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트라 듀러블 독자기술로 유명한 기가바이트에서 그동안 울트라 듀러블, G1 게이밍 시리즈등 다양한 메인보드를 출시해왔습니다. 오늘 소개할 제품은 GA-Z170X-ULTRA-Gaming 메인보드로 기가바이트 독자 게이밍시리즈의 최신 모델입니다. 게이밍 보드답게 다양한 확장성과 기존에 보기 힘들었던 LED가 내장되어 좀 더 튜닝에 중점을 둔 모델입니다.
기본 제원
■ 박스포장 및 구성품
3년 무상보증이라는 문구와 함께 박스 전면부에는 G1 GAMING 시리즈 모델이라는것을 알 수 있는 표기와 특징들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인텔 XMP 기술을 지원해 준비된 메모리에 따라 최대 DDR4 3866(O.C)가 가능하다는 설명도 볼 수 있습니다.
박스 후면부에는 특징들이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되어 있습니다. 하이퀄리티 오디오 캐패시터 / 듀얼 바이오스 / MVMe U.2 / M.2 / SLI, CF 들의 지원사항을 간략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성품으로는 선정리를 위한 케이블 타이 / 설치 디스크 / 기본 메뉴얼 / SLI 커넥터 / 전자파 차폐 쉴드가 부착된 백패널 / 투명 SATA 케이블 X 4, 케이블 라벨 / G - 커넥터가 동봉되어 있습니다.
동봉되어 있는 케이블 라벨의 경우 다수의 HDD를 사용할때 도움이 되도록 스티커 형식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간편하게 붙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설치 방법들이 소개되어 있는 메뉴얼
동봉 설치 DVD 와 홍보용 혹은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어 행거
흐트러 지기 쉬운 케이스 전원 커넥터들을 손쉽게 장착하고 고정시킬 수 있는 G-커넥터
포장 박스를 개봉하면 최상단에는 메인보드가 그리고 하단부에는 각종 구성품들이 포장되어 있습니다.
■ 메인보드 레이아웃
블랙 컬러로 디자인된 메인보드는 기존 보급형 메인보드와 다르게 다양한 확장기능과 여러가지 신기술들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하단부에는 G1 GAMING 이라는 문구가 선명하게 보이며, 노란색의 LED 라인이 눈에 뜁니다.
백패널 구성
USB 2.0 / PS2 포트 / 썬더볼트3 커넥터 / USB 3.1 TYpe-A 포트 / 미니 DP 인포트 / 미니 디스플레이 포트
기본으로 지원하는 포트뿐만 아니라 내장 썬더볼트3 와 미니 DP 포트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썬더볼트3와 미니 DP 포트를 활용하면 최대 6개의 저장장치와 4k 디스플레이 출력이 가능합니다.
32Gb/s 대역폭을 제공하는 U2(NVMe PCIe) 포트 / 2개의 SATA EXPRESS / 6개의 SATA3 포트
PCI-E X16 슬롯은 점점 대형화 되고 있는 하이엔드 그래픽카드에 대비해 1번, 2번 PCI-E 슬롯이 기존과 다르게 공간의 여유가 느껴집니다. 이로서 쿨링이나 SLI , CF 시 한층 더 도움이 되도록 설계된 모습입니다.
PCI-E 슬롯의 경우 기존처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쉴드와 다르게 스테인리스 쉴드로 마감처리 되어있는데, 이는 대형 그래픽 카드로부터 PCB와 슬롯을 한층 더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기존과 같이 밀어넣어 고정시키는 걸림쇠가 아니라 버튼처럼 위로 올려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포트들은 커넥터가 장착되기 쉽도록 내부에 각 이름이 표기되어있습니다.
PCH 에 자리잡은 중형 사이즈의 방열판
좌측에 자리잡은 ALC892 코덱과 하이퀄리티 오디오 캐패시터의 모습
메모리 슬롯
LED는 메인보드 주변부에 장착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메모리 슬롯에도 장착되어 있는 모습입니다. 그리고 XMP 프로필을 지원하는 메모리라면 수율과 성능에 따라 최대 3,866MHz 클럭설정이 가능하며, 듀얼채널 지원과 함께 최대 64GB 메모리를 지원합니다.
백 패널에 장착된 G1 GAMING 가이드는 장착된 기기들과 메인보드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그리고 우측에는 USB TYPE-C 포트를 통해 다양한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100W 파워 딜리버리가 장착된 모습입니다.
