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품 포장 박스의
좌측면을 살펴 보겠습니다.
좌측면에는 후면과 동일하게 각종 나라 언어로 스펙 설명이
나와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한국어로 변역된
스펙 설명이 적혀있습니다.

제품 포장 박스의 우측을 살펴보겠습니다.

듀얼 12V 출력이
가능하고 각종 출력 전압이 나와있습니다.

제품의 각종 커넥터 개수가 나와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각나라의 대표 기술지원 전화번호와 이메일이 나와있습니다.

제품 포장 박스의 하단 부분을 살펴 보겠습니다.

하단 박스에는 각종 인증 마크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KC 마크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KC마크란 영어로korea certification 번역을 하면
자율안적환인 마크라
고 생각 하시면 되고
자율안전확인대상공산품의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가 출고 또는 통관 전에 공
산품의 모델별로 지정된 시험·검사기관으로부터
안전성에 대한 시험·검사를 받아 공산품의 안전기준에 적합한 것임을 스스로
확인한 후 이를
안전인증기관에 신고하는 제도 입니다.

하단에는 시리얼 바코드가 부착 되어 있습니다.
<제품
구성품>


구성품을 살펴보겠습니다. 파워본체,4개의 조립나사,전원케이블을 제공 합니다.


파워는 2개의 완충 박스로 감싸져 있어 파워 본체를 보호 하고 있습니다.
포장 상태를 보시면 신경을
많이 쓴것으로 보이고 배송시 제품을 안전하
게보호
할 수
있을듯
합니다.

나머지 구성품 입니다. 보증서와 설명서 입니다.
설명서를 살펴보시면 한국어로 번역된 설명을 볼수 있습니다.
<제품 외부>



120mm팬 장착 과
팬그릴이
장착 되어있습니다.

파워의 후면 부분 입니다. 후면에는 통풍구와 전원스위치,전원케이블 연결 단
자가
있습니다.

전원스위치와 케이블 연결 단자 부분입니다.
전원스위치는 ON/OFF가 가능하고 케이블 연결 단자는 220V를 사용하고 있
습니다.

통풍구 모습입니다. 통풍구는 열이 빠져나가는 부분이고 디자인은 벌집형으로
처리되어있습니다.



파워에서 케이블이 나오는 부분입니다.
상당히 정리가 잘되 있는걸 알수 있습니다.

파워 옆면을 살펴보겠습니다.

옆면에는 제품 스펙표와 각종 인증마크 경고문이 부착되어있습니다.
스펙에서는 듀얼 12V 출력은 456W까지 출력이 가능합니다.
<패키지 케이블 >

각종 케이블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FDD케이블을 제외한 모든 케이블은 18AWG 를 사용합니다.
AWG란 무엇인지 살펴 보겠습니다.
AWG : (American wire gauge) 미국 전선 규격
AWG는 미국이나 그밖의 지역에서 구리, 알루미늄 및 기타 전선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전선의 지름 11.680 mm를 AWG
0으로 0.127 mm를 AWG 36으로 하고 그사이를 39 단계로 나눈 번호 체계이다.
구리선은 대계 AWG 18 에서 AWG 26 사이의 굵기를 가지며 AWG에서는 숫자가 크면,전선은 오히러 더 가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름이 더 가는 전선은 동일한 거리에서 굵은 전선이 전송할 수 있는 량 만큼의 전류를 전송하지
못한다.

메인 24PIN 케이블
입니다. 이중에서 4PIN 은 분리가 가능하고 구형
20PIN 사용하는 메인보드에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본제품은 CPU 24PIN 만 슬리빙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4+4 CPU 보조전원 케이블 입니다. 이것도 메인 케이블과 동일한 방식으로
4PIN으로 분리가
4PIN 만 이용하는 메인보드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PCI-E 케이블 입니다. 그래픽카드에 사용되며 6+2PIN 케이블 과 6PIN 케이블 각
1개씩
제공합니다.

IDE 4PIN 케이블 3개를 지원 합니다.
예전 보다는 잘 안쓰지만 팬 컨트롤러,카드리더기등 에 전원 공급을 위해 사용
됩니다.

SATA
케이블 입니다. 4개를 제공합니다. HDD 또는 SSD에 전원을 공급 하는
역활을
합니다.

FDD 전원 케이블 1개를 지원하고 요즘은 안쓴다고 보시면 될꺼 같습니다.

전체적인 파워 서플라이의 내부 모습입니다.

YateLoon D12SH-12 120mm쿨링팬 탑재하였습니다.
내부 회로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식혀줍니다.

내부 캐패시터 부분입니다.
파워에서 중요하다고 볼수있는 캐패시터 입니다.
대만의 TEAPO사의 420V 270uF를 사용하고 85'C까지 견딜수 있습니다.


나머지 각종 캐패시터 부분입니다.
다른 제품에서도 인증을 받은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내부 회로 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 시키기 위해 2개의 대형 알루미늄 방열판
을 탑재 했습니다.

써멀 매니저 입니다.
저전압 팬 컨트롤러로 최적의 온도와 소음을 관리하는 부분입니다.

Active PFC입니다.
Active PFC를 장착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여주고 전자파등을 감소기키는
역활을 합니다.

접지 부분입니다.
파워 내부의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접지가 되어있습니다.

EMI필터 입니다.
EMI필터 는 입력라인의 잡음이 파워서플라이 내부 부품 손상을 방지, 외부 기
기 보호 하고 가청대역 이상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해 줍니다.
<제품 장착 및 조립>


케이스에 장착한
모습입니다.


조립후 뒤면의
모습입니다.
필요한 케이블만 장착이
되어 있어 조립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습니다.
선정리는 조립하는분들마다 다르기때문에 참고만 해주셨으면 합니다.
<벤치마크 >
[테스트 사양]
CPU:인텔 코어i5-3세대 3570K 3.5
Mainboard:BIOSTAR TZ77B
RAM:삼성 DDR3 4X2 (12800) DDR3 1X2(10600)
VGA:HD7870 (1150/1600)
HDD/SSD:Seagate 500GB Barracuda 7200.12 ST3500418AS
SATA2/7200+1TB+Plextor M5 PRO 128GB
Case:190mm
RTX case K4 "Mohican"
Cooler: 잘만 CNPS10X

전문 장비가 없는 관계로 OCCT 4.4.0으로 전압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다소
확실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15분간 OCCT 과부화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3.3V, +5V, +12V 모든 전압에서 많은 변동이 없고 안정적인 모습을 볼수있습
니다.
다시한번 측정기로 테스트 하지 않아 정확하지 않을수도 있으니 참고만 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총평 >
전세계가 인정하고 안정성 있는 안텍의 파워서플라이
Antec VP500P
V2 A-PFC 88퍼센트 파워서플라이 제품을
살펴 보았습니다.
80PLUS 무인증 제품이지만 동급 와트를 사용하는 파워서플라이 중에서 최대
효율
88% 를 자랑
하고 안전회로 설계로
동급 최고 안전성을 높인점 과
총5년보증,하스웰 완벽지원,저소음
쿨링 시스템,대기전력 1W
미만 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몇가지 아쉬운 점이
있었습니다.
파워서플라이의
케이블이 짧은편 과
SATA 케이블 개수가 작다는점,
PCI-E
케이블 단자가 6+2PIN
1개 제공
케이블타이/벨크로타이 미제공,케이블 슬리빙 일부처리가 조금 아쉬운 점이지
만 안전성만을
생각 한다면 추천해주고
싶은 제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