썩 성능이 좋지 않기 때문에 근거리에서 딜을 하기도 어려운 캐릭터다.

총카이도 헤드샷이 중요하지만 활카이에 비하면 중요도가 떨어지고, 
회피성능이 매우 우수하므로 너프 하는데 있어서 별 이견이 없었다.

그러나 밑의 그림까지 섞어서 설명을 하면 얘기가 좀 길어진다.



총카이라면 이해할 수 있는 그림. 몬스터에게서 멀어지면 평타와 피어싱/거스팅 사용에 최적이지만
너무 멀리 떨어지게 되면 할로우 샷과 블릿6의 명중률이 절반 혹은 근처에도 못가게 된다.
인핸스 볼트를 사용 중인데 가까이 다가갈 수 없다면 정말 답이 안나온다.

즉 활카이는 숏보우 SP수급을 위해 단거리, 애로우 스톰을 위해 중거리, 헤드샷을 위해 중/원거리를 선택해야 한다면
총카이는 할로우와 블릿6를 위해 단거리, 헤드샷을 위해 중/원거리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탭비로 설명을 해보자면... 안심하고 레이즈를 쏘기 위해 원거리, 불마법 계열 명중을 위해 근거리를 고른다고 할까?
그래서인지 탭비가 플라잉 스패로우로 재빨리 왔다갔다 후 바로 앰버로 막는 모습이 종종 보인다.(비유가 맞나..?)


활이나 총이나 이렇게 여러 위치를 조절하는 포지셔닝은 여태까지 중요해 왔으며, 몇몇 유저들은 논문을 쓰기도 했다.
이렇게 해야만 조금 더 강한 카이, 조금 더 재밌는 카이가 되기 때문.

말이 나와서 말이지 카이가 재미 없다고 한 유저중에 이렇게 거리조절을 하는 유저는 본 적이 없으며

죄다 멀리서 좌클릭으로 화살/총알 쏴갈길줄만 알지 무빙이고 X랄이고 그냥 안해봤을 것이 눈에 훤하다.

실제 킹무기 든 카이 중에서도 그런유저를 본 적이 아주 많은데, 카이가 본캐가 아닌사람들은 오죽할까.
(개편이 12월인데 왜 아직까지 숏보우만 쏘고있냐고...)


3. 그래서 어쩌라고?

카이가 제대로 된 딜을 위해서는 거리 조절이 원활해야 한다는 것이 결론.

이때문에 활카이의 경우 최대한 보스몬스터와 캐릭사이를 오묘하게 조절하고
보스몬스터를 캐릭 시야에 들어오게 하는 무빙법이 유행
(이동기가 없으니까 최대한 이동 노선을 짧게 구상해야 한다.)

비교적 근거리여야 했던 총카이는 콩구르기로 보스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무빙법이 유행했다.
(무한 콩구르기의 좋은 기동성)

문제점이 이것이다.


1. 총카이의 회피가 사기인 건 맞다. 무한 콩벌레로 보스의 몇단을 때리던 웃으며 죄다 피한다.
오밸인건 누구도 부정하지 않으며 하향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번 하향으로 인해 더이상 총카이는 무한 콩구르기를 할 수 없다.
회피는 이제서야 사기급에서 평균적인 수치로 내려온 것이다. 그러나 상관없다. 그래도 결사대마저 클리어 가능하다.


2. 다만 총카이는 이 구르기로 딜의 중요 요소인 거리유지 무빙을 하고 다녔었다.

중/근거리 위치조절에 족쇄가 걸려버렸다는 뜻
이번 총카이 회피 하향 시, 카이의 중요 딜 요소인 '거리조절'을 위해 대체제를 줬어야 한다.

이에 대해 카이 유저들이 주장하는 것은 대표적으로

: 밴드서포트의 이동속도의 증가량/증가 시간을 늘려주기
: 회피 자체의 '거리'를 늘리기 
: 회피 사이의 타이밍을 더 줄이기
: 혹은 스핀스매시의 발동 시간을 짧게 해주기

등등이다.


그러나 이것을 주장하기에는 아직도 잘못된 인식이 너무나도 많기 때문에 일부 카이들은 의견을 펴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을 읽고 그러한 잘못된 인식을 조금이나마 고쳐지기를 바란다.




마지막으로 총카이 회피 너프에 대해 짜증을 내는 카이유저들에게 묻는다.

당신이 원하는것은 개씹날먹 회피인가, 혹은 재미있는 플레이를 위한 기동성인가?


-----------------------------------------------------------

필력 많이 후달립니다. 총카이 고수도 아닙니다. 제가 쓴 글이 개소리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토게에 쓸까 하다가 여기에 씁니다.

총카이 신컨분들 많이 나타나시는거(?) 알고 있습니다.

논란이 될만한 요소나 잘못된 내용은 쪽지나 댓글 달아주세요

바로 수정 혹은 글삭조치 하겠습니다

그리고 쭈글...












Lv87 으아아아으앙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마영전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