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CPU/RAM] 라이젠5 1600X는 갓성비가 될까?

아이콘 Revir
조회: 5027
2017-04-05 21:52:05



안녕하세요 Revir 입니다.

얼마전 라이젠의 출시로 각 종 IT 커뮤니티가 아직까지도 떠들썩 한 것을 느끼고 계실겁니다.

이 글을 열어보고 계신 여러분도 호기심과 데이터를 얻기 위해 오셨을테구요 :)

 

며칠만 있으면 라이젠 5 라인업이 출시 됩니다.

20170403_231207.png

 

라이젠 5 시리즈는 6코어 12스레드인 1600X, 1600과 4코어 8스레드인 1500X, 1500이 출시됩니다.

이중 1600X와 1500X를 RYZEN 7 1700으로 시뮬레이션 하여 RYZEN 5 라인업들의 성능을 유추해보는 리뷰를 작성코자합니다.

 

거두절미 하고 시작해보겠습니다 :)

 

0. 테스트 시스템 셋업

 

1) 하드웨어 세팅

P4020106.JPG

P4020123.JPG

 

구분모델명
CPUAMD RYZEN 7 1700
RAMSamsung DDR4 8G PC4-19200 * 2 [16G]
M/BASRock X370 Taichi
SSDSamsung 840 Pro 256G
VGAAMD RADEON R9 NANO
PSUFSP700-80APN
O/SWindows 10 Redstone 2

 

2) 오버클럭 & 코어비활성화

CPU, Core클럭
RYZEN 1700, 8C16T3.0-3.7Ghz
RYZEN 1600X, 6C12T (시뮬레이션)3.6GHz
RYZEN 1600X, 6C12T (시뮬레이션)4.0GHz
RYZEN 1500X, 4C8T (시뮬레이션)3.5GHz
RYZEN 1500X, 4C8T (시뮬레이션)4.0GHz

 

오버클럭과 코어 비활성화는 UEFI와 AMD RYZEN MASTER 소프트웨어를 병행 사용했습니다.

포맷변환_170403232109.jpg

포맷변환_170403232124.jpg

 

위 스크린샷은 UEFI BIOS로 6코어12스레드(2코어 비활성화, CCX 3+3)를 4.0GHz로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저야 오버클럭을 여러번 해본터라 이 화면이 익숙하지만 초보자 분들은 도대체 뭐가 뭔지 알 길이 없습니다(..)

하나 하나 찾아보고 공부해야하죠.

그래서 AMD에서는 라이젠 마스터라는 프로그램을 배포합니다.

20170403_232409.png

 

유효하고 자주쓰는 기능들이 한 화면안에 모두 들어있습니다.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고 모두 마우스로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초보자분들도 쉽게 다가 갈 수 있는 오버클럭 툴 입니다. 무엇보다 재부팅을 하지 않고 윈도우 상에서 적용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이점이죠(일부 기능 제외). 

 

 

 

1. CPU 성능

(각 프로그램 설명은 itcm.co.kr을 참조했습니다.)

 

1) wPrime 

-  wPrime은 F (X) = X2-K와, 함수를 추정하는 뉴턴의 방법 재귀 호출로 제곱근을 계산하여 프로세서의 성능을 테스트 x86 프로세서에 대한 선도적인 멀티 스레드 벤치마크입니다.

72d52142258bb418f80a99eb80d8cfb8-0.png

72d52142258bb418f80a99eb80d8cfb8-1.png

 

멀티스레드 벤치마크인 만큼 코어수가 가장 많은 1700이 좋은 점수를 내주고 있고, 그뒤를 1600X와 1500X가 따라 붙고 있습니다.

 

 

 

 

2) CPU-Z Benchmark

- CPU-Z는 CPU, 마더보드, 메모리, 그래픽카드에 대한 자세한 사항과 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사용자의 컴퓨터 상태를 체크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최근에 자체 벤치마크를 할 수 있게 패치되면서 많은 분들이 간단한 성능비교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72d52142258bb418f80a99eb80d8cfb8-2.png

우선 싱글스레드 점수 입니다. 싱글 스레드만 사용하는 벤치답게 4GHz 오버클럭된 1600X와 1500X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내주고 있습니다.

