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하드디스크] 인텔 3D NAND를 탑재한 우수한 가성비의 리뷰안 885 SSD (256GB)

아이콘 나유타
조회: 2205
2017-01-27 20:28:38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리뷰안 885 SSD 256GB 제품으로 안정성에 있어 세계적으로 정평이 나있는 실리콘모션사의 SM2258 컨트롤러를 탑재하고, 인텔 3D 낸드를 적용한 우수한 가성비의 TLC SSD입니다. 현재 다나와 최저가는 88,500원의 가격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2D 낸드를 탑재한 제품군(240GB 내지 256GB)이 8~9만원대 이상이며, 3D NAND를 탑재한 타사 제품군의 경우 최소 11만원 이상대인 점을 감안하였을 때 2D NAND도 아닌 인텔 3D NAND를 탑재한 SSD가 현재 8만원대 후반 정도의 가격대 밖에 되지 않는 착한 가격대가 놀랍군요.

 

리뷰안 885 SSD는 2016년 11월에 출시된 리뷰안테크의 신 제품으로 2.5인치 SATA 3 인터페이스의 제품입니다. 사이즈는 가로, 세로가 각각 100 x 70mm 이며, 높이는 6.4mm로 슬림한 사이즈이며 무게는 42g 정도입니다. 컨트롤러는 안정성으로 정평이 나있는 실리콘모션사의 SM2258
컨트롤러를 탑재하였으며, 무엇보다 2D NAND가 아닌 인텔 3D NAND를 탑재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256GB 기준으로 읽기 속도 최대 560MB/s, 쓰기 속도 최대 510MB/s라는 후덜덜한 우수한 속도 까지 장착한 뛰어난 성능의 SSD입니다.
z02.jpg

 

 

아래의 사진은 제품이 배송되어져 온 상태입니다. 제품의 포장 박스의 경우, 리뷰안 전용 박스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데, 뭔가 이상한(?) 글자 같은게 보인다면, 아마 그건 기분탓(?)일 겁니다~ ㅡㅅㅡ;;; ㅇㅅㅇ;;;

1485510656_ad2427e6287b91a8ee1f0b64b50e4

 

제품 박스의 경우 블랙 색상으로 되어 있군요.
제품 박스의 전면의 중앙에 [리뷰안 SSD]라는 글자가 들어 있고, 
1485510665_7b8aa7b0df9f72f13e7e9ebee6ff1

제품 박스의 후면에는 리뷰안 SSD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 들어 있고, 하단의 좌측엔 리뷰안의 회사 주소, 전화번호, 팩스 번호, 이메일 주소가 기재되어 있으며, 우측편엔 A/S 및 기술 지원 센터 연락처가 상세히 표시되어 있습니다.

 

봉인씰 스티커는 위-아래로 모두 부착되어 있고, 위쪽 측면엔 A/S 문의 전화와 용량 표시가 들어 있고 아랫쪽 측면에는 시리얼 넘버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1485510681_856ecb46befdb99e8afda8c1fd02b

 

박스를 개봉해보면,
1485510690_72aa8e918f8687ad84e3807813ee5

SSD와 제품 설명서 한 장이 동봉되어 있습니다.
제품 사용 설명서(보증서)의 경우 전면에는 사용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고, 후면에는 참고 사항과 제품 보증서가 나와 있습니다. 제품 보증서에는 무상 & 유상 서비스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리뷰안 885 SSD의 경우 전체적으로 파란색으로 되어 있는 특징이 있군요. 리뷰안 880K 제품이 오렌지색으로 통일되어 있는데 비해, 리뷰안 885 SSD의 경우 파란색 기조로 되어 있으며, 중앙엔 하얀 색 글씨로 [리뷰안 SSD]라는 표기가 들어 있네요. SSD의 외형은 메탈 소재로 되어 있으며, 가로 방향의 헤어라인이 멋드러지게 들어가 있어 조명을 받아 반짝거리면서 세련된 느낌을 자아냅니다.
1485510784_4c89024ed9b3db620b2fa8db53f0f

 

