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드웨어
리뷰 사냥꾼 추억에살아입니다.
이번 리뷰에서는
MANLI 지포스 GTX 750 Ti Black Knight D5 2GB를 살펴보겠습니다. 현재 10만원 초, 중반대에서 지포스의 경우 750
및 750 Ti를 많이 선택하고 있으며 저전력과 가성비라는 두가지의 무기를 가지고 있는 그래픽카드입니다. 현재 MANLI GTX 750 Ti의
경우 최저가 15만원대에 형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가격적인 부분도 상당히 괜찮아 보이며 750에 비해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제
게임에서도 성능이 기대가 됩니다. 지금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MANLI 지포스 GTX750 Ti Black Knight D5 2GB
패키지 구성
제품 상자는 MANLI 제품에서 볼 수 있는 스포츠카 디자인으로
깔끔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엔비디아 지포스의 전형적인 색상인 녹색과 검정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웨이코스에서 3년 무상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상자 뒤쪽에는 제품의 간단한 특징 및 아래쪽에 각 나라별 언어로
제품의 구성품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포장 상태입니다. 에어캡 재질의 포장 비닐로 제품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구성품으로는 제품 설명서, 드라이버 CD, DVI 젠더 및
HDMI-mini HDMI 변환 젠더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래쪽에 살펴보겠지만 MANLI GTX 750 Ti의 경우 출력단자가 mini
HDMI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모니터에 HDMI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변환 젠더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MANLI 지포스 GTX750 Ti Black Knight D5
2GB
MANLI GTX 750 Ti의 전체적인 모습입니다. GTX 750
시리즈 답게 상당히 아담한 사이즈와 검정색 색상의 PCB 및 쿨러로 깔끔한 블랙 기사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의 길이는 쿨러
끝부분까지 15.5cm 수준의 길이로 어지간한 케이스에서 문제 없이 설치가 가능한 수준입니다.
출력 부분은 DVI 2개, mini HDMI 1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정 부분은 1슬롯짜리이지만 실제로는 쿨러 두께때문에 2 슬롯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85mm의 쿨링팬으로 750 Ti가 저전력 제품이기 때문에 쿨링팬이
한개지만 충분할 듯합니다.
블랙 색상의 PCB에 부품이 아담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레퍼런스
수준의 구성으로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별도의 보조전원은 필요하지 않은 모습입니다.
코어 주변에는 4개의 고무로 보호가이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ELPIDA 메모리가 사용되었습니다.
성능 테스트
CPU
: Intel Xeon E3-1230 V3 하스웰
M/B : Gigabyte H81M-D2V
RAM : Samsung PC-12800
4GB x 2
VGA : MANLI 지포스 GTX 750 Ti Black knight D5
2GB
SSD : Plextor M5 PRO 128GB
HDD : Doshiba DT01ACA200
POWER :
Micronics Performance 500W
* 성능 테스트는 기본
벤치마크와 3D 게임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프레임 측정과 게임 플레이 동영상을 포함하여 간접적으로나마 체감이 되실 수 있도록
구성해보았습니다.
테스트에 앞서 750 Ti의 경우 대체적으로 수율이 좋고 오버클럭에
따른 성능 향상이 있다고 하여 MSI 유틸리티인 에프터버너로 오버클럭을 하였으며 KOMBUSTOR 및 퍼마크 안정화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오버클럭은 제품의 수율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제가 테스트를 진행한 제품은 코어 1220Mhz(부스트 1285Mhz), 메모리 5700Mhz까지
실사용이 가능하였습니다.
GPU-Z로 확인한 기본 정보입니다. 우측이 오버클럭한 상태로
픽셀레이트 등 수치가 향상된 모습입니다.
▶ 3D
MARK
750 Ti 오버클럭 시 상당한 점수 상승이 이루어진
모습입니다.
▶
Unigine Valley Benchmark v1.0
GTX 660이 훨씬 높은 수준이며 750 Ti의 경우 오버클럭 시
미약하지만 점수 및 프레임 향상이 있었습니다.
▶
레지던트 이블 6 벤치마크
기본 상태에서도 S랭크가 가능한 수준입니다.
▶ 3D
GAME 테스트
GTX 750 Ti의
경우 고급 수준의 옵션에서 무난하게 플레이가 가능하며 오버클럭에 따라 프레임의 향상은 있지만 제가 둔감한 것인지 체감은 크게 차이가 없이
느껴지는 수준입니다. 실제 플레이 영상으로 느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리뷰에 동영상이 포함되어 있으나 게시판
특성상 동영상이 바로 첨부가 되지 않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링크로 대체합니다.
▶ GTX 750
Ti, 최고급
▶ GTX 750 Ti
O.C(1220/5700), 최고급
▶ GTX 750
Ti, 고급
▶ GTX 750 Ti
O.C(1220/5700), 고급
오버클럭에 따라 GTX
660과 엇비슷한 수치를 보여줍니다.
