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하드디스크] [리뷰] HDD에 날개를 달다 SSD 처럼 빠르게 사용할수 있는 OCZ 시냅스 SYNAPSE Cache SSD 필드테스트

강민건담
댓글: 5 개
조회: 4975
추천: 3
2011-12-13 06:55:33


안녕하세요. 이번에 OCZ 에서 새롭게 출시한 OCZ 시냅스 SSD 를 필드테스트 하게 된

강민건담입니다.

 

OCZ는 그동안 기존에 SSD 를 많이 출시한 가운데 이번에는 조금 색다른 SSD 시냅스라는 제품을 출시 하였습니다. 현재 홍수로 인해 HDD의 가격이 많이 올랐기 떄문인지 많은 사람들이 이번에 SSD 로 많이 갈아타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SSD의 가격과 용량이 크면 클수록 그 가격 차이가 더 높은게 사실입니다.

 

특히나 크라이시스2, 배틀필드 3 , 를 설치하더라도 SSD 에 설치하기에 있어서 용량이 너무 커서 HDD 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마련이며. SATA3 또는 좋은 메인보드를 사용하여 SSD 와의 호환성도 생각해야 합니다.

 

그러나 역시 문제는 돈입니다. SSD를 사용할려면 메인보드에 AHCI 가 꼭 필수여야 하며, 고사양 게임 및 읽는 속도와 쓰기 속도를 중요시하는 각종 프로그램 (Adobe 프리미어, 3dMAX) 을 설치할려면 60GB 로는 솔직히 조금 부족한 면이 있습니다. 특히나 SSD를 쉽게 캐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인텔에서 Z68 칩셋을 만들긴 하였지만 최대 20GB 까지 사용할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걸려있죠.

 

근데 이번에 OCZ 에서 새롭게 출시한 OCZ 시냅스 SSD 가 이러한 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했습니다.

 

용량이 부족한것을 HDD 로 채우고 빠른 읽기 속도, 쓰기 속도는 시냅스 캐시 SSD 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굳히 Z68 칩셋이 있는 메인보드와 , SSD 를 따로 구매하지 않고도 OCZ 시냅스를 이용하여 HDD의 성능을 SSD 만큼 올려줄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럼 과연 OCZ 시냅스 캐시 SSD 로 어떻게 HDD 의 성능이 바뀌는지 살펴보기전 제품 포장상태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OCZ 시냅스 캐시 SSD Synapse 포장상태는 깔끔했습니다. 그리고 사이즈는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 CD 사이즈와 많이 비슷했습니다 ^-^/ 또한 비닐로 포장 되있었습니다.

 


OCZ 시냅스 Synapse 캐시 SSD 박스 안에는 영문으로 된 설명서와 , 스티커 , 브라켓 , 시냅스 SSD가 들어 있었습니다.

 


OCZ 시냅스 캐시 SSD Synapse 한번더 박스에서 개봉하면 SSD , 나사 3.5 인치 브라켓이 들어있습니다.

 


OCZ 시냅스 Synapse 캐시 SSD는 마지막으로 재포장하는 판매자들을 방지하기 위한 스티커가 부착 되어 있으며, 뒷면에 시리얼 번호가 있습니다. 이때 SSD 를 설치하기전 시리얼 번호를 따로 적어두세요

 

박스에는 시리얼 번호가 없습니다 ^-^/

 


2.5 SSD 베이가 없는 케이스를 사용하더라도 동봉된 3.5 인치 브라켓을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꼭 OCZ 시냅스 Synapse 캐시 SSD 뒷면에 있는 시리얼 번호 따로 적어두세요 !!!!!

 


좀더 쉽게 설명하자면 우리가 일상 생활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우리가 항상 들고 다니는 자동차 열쇠, 지갑, 핸드폰들은 항상 언제든지 빠르게 들고 밖을 나갈수 있도록 항상 내 주위 가까운 곳에 둡니다.  ( HOT DATA ) 가 이런 의미~ 입니다

 

즉 원도우를 실행했을시에 자주 사용빈도가 높은 데이터를 SSD 안에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빈도가 낮은 데이터, 리소스는 Cold data 에 저장합니다.