측면엔 SSD를 컴퓨터 본체 케이스에 고정할 수 있는 나사홀이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 측면에는 SSD 내부 분해 방지용 봉인씰이 홀로그램 스티커 형식으로 부착되어 있습니다.
1485510800_d046d5b8278ddc9313bc254ee0fec

 

1485510804_e919ecb6a6cd29ebfb6521aab9834

SSD의 후면에는 RevuAhn 885 SSD 라는 제품명과 256GB 라는 용량이 표기되어 있으며, 그 아래에 각종 인증마크와 시리얼넘버가 나와 있고 가장 하단에는 깨알같은 글씨로 Warning(주의사항)이 적혀 있습니다. 측면의 리뷰안 홀로그램 스티커(=봉인씰)가 파손되거나 제거된 경우 품
질 보증을 받을 수 없게 되니 실수로라도 훼손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리뷰안 885 SSD 256GB 제품과 비교해볼 제품군은 다음과 같습니다.

좌측에서부터 마이크론BX200 240GB, WD Green 120GB, 리뷰안 885 SSD 256GB 입니다.

1485510829_7b44324dec6676e8bc674f86639e1

 

테스트에 사용된 PC의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스템 환경] 
CPU : Intel i5-4690
CPU 쿨러 : DEEPCOOL GAMMAXX 300 FURY BRAVOTEC
메인보드 : GIGABYTE G1.Sniper B6 피씨디렉트 
RAM : AVEXIR DDR3 8G PC3 12800 CL11 CORE RED 24GB
SSD : 샌디스크 X110 128GB
HDD : Seagate 2TB Barracuda ST2000DM001 (SATA3/7200/64M) x2
        Toshiba 3TB DT01ACA300
VGA : ZOTAC GTX960 OC D5 2GB
POWER : COUGAR STX550 80PLUS 230V EU BRAVOTEC
(비교 대상 SSD : 리뷰안 885 SSD 256GB, 마이크론 BX200 240GB, WD Green 120GB) 

1485510850_405647a5ae2324ab682e67c6e9bb8

 

 

우선 크리스탈 디스크 인포(CDI)로 리뷰안 885 SSD의 기본 정보를 확인해보았습니다.
1485510911_9e885a51e2501380775604a3b234b

 

다음으로 SSD-Z로 확인해본 정보입니다.
1485510927_a342dc2dfe5c2b50472cd496404b2

 


1. HD TUNE PRO 5.6
파일 옵션의 벤치 마크 설정에서 블록 크기는 8MB로 설정한 테스트 측정값 중에 첫 번째 읽기 속도입니다.

1485510942_6c35d0bd7aacc735fc48dbf166ce0

리뷰안 885 256GB의 경우 읽기 속도 평균값이 526.6 MB/s로 측정되었으며, 마이크론 BX200 240GB 제품이 522.1 MB/s, WD Green 120GB가 519.3 MB/s를 기록하였습니다. HD Tune PRO의 읽기 속도 측정값은 리뷰안 885 제품이 가장 높게 나왔습니다. 
(리뷰안 885 256GB > BX200 240GB > WD Green 120GB)

 

다음으로 쓰기 테스트 측정값입니다.
1485510975_c6c208b9c9a0e6cecc75fa80ebbeb

리뷰안 885 256GB의 쓰기 속도 평균값은 430.3 MB/s로 측정되었으며, 마이크론 BX200 240GB 제품이 61.0 MB/s, WD Green 120GB가 104.0 MB/s를 기록하였습니다. HD Tune PRO의 쓰기 속도 측정값은 리뷰안 885 256GB > WD Green 120GB > BX200 240GB 순서로 높게 나왔습니다.
아무래도 인텔 3D NAND를 탑재한 SLC 캐쉬 버퍼의 성능이 리뷰안 885 SSD가 가장 뛰어나다 보니, 쓰기 속도 평균값의 차이가 크게 벌어진듯 합니다.