CPU 소켓 주변을 따라 디지털 7 페이즈 전원부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맞은편에는 각 방열판을 볼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전원부는 고급초크 듀러블 블랙 캐패시터의 궁합으로 만시간의 긴 수명과 CPU 부하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소켓의 부식이나 오염에 강하도록 설계된 15 마이크론 두께의 금도금 소켓 디자인
대역장치 인터페이스를 결합한 형태인 Super I/O 의 경우 기가바이트 제품에 주로 볼수 있었던 ITE사의 IT8628E 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여러가지 포트 및 키보드 마우스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며 온도와 쿨러 속도등을 모니터링 합니다.
M.2 슬롯을 지원해 최대 110mm 사이즈의 M.2 카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일반 SSD의 한계를 극복한 M.2 카드이니 만큼 앞으로 확장성을 염두해둔 모습입니다.
후면부에는 LED 라인들을 한층 더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설계 방식에서 발전된 더블 락킹 브라켓(외곽에 위치한 굵은 느낌의 납땜)이 슬롯의 외각면마다 장착되어 있어 슬롯의 흔들림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고 있습니다.
■ 설치
G - 커넥터를 활용해 케이스 커넥터를 흔들리지 않고 손쉽게 고정할 수 있었고 한층 더 설치가 쉬워습니다. 보통 PC 스피커의 경우 핀이 멀리 떨어져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미지처럼 한곳에 맞추어 조립할 수 있습니다.
백패널은 앞서 설명한것처럼 전자파 차폐 쉴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백패널이 더 두꺼워 졌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 때문에 케이스에 따라 설치할때 좀 더 빡빡하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CPU 메모리 설치 과정중 크게 힘든 점은 없었으면 모든 부품들을 손쉽게 장착할 수 있었습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CPU는 기존에 사용 해왔던 i7 6400T 저전력 CPU 입니다.
■ 바이오스
전원을 켜면 기가바이트사의 로고 화면이 나타나며, 각 키(DEL / F9 / F12 / DEL) 에 알맞은 모드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CMOS 에는 기본적으로 이지모드와 클래식(어드벤스)모드가 있습니다. 이지모드에서는 한번에 다양한 메뉴들을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Q-FLASH 를 활용하면 간편하게 바이오스를 업그레이드하고 세이브 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 드래그를 통해 클래식 모드에서 실시간 모니터링과 이지모드 메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 컨트롤을 통해 우측에는 실시간 모니터링 창을 볼 수 있고 하단에는 이지모드 메뉴가 나타나게 됩니다.
영어뿐만 아니라 각국의 다양한 언어를 지원합니다. 하지만 한국어등 다른 언어를 사용해본결과 익숙한 영어가 폰트크기도 그렇고 바이오스 메뉴에 가장 알맞아 보기 편합니다.
- BIOS / Chipset / Power 메뉴
각각의 부팅순서와 내장된 칩셋 컨트롤, 그리고 부팅시 파워구동에 관한 메뉴들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존 메인보드바이오스와 큰 차이가 없는 메뉴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Peripherals (주변기기)
이 카테고리는 메인보드에 장착된 다양한 주변기기의 환경을 설정할 수 있으며 Ambient LED 메뉴는 LED 를 구동할 수 있도록 펄스모드, 고정모드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SATA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들을 확인 및 변경할 수 있는 Sata Controller
장착된 SSD를 지우거나 독립적으로 얼릴수 있는 SSD Security Erase 모드
인텔 썬더볼트 기술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
- M.I.T & 어드벤스 주파수
기본 CPU 전압 설정에서 부터 전력관리 기술 그리고 다양한 타이밍과 CPU 레티오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어드벤스 메모리
메모리 클럭에 관한 설정으로 기본 전압 및 세부 타이밍을 조절할 수있습니다. 기존 보급형 메인보드에 비해 좀 더 상세한 설정들을 위한 메뉴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어드벤스 전압
CPU에서 부터 메모리 및 칩셋전압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전압 설정이 가능합니다. 메뉴들이 기존 바이오스와 달리 나눠져있어 처음에는 적응이 힘들 수 있습니다.