 

 

먼저 설치하기전에 앞서서 제 컴퓨터의 사양을 보여드리겠습니다.

 


현재

 

cpu - 인텔 E8500

메인보드 - P35-DS3P

HDD - WD 640gb

RAM - OCZ 2gb

VGA - 사파이어 HD6850 이엠텍

파워 - 히로이찌 500w

 

O/S - Window 7 64bit 얼티메이트 사용중에 있습니다.

 

먼저 설치 또는 구매하시기전 제일 중요한점이 한가지 있습니다.

 

현재 내 메인보드의 AHCI 를 지원하는지와 원도우 7 이 꼭 설치 되어 있어야 합니다.

"AHCI 를 지원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부팅 하실떄 CMOS 로 들어가 확인하셔야 합니다"

 

또한 OCZ 시냅스 캐시 SSD 에다 일반 SSD처럼 OS를 설치하는 방식이 아니고 OS 가 설치된 HDD의 성능에다 날개를 달아주어 SSD 처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니 SSD 를 설치하기전 HDD 를 메인보드와 분리 하지마세요!!!!!!!

 


현재 저는 P35 메인보드를 사용중입니다. 특히 Bios 업데이트를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AHCI 를 지원하고 있어서 Disabled > AHCI 로 설정한 뒤에 Bios 에서 나오고 원도우 부팅후에 다시 컴퓨터 전원을 끄고 OCZ 시냅스 Synapse 캐시 SSD 장착 하였습니다.

 


OCZ 시냅스 Synapse 캐시 SSD 를 메인보드와 연결한뒤에 컴퓨터 전원을 키면 이전에 부팅했던 모습과 다른 모습을 확인하실수 있을겁니다. 그러나 아직 완전히 설치 된게 아닙니다!

 


아 그리고 하단에 외장하드처럼 안전하게 제거도 안되지만 제거 하시면 안됩니다..!!!!!!!!!!!

 

그러나 현재 상태에서 dataplex 를 설치 한뒤에 만약 다른 그래픽카드 및 HDD , OS 설치를 다시 하신다면 꼭! dataplex 프로그램를 삭제 하신뒤에 그래픽카드 , HDD , OS 설치를 하셔야 합니다.

 

이걸 지키지 않고 dataplex가 설치된 상태에서 새로 OS 를 설치 하실려고 시도 하더라도 절대!!! 제대로 인식 안됩니다...-_-....

 

Window 부팅에 있어서는 제가 HDD 를 사용했던것보다 약 10초 더 빠른 느낌을 주었습니다. ^-^/

 

OCZ 시냅스 SYNAPSE Cache SSD 를 설치하기전과 후는 똑같았습니다. 그러나!

 


현재 저는 P35 메인보드를 사용하고 있어 sata2 를 이용하여 벤치마크를 하였습니다.

 

먼저 OCZ 시냅스 Synapse 캐시 SSD 를 설치하기전 HDD 읽기 / 쓰기 속도를 찍어둔 뒤에, OCZ 시냅스를 설치후 다시 한번 HDD의 읽기 / 쓰기 속도를 벤치마크 해본결과 2.5배 이상 빠른 속도를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그럼 과연 OCZ 시냅스 Synapse 캐시 SSD를 이용해서 HDD의 성능을 확실히 많이 높아졌지만, 정말 SSD 만큼 빠른지와 다중작업에서 강한지 실제로 압축, 게임, 다중작업, 프리미어 등 다양한 작업을 통해 비교를 해보았습니다.

 

비교 영상은 먼저 OCZ 시냅스 Synapse 캐시 SSD 설치전, 같은 자료들을 이용하여 녹화하여 비교한 영상입니다.

 

 

 

 

 위 동영상을 확인하시면 sata2 인데도 불구하고 HDD 만 설치한 상태에서는 2.25GB (7000개 파일) 압축을 풀때 4분 30초 가량 걸렸으나 OCZ 시냅스 캐시 SSD 를 HDD 와 호환시킨뒤에 다시 압축을 풀어보니 1분 12초가 걸렸습니다.