 

파일 벤치 마크 측정값입니다.
파일 옵션의 벤치마크 블록 크기는 8MB로 설정하였으며, 파일 길이는 무려 50000MB(50GB)로 설정하여 측정한 데이타입니다.
1485511001_166151bdd4b8f8d867f9137009bed

측정값의 파일 길이를 무려 50000MB(50GB)로 설정하였음에도 리뷰안 885 SSD의 경우 읽기 속도와 쓰기 속도 모두 한결같이 우수한 속도를 유지하는 반면에 BX200 240GB와 WD Green 120GB 제품의 경우 읽기 속도는 꾸준히 유지하는 반면, 쓰기 속도의 경우 초반의 SLC 캐쉬 버퍼 기능이 바쳐주는 구간 이후로는 속도가 확 떨어지는군요.

 

 

2. Crystal Disk Mark 5.1.2 x64
다음으로 SSD 벤치 테스트 프로그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CDM)] 입니다.

우선 리뷰안 885 SSD 제품군의 공식 벤치마크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1485511065_06bb2beaf5b63f71d26c0c1cb9746

[ 옵션 - 횟수 5회, 사이즈 32GiB, Disk 선택]
그리고 아래의 스샷이 현재 제가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측정한 결과값입니다. 리뷰안 885 256GB의 읽기 속도가 553.3 MB/s , 쓰기 속도가 504.3 MB/s으로 측정되어, 자사에서 측정한 공식적인측정값인 읽기 563.3 MB/s,  쓰기 519.3 MB/s보다 살짝 떨어지는 값이 나왔는데, 아무래도 4세대 하스웰 i5 CPU 시스템이다 보니 조금 낮게 나온 듯 합니다. 아무래도 스카이레이크나 카비레이크 상에선 그보다 더 우수한 속도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1485511116_c84802483f1cf3622c9c164ce4398

 

 

3. AS SSD Bench Mark 1.8.5636
- Disk 선택, 사이즈 10GB
1485511144_0fb4456fd8f7dcec8681ddd9e3ec2

 AS SSD Bench Mark의 경우 리뷰안 885 256GB가 924점을 기록하였고, 마이크론 BX200 240GB가 655점, WD Green 120GB가 396점을 기록하였습니다.

 

 

4. AnvilBenchmark_V1.1.0
- Test size 32GB 설정
1485511178_f575e33e9f99dc6619252659b72f6

AnvilBenchmark 테스트에서는 리뷰안 885 256GB 제품이 4239.04점, 마이크론 BX200 240GB가 2,328.52점, WD Green 120GB가 1,737.72점을 기록하였습니다.

 


5. 나래 온 더티 테스트 6.0.2
- 남길 용량 70% 설정
- 속도 기록 단위 0.1%
- 윈도 캐시 효과 적용 활성화
1485511210_b4441f8ef6f7e7537c92723baf143

< 리뷰안 885 SSD 256GB >
***************************************
최대 속도 : 2417MiB/s
최소 속도 : 4MiB/s
평균 속도 : 571MiB/s
평균 속도 50% 미만 구간 : 1.5%
***************************************

 

< 마이크론 BX200 240GB >
***************************************
최대 속도 : 2370MiB/s
최소 속도 : 23MiB/s
평균 속도 : 159MiB/s
평균 속도 50% 미만 구간 : 91.5%
***************************************

 

< WD Green 120GB >
***************************************
최대 속도 : 2328MiB/s
최소 속도 : 4MiB/s
평균 속도 : 519MiB/s
평균 속도 50% 미만 구간 : 10.2%
***************************************

 

나래온 더티 테스트 결과, 리뷰안 885 > WD Green 120GB > 마이크론 BX200의 순서대로 높은 값이 측정되었습니다. 특히 리뷰안 885 256GB의 경우 평균 속도 : 571MiB/s라는 우수한 측정값을 보여주었습니다.

 

 

6. 파일 복사 테스트
- 파일 생성 사이즈 20GB이상
(더미 파일 생성법: 커맨드창(관리자모드) fsutil file createnew 파일이름 21474836480 )
다음으로 파일 테스트의 경우 무려 20GB라는 대용량 데이터의 복사 속도를 측정해보았습니다.
1485511290_edd0d55916373a178ee7faa120aac

 

1485511294_f6fc5e4391cdd39fa5cda7d9d86ce

[ 20GB 복사 속도 - 시간 측정]

 

리뷰안(G) → WD(C) : 3분 17초
리뷰안(G) → BX200(F) : 4분 51초
리뷰안(G) → HDD(D) : 1분 50초

 