- 스마트 팬
메인보드에 연결된 각각의 쿨링팬 설정이 가능하며 장착된 기기들과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 PC Health 상태
섀시 침입상태의 기록 보전 및 삭제와 PC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 그외 셋팅
PCI-E 슬롯의 GEN1~GEN3 작동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일부 벤치마크에서 성능향상에 도움이 되는 3DMARK 01 Enhancement
- 기본 벤치
CPU-Z 를 통한 CPU 와 메인보드 제원확인
Hwinfo64 메인보드 정보를 통해 메인보드에 관한 정보가 정확히 출력되는 되는 모습입니다. 그 외에도 바이오스 이름이나 데이터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력과 온도를 살펴보았습니다. 저전력 CPU 답게 매우 낮은 전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온도는 날씨가 덮다보니 그렇게 낮은 온도로는 측정이 되지 않네요.
CPU 풀코어 성능 398cb / Open Gl 성능 78.66 Fps
CPU 클럭이 낮아 그래픽코어 스코어도 낮게 나올줄 알았는데 3DMARK 벤치시 19K에 가까운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배틀필드4 를 통해 게임 플레이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원활한 프레임과 랙이 없는 게임 플레이가 가능했습니다. CPU와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최대한 이끌어 주었으며 어느 정도 CPU 성능만 받춰준다면 함께 충분한 게임플레이가 가능하지 않나 싶습니다.
■ 소프트웨어
Z170X 게이밍에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합니다. 각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환경을 최적화하는데 용이합니다.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나면 오디오 관리자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봐왔던 Realtek 관리자에 비해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인터페이스를 보여줍니다.
기존 Realtek 드라이버에는 볼 수 없었던것으로 기본 음장효과와 더불어 각각의 공간보정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APP Center
지원하는 전용 프로그램 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실행이 불가능한 프로그램이 많습니다. 이는 기가바이트의 APP Center 를 통해 각각의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그램 중 가장 먼저 설치해야할것은 APP Center 입니다.
V-Tuner
그래픽카드의 오버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GPU 클럭에서 부터 파워리미트까지 조절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프로파일등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USB Blocker
개인 사용자보다 단체 사용에 도움이 될만한 프로그램입니다. PC에 장착되는 연결되는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상황에 따라 디지털 기기들의 연결을 차단시킬 수 있습니다.
Smart Backup
백업과 복구를 위한 프로그램
Smart Keyboard
매크로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키보드의 여러가지 단축키나, 마우스의 좌표까지 매크로가 가능합니다.
Easy RAID
기가바이트의 다양한 RAID 지원을 돕고 최적화 시켜주는 프로그램입니다.
Ambient LED
메인보드에 내장된 LED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고정켜짐 모드 / 펄스모드 / 깜빡임 모드가 있는데, 실시간으로 LED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Z170X Ultra Gaming 의 경우 경우 깜빡임 모드를 제외한 앞 두가지 기능만 가능합니다.
Smart Switch
윈도우7 시작버튼처럼 변경시켜 줍니다. 최신 윈도우 시작버튼에 적응하기 힘든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소프트웨어입니다.
EasyTune
M.I.T 바이오스 메뉴를 그대로 윈도우에 옮겨 실시간으로 오버클럭킹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CMOS 보다 좀 더 직관적이라는게 강점입니다.
■ LED
각 부분에 장착된 각각의 LED
앞서 소개한 CMOS 설정과 엠비언트 LED 소프트웨어를 통해 보드에 내장된 LED 를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최소한의 LED 효과로 강렬한 레드색 LED 를 맛 볼 수 있는데, 특히 어두운 야간환경에 더 잘 어울립니다. 레드색의 컬러는게이밍 환경에 거의 표준으로 사용되는 컬러이니 만큼 게이밍환경에 상당히 잘 어울리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LED 고정 모드
LED 펄스 모드
■ 총평
지금까지 기가바이트사의 Z170X - ULTRA GAMING 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G1 게이밍 시리즈 메인보드 답게 기존장점들을 한대 모으고 LED 기능을 통해 한층 더 끌어 올린 모습입니다. 확장성을 위해 썬더볼트3 / U.2 / M.2 포트 지원은 좀 더 빠른 컴퓨팅을 원하는 유저들에게 알맞은 환경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컴퓨터 환경을 최적화 할 수 있으며 따로 LED를 튜닝할 필요가 없어 확장성과 게이밍 환경을 동시에 잡은 메인보드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앞서간 기능들이 일부 내장되어있는데 이처럼 앞으로 오랫동안 사용해도 부족함이 없을 만큼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괜찮은 기능들의 궁합을 보여주는 모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