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가바이트는 세계적인 메인보드,그래픽카드 제조사이다. 기가바이트가 가진 브랜드 파워나 기술력 역시 상당하다.
대한민국에 판매되는 기가바이트 파워서플라이 종류는 많지 않다. 그만큼 품질좋은 적은 파워서플라이에 집중한다는 뜻이다.
오늘 소개할 GIGABYTE PB500 80PLUS BRONZE 파워서플라이는 80플러스 브론즈 인증을 받은
정격 500w ATX형 파워서플라이다.
어떠한 파워서플라이인지 본 리뷰를 통해 세세히 알아보자
P. 가격
GIGABYTE PB500 80PLUS BRONZE의 가격은 현재 4만원대 후반이다.
정격 500w / 80Plus 브론즈 등급 / 프리볼트 등을 생각한다면 합리적인 가격대이다.
P. 박스
박스의 전체적인 모습
비닐로 밀봉되어 있어 제품의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품의 특징을 문구를 통해 알 수 있다.
120mm 유체베어링을 적용하였으며, +12v 싱글레일, SATA 변환 케이블을 제공한다.
제품의 상세 스펙을 알 수 있다.
ACTive PFC 회로가 적용된 500w ATX 파워서플라이 이며, 80Plus Bronze 인증을 받아 높은 효율을 약속한다.
MTBF는 100,000시간이며, OVP / OPP / UVP 등 파워서플라이 보호회로 IC칩셋도 내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P. 유체베어링?
유체베어링은 FDB(Fluid Dynamic Bearing)로 부르기도 하며, 베어링 방식과 달리 베어링 대신 유체가 자리함으로써
팬의 수명을 늘려주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P. 외형
GIGABYTE PB500 80PLUS BRONZE의 전체적인 모습.
무광 블랙색상으로 코팅되어 있다.
PB500 모델
GIGABYTE PB500 80PLUS BRONZE의 상세출력을 확인할 수 있다.
+12v 출력은 456w로 가용률은 91%로 높은편이다.
120mm FDB 쿨링팬의 모습. 팬그릴도 확인할 수 있다.
후면 통풍구의 모습.
P. 전원 케이블
파워서플라이 전원 케이블의 모습. 모든 케이블이 슬리빙 처리되어 있다.
오염과 단선으로 부터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다.
20+4핀 주 전원 케이블
4+4핀 보조전원 케이블
"Y"형 6+2핀 보조전원 케이블 2EA
SATA 전원부 4EA / 4핀 전원부 3EA
4핀 전원부를 2개의 SATA전원부로 변환해주는 젠더를 1개 제공한다.
케이블의 길이를 측정해 보았다.
20+4핀 : 61cm
4+4핀 : 62cm
6+2핀 : 53cm-67cm
SATA : 50cm-65cm-85cm-95cm
4핀 : 50cm-65cm-85cm
케이블의 길이는 무난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4+4핀 보조전원의 경우 파워서플라이 하단 장착 방식 케이스 일때 다소 짧을 가능성이 있어 아쉬웠다.
P. 내부
파워서플라이 내부를 확인하기 위해 개봉해 보았다.
120mm FDB 쿨링팬의 사양. 12v 0.30A로 작동함을 알 수 있다.
파워서플라이 내부의 전체적인 모습
히트싱크와 트랜스포머
Capxon사의 400v 330㎌ 85℃ 캐패시터를 1개 탑재하였다.
고효율을 위한 Active PFC를 확인할 수 있다.
전원 입력부에 1차, PCB기판에 2차 EMI 필터를 적용하였다.
접지상태 및 퓨즈장착을 확인할 수 있다.
PCB기판에 출력되는 라인은 수축튜브를 사용하여 깔끔하게 처리되어있다.
파워서플라이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마감처리는 케이블타이와 플라스틱캡으로 깔끔하게 처리되어있다.
IC모니터링 칩셋인 WT7525를 장착하여 OVD, UVD, OCP 등 파워서플라이 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P. Test 셋팅
파워서플라이를 Test 하기위해 셋팅해 보았다.
i5 3570 / DDR4 16GB / GTX1050 / SSD 1EA / HDD 3EA의 사양을 가진 시스템이다.
P. 대기전력
전원을 인가하기 전 대기전력을 측정해 보았다.
1W수준의 양호한 대기전력을 확인할 수 있다.
P. 소비전력
IDLE시 68w, Full Load시 140w를 소모하였으며 일반 600w 파워서플라이와 비교하면
IDLE시 9w, Full Load시 35w로 더 낮은 소비전력을 보여주고 있다.
고효율 파워서플라이라는걸 알 수 있다.
P. 전압변동폭
파워서플라이를 Test하면서 +5v를 20분간 모니터링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 보았다
IDLE시 +5.07~5.08v, Full Load시 +5.08v로 안정적인 전압변동폭을 각각 보여주었다
파워서플라이를 Test하면서 +12v를 20분간 모니터링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 보았다
IDLE시 +11.98v~11.99v, Full Load시 +11.94v~11.95v의 전압변동폭을 각각 보여주었다
IDLE과 Full Load시 각각 거의 차이가 없는 준수한 안정적인 전압변동폭을 보여주고 있다.
20분간 Test를 하면서 얻은 +5v,+12v 측정값을 통해 최대값에서 최소값을 뺀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 보았다
각각의 그래프가 '0'에 가까울수록 전압변동폭이 없어 안전하다는걸 의미한다
+5v의 경우 최대 0.00v의 무난한 전압변동폭을
+12v의 경우 최대 0.05v의 전압변동폭을 보여준다.
준수한 안정적인 전압변동폭을 확인할 수 있다.
P. 소음
IDLE시 40.3dB, Full Load시 40.9dB로 각각 측정되었으며 매우 정숙한 소음도를 확인할 수 있다.
P. 결론
다양한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던 GIGABYTE PB500 80PLUS BRONZE 파워서플라이였다.
80Plus Bronze 등급으로 고효율을 약속하며, 안정적인 +5v, +12v 전압변동폭, 매우 정숙한 소음도를 보이는 FDB 쿨링팬
모든 전원케이블 슬리빙 방식으로 오염과 단선으로부터 보호까지 말이다.
다만, 케이블의 길이가 다소 짧아 파워서플라이 하단 장착방식의 케이스와 호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건
아쉽게 느껴진다
태그 : GIGABYTE PB500 80PLUS BRONZE,파워서플라이,기가바이트,80플러스,저소음
제품DB : https://is.gd/Bmtkhb
본 리뷰는 플레이웨어즈, 제이씨현을 통해 진행되었습니다.