WD(C) → 리뷰안(G) : 45초
WD(C) → BX200(F) : 4분 53초
WD(C) → HDD(D) : 1분 53초

 

BX200(F) → WD(C)  : 3분 15초
BX200(F) → 리뷰안(G) : 43초
BX200(F) → HDD(D) : 1분 54초

 

HDD(D) → 리뷰안 : G 2분 01초
HDD(D) → WD(C) : 3분 15초
HDD(D) → BX200(F) : 5분 04초

 

★★ 결론 ★★
WD Green 120 GB → 리뷰안 885 256GB : 45초
BX200 240GB → 리뷰안 885 256GB : 43초
HDD → 리뷰안 885 256GB : 2분 01초

 

현재 SSD 시장의 경우 뛰어난 가성비를 지닌 제품이 계속해서 쏟아져 나오고 있고, 읽기 속도의 경우 상향 평준화가 이루어져 있어 대체로 읽기 속도가 우수한 제품군이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읽기 속도의 경우 차이가 크게 벌어지지는 않았지만, 다른 SSD에서 리뷰안 SSD로 복사할 때와 HDD에서 리뷰안으로 복사할 때의 속도가 가장 빨리 나왔는데, 이는 리뷰안 885 SSD의 탁월한 쓰기 속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으로 리뷰안 전용 소프트웨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뷰안테크 SSD의 전용 SW는 아래 사이트(리뷰안 테크의 공식 블로그)에서 사용 방법을 확인하고 프로그램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http://blog.naver.com/revuahn/220413116473 
1485511338_f88cfedb312c25857b1551a6c8290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SSD 최적화와 클로닝(마이그레이션)을 지원해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485511350_e5a0ef186bba8b5d108bcf78a3bfe

클로닝(마이그레이션)의 경우 초간단 인터페이스로 친절하게 한글로 설명하고 있어 초보자도 손쉽게 이용 가능합니다.

 

간단하게 윈도우7 시스템을 마이그레이션으로 리뷰안 885 SSD에 카피해보았습니다~
z23.jpg

마이그레이션이 완료되고나서, 3DB Bench 프로그램으로 윈도우 부팅시간을 측정해보았습니다.
기존에 부팅용 SSD로 사용하던 MLC 타입의 샌디스크 X110 128GB의 경우 부팅 시간이 12초로 측정된 것에 비해, 리뷰안 885 SSD 256GB의 경우 1초가 단축된 11초를 기록하였습니다~


z24.jpg


 885 SSD (256GB)는 
안정성과 내구성에 있어 세계적으로 정평이 나있는 실리콘모션사의 SM2258 컨트롤러를 탑재하고, 안정성에 있어 둘째가 라면 서러워 할 인텔의 3D NAND FLASH를 탑재한 우수한 제품으로, 현재 3D 낸드를 탑재한 타사 SSD의 경우 최저가가 11만원대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비해,
리뷰안 885 SSD의 경우 88,500원이라는 파격적으로 저렴한 가격대로 가성비 깡패라고도 볼 수있는 탁월한 가성비를 지닌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256GB 기준으로 읽기 속도 최대 560MB/s, 쓰기 속도 최대 510MB/s라는 후덜덜한 우수한 속도를 자랑하며, SLC 캐쉬 버퍼의 경우 제품 용량에 따라 다른 편인데, 512GB는 170GB이며, 256GB는 80GB 그리고 128GB는 40GB까지 빵빵한 쓰기 속도가 유지됩니다. 
가로 방향의 헤어라인이 들어간 메탈 느낌의 블루 색상도 감성을 자극하는 요소로 보이네요~^^
탁월한 읽기, 쓰기 속도와 뛰어난 안정성과 내구성을 지닌, 차원이 다른 가성비를 경험해보고 싶으신 분들은 리뷰안 885 SSD를 만나보는 것이 어떨까요?

 

이상으로 필드테스트를 마치겠습니다.
체험단으로 선정해주신 리뷰안에 감사드리며, 이 글을 읽어주시는 인벤의 모든 회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 사용기는 리뷰안와(과) 다나와 체험단을 통해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experienceReviewIncrease.php?p=LtbYsujIC

Lv87 나유타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