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케이스/파워] +12v 가용률을 높인 ENERGY OPTIMUS Mach III 500K v2.3 필드테스트

아이콘 팝아이님
조회: 883
2015-06-24 17:49:22
main.jpg

 

안녕하세요! 필드테스터 & 리뷰어 pop-eye입니다.



중저가 파워서플라이와 케이스로 알려진 에너지옵티머스에서 정격500w의 파워서플라이

마하3를 새롭게 출시하였습니다.







K-20150624-595561.jpg 

▲ ENERGY OPTIMUS Mach III 500K v2.3는 현재 3만원대 초반의 가격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본 필드테스트를 통하여 효율부터 안정성,확장성등 다양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_MG_3066.JPG


▲ ENERGY OPTIMUS Mach III 500K v2.3 박스의 전체적인 모습



_MG_3067.JPG


▲ KC인증, 3년 무상보증, Green IC칩셋을 장착하였다는 특징을 알 수 있습니다



_MG_3069.JPG


▲ ENERGY OPTIMUS Mach III 500K v2.3 파워서플라이, 설명서, 전원케이블,나사류, 케이블타이를 제공합니다



_MG_3071.JPG


▲ 비닐로 밀봉되어 있어 제품의 사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_MG_3076.JPG


▲ 파워서플라이의 전체적인 모습

무광 블랙색상으로 코팅되어 있습니다



_MG_3077.JPG


▲ 120mm 쿨링팬을 장착하였으며 검은색 팬그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_MG_3079.JPG


▲ 벌집통풍구와 전원 스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 파워서플라이는 220v에서만 작동합니다



_MG_3081.JPG


▲ ENERGY OPTIMUS Mach III 500K v2.3의 상세사양을 알 수 있습니다

+12v에서 435w로 87%의 가용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_MG_3083.JPG


▲ ENERGY OPTIMUS Mach III 500K v2.3 전원케이블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4핀 주 전원케이블에만 슬리빙 처리되어 있습니다



_MG_3085.JPG


▲ 20+4핀 주전원 케이블의 모습

케이블의 굵기는 18AWG입니다



_MG_3087.JPG


▲ 4+4핀 보조전원 케이블의 모습

케이블의 굵기는 18AWG입니다.



_MG_3089.JPG



▲ 그래픽카드를 위한 보조전원 6핀을 2개(Y형) 제공합니다

케이블의 굵기는 18AWG 입니다.



_MG_3091.JPG



▲ SATA & 4핀 전원부의 모습

총 3개 라인에 각각 3개씩, 총 5개의 SATA 전원부와 3개의 4핀 전원부를 제공합니다

케이블의 굵기는 18AWG입니다.



_MG_3093.JPG



▲ 파워서플라이의 전원케이블의 길이를 측정해 보았습니다.

 

20+4핀 주 전원케이블 48cm
4+4핀 메인보드 보조전원 케이블 62cm
6+2핀 그래픽카드 보조전원 케이블 50cm-65cm
SATA & 4핀 전원 케이블 50cm-65cm-79cm
 

주 전원케이블과 보조전원, 그래픽카드 보조전원 등 모든케이블의 길이가 넉넉한 편이라

파워서플라이 하단 장착방식의 케이스에서도 정상적으로 사용가능함을 알 수 있습니다



_MG_3095.JPG


▲ 케이스 내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개봉해 보았습니다.



_MG_3099.JPG


▲ 슬리브베어링 방식과 유사한 라이플 베어링 120mm쿨링팬이 사용되었습니다

12v 0.30a로 작동함을 알 수 있습니다



_MG_3101.JPG


▲ 파워서플라이 내부의 전체적인 모습



_MG_3102.JPG


▲ 듀얼 트랜스포머



_MG_3104.JPG
▲ ZHIFA 200v 820㎌ 105℃ 캐패시터가 2개 장착되어 있습니다.