 

 

이번에는 포토샵 5.5 에서 4000x3000 사이즈의 사진 ( 200장 ) 을 한번에 불러올시에 OCZ 시냅스 SYNAPSE Cache SSD 를 설치 전 / 후 비교 영상입니다 ^-^/
 

 

이번에는 포토샵에서 동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불러올때 어느정도 차이가 나는지 영상을 찍어봤습니다.

 

OCZ 시냅스 SYNAPSE 캐시 SSD를 장착하기전에는 포토샵에서 동영상을 프레임으로 불러올 경우 약 26초가 걸렸습니다. 그러나 OCZ 시냅스 SYNAPSE 캐시 SSD를 장착한 뒤에 동영상을 프레임으로 불러오니 약 15초가 걸렸으며, 장착전과 후를 비교해본결과 대략 10초~11초 차이가 나는걸 확인 할수 있었습니다.

 

(포토샵에서 최대치가 500 프레임)

 

 
 


이번에는 문명 5 를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물론 에이~~ 문명 5 말고 크라이시스나 해보시지 하실지 모르겟지만... 문명 5 생각보다 크라이시스 만큼 무겁습니다. 특히 초대형 맵 128x72 사이즈의 22개의 문명과 48개의 city 로 해보신분들은  아마 공감하실겁니다. 또한 어느정도 중반에 들어서면서 각 문명이 자리를 잡게 되면 세이브 파일을 불러올때 모든 프로그램을 다 꺼둔 상태에서 실행하는 분들이 많이들 있을겁니다.

 

시냅스 SYNAPSE Cache SSD 를 설치하기전 HDD 로 문명 5 세이브 파일을 불러올 때 항상 튕기거나 게임을 진행하더라도 맵도 크지만 22개의 문명이 자리를 잡고 있어서 게임을 진행하더라도, 도중에 튕기는 현상을 마니 겪어왔습니다.

 

이번에는 문명 5 를 세이브 파일을 불러올때 얼마나 걸리는지와 턴 넘긴뒤에 자신의 턴이 돌아올때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비교 해보았습니다.

 

 

 

 

제가 플레이 하고 있던 문명 5 세이브 파일을 불러오기 비교 보시면 OCZ 시냅스 SYNAPSE Cache SSD가 HDD 와 장착후에 HDD 보다 1분더 빨리 불러오는걸 확인하실수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문명 5 세이브 파일을 불러온 뒤에 "턴을 넘기고" 다시 턴이 돌아오는데 몇분이 걸리는지 비교 해보았습니다. 비교한 결과 약 20~25초 정도 차이가 나네요.

 


이번에는 동영상을 인코딩시 OCZ 시냅스가 설치되기전 과 설치된 후 비교 영상을 촬영해 보았습니다.

 

 

 

 

인코딩에서는 별 차이는 느끼지 못했습니다 "거의 비슷하더군요 약 "1초 ~2초" 정도...

 


그러나 프리미어 CS5 통해 동영상들을 제작하면서 3배속으로 영상을 수정후 랜더링시에 HDD 보다 약 20분 가량 OCZ 시냅스 SYNAPSE Cache SSD 가 더 빨리 수행되는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필드테스트 리뷰를 하면서 다중 작업에서도 정말 만족스러운 모습을 보였습니다.

 

특히 영상을 하나하나 따로 찍고 나서 프리미어로 동영상을 랜더링 하고 인코딩 하면서 포토샵, 문명 5도 켜보았고 압축도 동시에 다 해보았습니다.

 

 

여기서 제가 이 OCZ 시냅스 SYNAPSE 캐시 SSD 를 사용하기전에는 항상 프리미어의 랜더링 및 인코딩과 포토샵으로 작업시 정말 컴퓨터가 느릿느릿해지는 느낌이 많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OCZ 시냅스 SYNAPSE 캐시 SSD를 HDD 와 장착한뒤에 "과연 잘 될려나 ? 버벅 거리는

현상이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어 프리미어 랜더링을 하고 있을때 , 포토샵, 압축, 인코딩, 그리고 문명 5를 켜보았습니다.