▶ GTX 750
Ti, 최고급
▶ GTX 750 Ti
O.C(1220/5700), 최고급
▶ GTX 750
Ti, 고급
▶ GTX 750 Ti
O.C(1220/5700), 고급
슬리핑 독스 높음
수준에서 원활하게 플레이가 가능하며 오버클럭에 따라 성능 차이가 다소 발생하였습니다.
▶
GTX 750 Ti, 최고
▶ GTX 750 Ti
O.C(1220/5700), 최고
▶ GTX 750
Ti, 높음
▶ GTX 750 Ti
O.C(1220/5700), 높음
배틀필드 4의 경우
최고 옵션의 경우 무거운 느낌이 있기 때문에 높음 수준에서 플레이가 적당합니다.
▶ GTX 750
Ti, 최고
▶ GTX 750 Ti
O.C(1220/5700), 최고
▶ GTX 750
Ti, 높음
▶ GTX 750 Ti
O.C(1220/5700), 높음
와치 독스의 경우
GTX 660과의 차이는 다소 느낄 수가 있으며 오버클럭 시 프레임 수치는 약간 높아졌으나 체감상 크게 느끼지 못했습니다. 중간~높음 수준에서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 GTX 750
Ti, Ultra
▶ GTX 750 Ti
O.C(1220/5700), Ultra
▶ GTX 750
Ti, High
▶ GTX 750 Ti
O.C(1220/5700), High
▶ GTX 750
Ti, Medium
▶
GTX 750 Ti O.C(1220/5700), Medium
디아블로3의 경우
750 Ti의 경우 기본 상태로도 충분한 플레이가 가능하지만 균열과 같은 몬스터가 대거 출현하는 상황에서는 오버클럭에 따른 성능 차이를 느끼실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평균적으로 5~10프레임까지 높은 수치를 보여주기 때문에 오버클럭에 따른 성능상 이점은 있다고
보입니다.
▶ GTX 750
Ti
▶ GTX 750
Ti
▶
GTX 750 Ti O.C(1220/5700)
▶ GTX 750 Ti
O.C(1220/5700)
게임 테스트를 간단하게
요약을 해본다면 GTX 750 Ti의 경우 GTX 660과 프레임 수치는 약간 차이가 나기는 하지만 동 옵션에서 실사용 테스트 결과 몇몇 게임을
제외하고 차이를 느끼기 어려웠습니다. 오버클럭에 따라 슬리핑 독스와 디아블로3에서는 체감상 약간의 상승이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체감상 크게 느끼기
어려웠습니다.
▶ 소음
및 쿨링 측정
▶
Fanless
▶ MANLI GTX 750 Ti,
IDLE
▶ MANLI GTX
750 Ti, FULL LOAD
소음 테스트는 간단히
동영상으로 확인해보았습니다. 풀로드 시 팬속도가 증가되기는 하지만 파워서플라이나 기타 쿨러에 묻히는 수준으로 체감상 트리니티 CPU 쿨러에 4핀
저항을 물린 수준 (1000RPM)보다 조용하거나 엇비슷한 정도를 보여줍니다. 750 및 750Ti 제품에서는 소음에 대한 부분은 전혀 신경쓸
필요 없습니다.
750 Ti 노오버, 아이들(좌측), 퍼마크 테스트(우측) 온도
수치 입니다. 최대 71℃ 수준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오버클럭 시 와치독스 플레이(좌측), 퍼마크(우측) 온도
수치입니다. 최대 70~71℃ 수준으로 무난한 수준입니다.
▶ 소모
전력 측정
GTX 750 Ti의 경우 매우 저전력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 사용시 GTX 660 대비 60W 정도 적게 측정되는 모습입니다. 오버클럭을 해도 전력 상승은 거의 없는 수준입니다.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MANLI
GTX 750 Ti Black Knight를 살펴보았습니다. 아담한 크기이지만 각종 패키지 게임에서도 1920 x 1080 해상도 기준으로
중~상옵 수준의 플레이가 가능한 수준으로 괜찮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특히 GTX 660 대비 프레임 수치는 다소 낮게 측정이 되기는 하지만
750 Ti로도 동 옵션에서 차이를 느끼기 어려웠으며 충분히 최신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저전력과 4~5만원정도 저렴한 가격은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GTX 660과의
메모리 대역폭의 차이로 고해상도로 갈 수록 차이가 느껴질 수는 있겠지만 일반적인 1980 x 1080 해상도 기준, 기본 안티엘리어싱 적용 및
중~상옵 수준으로 플레이를 진행하는 유저의 경우 750 Ti면 충분히 부족함 없이 게임을 즐길 수가 있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에 저전력 제품의
이점 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리뷰는 제품을 웨이코스에서 제공받아
진행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