캐패시터의 브랜드는 인지도가 없는 편에 속합니다

 




_MG_3105.JPG



_MG_3106.JPG


▲ AC 입력부에 1차, PCB 기판에 2차 EMI 필터가 장착되어 있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_MG_3107.JPG

_MG_3108.JPG


▲ 파워서플라이 내부 보호를 위하여 접지와 퓨즈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_MG_3110.JPG


▲ 출력단의 모습

깔끔하게 마무리되어 있습니다




_MG_3112.JPG


▲ 파워서플라이 케이블이 케이스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부분의 모습

플라스틱캡으로 깔끔하게 처리되어 있습니다




_MG_3114.JPG


GR8313.png


▲ OVP,UVP등 파워서플라이 IC모니터링 칩셋인 GR8313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_MG_3119.JPG


▲ 파워서플라이를 Test하기위해 메인PC에 장착해 보았습니다





CPU : i5 3세대 Ivy 3570 
램 : DDR3 삼성 10600 4GB * 3EA 
메인보드 : 기가바이트 B75 
VGA : GTX 660 OC 
SSD : Phison 240GB 
Power : ZUMAX 600w Bronze 
Case : InWin 마에스트롬

Cooler : 써모랩 트리니티

 



▲ Test를 하는 모습.
트리플 모니터로 구성한 메인PC를 웹서핑 / 게임 / OCCT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여 파워서플라이를 Test 하였습니다




_MG_3117.JPG



▲ 대기전력을 측정해 보았습니다.

0.2w로 1w미만의 대기전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Green IC칩셋이 장착되어있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_MG_3124.JPG_MG_3128.JPG


▲ IDLE / Full Load 시의 소비전력의 모습.


본 필드테스트 하단에 나올 IDLE, Full Load 때는 위의 소비전력을 측정할 때와 동일함을 알려드립니다.
Active PFC회로가 없는 일반 파워서플라이와 동일 소비전력을 보여주었으며

평범한 효율(소비전력)을 보여주었습니다.



 



2015-06-23-13h53-Volt5.jpg



▲ 20분동안 Full Load시의 +5v값 결과 입니다.
큰 변동폭없는 무난한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_MG_3123.JPG_MG_3129.JPG



▲ IDLE / Full Load 시의 +5v 값 입니다.




0.03v의 차이가 났으며 괜찮은 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K-20150624-605913.jpg


▲ IDLE, Full Load시의 +5v값을 20분동안 모니터링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 보았습니다.
IDLE과 Full Load 각각 일정한 전압변동률을 보여주고 있어 괜찮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2015-06-23-13h53-Volt12.jpg



▲ 20분동안 Full Load시의 +12v값 결과 입니다.






IDLE시와 Full Load시의 +12v의 일정한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라는걸 알 수 있습니다  



_MG_3125.JPG_MG_3126.JPG



▲ IDLE / Full Load 시의 +12v 값 입니다.
IDLE시와 Full Load시에 약 0.13v차이가 나며 일반적인 수준의 전압폭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K-20150624-606305.jpg



▲ IDLE, Full Load시의 +12v값을 20분동안 모니터링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 보았습니다.
IDLE상태와 Full Load 상태일때 각각 거의 변함없는 값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안정적이라는걸 알 수 있습니다.




K-20150624-607056.jpg


▲ +12v, +5v의 Test를 하는 동안 측정된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뺀 수치를 그래프로 나타내 보았습니다.
그래프가 '0'일때가 가장 안정적입니다.
 
+5v의 경우 최대 0.04v, +12v의 경우 최대 0.16v의 전압변동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각각 오차수준의 일반적인 전압변동폭이라는걸 알 수 있습니다.





에너지 옵티머스에서 새롭게 출시한

ENERGY OPTIMUS Mach III 500K v2.3 ATX파워서플라이





정격 500w를 가지며 3만원대 초반의 낮은 가격대와 무난한 효율,전압변동폭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Green IC칩셋 장착, 모니터링 IC칩셋 장착 등 파워서플라이의 내부안전을 위해 신경썼다는 것 역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메인캐패시터의 제조사가 인지도가 낮다 보니 파워서플라이의 신뢰성과 안정성에 의심이 갈수도 있어

조금 더 좋은 캐패시터로 변경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지금까지 ENERGY OPTIMUS Mach III 500K v2.3 파워서플라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profile1.png



제품태그 : ENERGY OPTIMUS Mach III 500K v2.3,파워서플라이,팝아이,김영성,필드테스트,리뷰



본 필드테스트/리뷰는 다나와,에너지옵티머스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Lv70 팝아이님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