 

72d52142258bb418f80a99eb80d8cfb8-3.png

다음은 멀티스레드 점수 입니다. wPrime과 비슷한 결과가 나왔습니다(정직하고 비교가 매우 쉬운 Tool이니까요).

스레드가 많을 수록, 클럭이 높을 수록 좋은 점수를 기록합니다.

 

3) Cinebench R15

- Cinebench는 컴퓨터의 성능 기능을 평가하는 실제 크로스 플랫폼 테스트 제품군으로, 멀티코어 랜더링을 지원하는 CPU 테스트 및 OpenGL 기반의 그래픽 테스트를 통해 하드웨어의 성능을 측정합니다. 여기서는 CPU테스트만 해당됩니다. 

72d52142258bb418f80a99eb80d8cfb8-5.png

72d52142258bb418f80a99eb80d8cfb8-6.png

시네벤치 역시 앞의 두 벤치와 비슷한 결과를 보이므로 한꺼번에 코멘트 하겠습니다.

렌더링 성능은 각 종 영상편집과 그래픽 디자이너들이 가장 중요하게 보는 수치입니다. 여기서도 다중코어/고클럭이 유리합니다.

앞선 벤치와 마찬가지로 주목할 점은 멀티스레드에서 1600X 4.0GHz가 굉장히 좋은 점수를 낸다는 점입니다 :)

 

 

2. 게임 성능

 

1) 3DMARK Fire Strike (DX11), Physics test

-  3DMark는 DirectX를 지원하고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벤치마크에 필요한 모든 것을 포함했으며, 스마트 폰, 태블릿, 노트북,

데스크탑, 또는 고성능 게이밍 PC에 적합한 벤치마크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그 중 FireStrike는 DX11기반의 벤치마크로 현존 가장 대중적인 게이밍 벤치마크 툴입니다. 그중 물리연산(Physics) 테스트는 CPU의 게이밍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가 되고있습니다.

72d52142258bb418f80a99eb80d8cfb8-7.png

여기서 이변이 일어납니다. 바로 1600X@4Ghz가 1700을 뛰어넘은 점인데요, 게이밍 성능, 특히 DX11이하 게임은 다중코어도 중요하지만 CPU의 클럭자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2) 3DMARK Time Spy (DX12), Physics test

- 타임스파이는 3DMARK에서 지원하는 DX12 벤치마킹 툴입니다.

72d52142258bb418f80a99eb80d8cfb8-8.png

여기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이는데 파이어스트라이크와는 달리 다중코어간 격차가 꽤 큽니다. 이는 DX12가 멀티코어 활용을 더 잘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여도 되지만 1700의 8C16T도 3.2G 의 클럭으론 6C12T@4G 클럭을 이겨내진 못하네요 :)

 

 

 

3) 패키지게임 5종

하기 모든 게임들은 자체 벤치마크가 있는 것과 없는 것 모두 FRAPS로 프레임 측정을 했습니다.

20170404_003641.jpg

프레임 벤치마크는 FRAPS의 기능중 하나로 3D프로그램 실행시 단축버튼을 누른시점부터 다시한번 누른시점까지 최소/평균/최대 프레임을 측정해줍니다. 모든 프레임 측정은 동일한 구간에서 실행하였으며 최소 3회 이상 실행하여 그 평균값을 표기했습니다.

 

 

 





 

대채적으로 게이밍 성능은 대조군에 따라 다코어/고클럭일 수록 유리하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허나 그중 1700은 기본클럭(3.0~3.2)이 낮아 일부 게임에서 낮은 성능이 나오고 있습니다.

 

 

 

 

 

 

앞으로 출시될 라이젠 5시리즈가 저렴한 가격으로 약간의 오버를 통해 상위모델을 씹어먹는(...) 성능을 내주길 기대하면서 

라이젠 7 VS 라이젠 5 성능비교 시뮬레이션 리뷰를 마칩니다.

 

차후 글 편집을 통해 인텔 CPU와 비교도 넣겠습니다.

 

 

 

※ 본 필드테스트는 닥터몰라와 AMD로부터 라이젠 7 1700을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Lv83 Revir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