 

분명 프리미어, 포토샵, 압축, 인코딩을 작업한 상태에서 문명 5를 돌리면 문명이 튕기기 마련인데...OCZ 시냅스 SYNAPSE 캐시 SSD 를 장착해서인지 튕기지 않고 세이브 파일을 불러오는 모습을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혹시 컴퓨터를 자주 리셋을 누른다거나 AMD 그래픽카드로 인해 컴퓨터가 재부팅 되는 현상을 한번씩 겪어보셨을겁니다. 컴퓨터가 그냥 shutdown 또는 재부팅이 되는 경우인데요.

 

이때 HDD 를 장착하고 있으신분들은 다시 컴퓨터를 킬때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 "표준모드로 Window 시작" 이런 문구를 한번쯤 만나셨을겁니다.

 

그러나 OCZ 시냅스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HDD 와 다른 문구가 뜨면서, 스마트 한 기능도 만날수 있었습니다. 위 사진의 글을 읽어보시면 그전의 상태로 리커버리를 자동으로 해주고 있다는걸 확인하실수 있는데요.

 

이때 리커버리를 하는데 "약 5분 정도" 걸리더군요.... "이때 그냥 가만히 있어야 합니다..."

 

"Do Not inturrupt" << 날 방해하지마 -_-...하네요..

 

다시 원도우로 돌아와보면 바뀐것도 전혀 없었으며 , 데이터가 사라지는 현상도 없었습니다.

 

쫌 짱인듯?!

 


 

OCZ 시냅스 SYNAPSE Cache SSD 를 1주일간 사용하면서 장점과 단점을 솔직하게 꼬집어 보겠습니다.

 

먼저 OCZ 시냅스 SYNAPSE Cache SSD 로 HDD 를 dataplex 와 호환시켜 나의 HDD 를 SSD 처럼 사용할수 있다는점에 맘에 들었습니다.

 

SSD 240gb 가 아마 40~60만원대를 할겁니다. 특히 SS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AHCI 제약과, SATA3 그리고 그걸 원할하게 받쳐주는 인텔 칩셋 Z68 ISR(Intel Smart Response)를 쓰지 않고도 용량 제한 없이 SSD 전체를 HDD 캐시로 사용할수 있다는 점이 강점인거 같습니다.

 

쉽게 말해 " 1TB HDD 가 있으면 1TB 의 HDD 를 SSD처럼 사용할수 있습니다"

 

현재 제가 쓰는 HDD 는 640GB 이면서 파티션이 2개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dataplex 를 통해  OCZ 시냅스 SYNAPSE Cache SSD 와 설정할때 1개의 HDD 에 파티션이 몇개가 있어도 OS 가 설치되어있는 HDD 와 연결만 시키면 해당 HDD 전체가 SSD 처럼 바뀌는점도 장점중 장점입니다.

 

그리고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sata 2 sata3 제약 없이 사용할수 있다는점과, HDD 보다 10초 가량 빠른 부팅과 프로그램 및 게임 실행시 HDD 보다 빠른 불러오는것도 확인할수 있었으며, 또한 마지막 사진을 보시면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재부팅 되더라도 어렵지 않게 recovery 해둔다는 점!

 

 

단점으로는..

 

아무래도 돈, Money, 가 ..제일 큰 영향이 있다고 생각되네요..

분명 HDD 에다 날개를 달아줘서 SSD 처럼 사용할수 있다는점에서 좋지만...가격이 조금 비싸다는점..

 

그리고 주변기기 (그래픽카드, PCI, OS) 를 새로 추가 또는 변경할시에 꼭 dataplex 유틸리티를 윈도우에서 지우고 난뒤에 장착하고 다시 또 dataplex를 설치해야한다는점이 조금 아쉬웠습니다.

 

원도우를 새로 설치할경우에도 포맷을 하기전 원도우 OS 에서 dataplex 를 지우고 새로 원도우OS 설치하셔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꼭 Window 7 을 사용해야 합니다 ^-^/ XP 쓰시는분들은 힘드실듯.ㅜ.ㅜ...

 

그래도 단점이 이번 필드테스트를 통해 사용하면서 단점보다는 장점이 더 많았던 OCZ 시냅스 SYNAPSE Cache SSD 였습니다.

 

이 필드 테스트는 다나와 danawa.com 과 OCZ 측의 의해 진행되었습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한번 눌러주세요 ^-^/

 

Lv24 강민건담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